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d라이브러리
"
식물
"(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체르노빌·드리마일원전사고의 그후 방사능피해, 갈수록 깊어져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사산(死産)도 이시기부터 늘어나기 시작했다고 보고되고 있다.방사능에 오염된 빗물→±
식물
→동물→인간으로 이어지는 연쇄.사고이래 이 '먹이사슬'(食物連鎖·food chain)이 온세계의 사람들에게 검은 그림자를 드리우게 되었다. 체르노빌 사고 1주년인 87년4월26일에 발표된 한 보고에는 미국 ... ...
상상을 초월한 첨단의 종이과학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
식물
성 섬유를 물속에서 걸러서 얇고 평평하게 한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요즈음
식물
성 섬유뿐 아니라 합성섬유, 유리섬유, 세라믹이나 탄소 등의 무기섬유까지 생겨 정의 자체가 애매모호해지고 있다. 물속에서 거른다는 표현도 물을 사용하지 않는 종이 제조법이 탄생하면서 수정되어야만 ... ...
생명탄생의 대하 드라마 생명의 씨앗은 우주에서 날아왔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지표의 암석속에서 그 연대의 것이라는 것을 알수있는 가장 오래된 조류(藻類·은화
식물
인 수초의 총칭.algae)의 미소화석을 발견했다. 지구가 지각을 형성한 뒤 5억년 사이에 뜻밖에 찾아온 틈입자(闖入者)처럼 최초의 생명이 바다속에 나타났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지구상에 생명이 돌연히 ... ...
PART3 위성체 2천년대 초에는 통신위성을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어떤 사진에서는 그 전날 비가 내린 지역을 식별할 수가 있었는데, 이것은 비에 젖은
식물
의 영상이 카메라에 다른 색반응을 주었기 때문이었다. 이로부터 가시광(可視光)과 적외선(赤外線)에 의한 화상(畵像) 관측기술등 새로운 관측기술이 많이 개발되었다. 이중 특히 가시적외선 화면은 사람의 ... ...
호르몬 주기따라 수컷행세를 한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식물
도 아닌 동물에서 단성생식을 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오늘날까지 알려진 것으로는 15개종이 암컷만으로 구성돼 있다. 이 가운데 6개종은 놀랍게도 암컷이 수컷비슷한 역할을 한다. 가짜 교미를 한다는 얘기이다. 최근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지가 보도한 채찍 도마뱀의 경우를 보면 이 ... ...
식물
의 유전자원 지키는 IBPGR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넓은데도 수집보존의 전문가가 적다. 지금까지 자원대국인 미·소에 다음가는 약30만점의
식물
유전 자원을 모았으나 남은 자원의 절대량이 훨씬 더 많다. 그래서 북경에 개설하는 사무소에 내년 9월부터 전문지도원을 두어 벼 보리 콩 과수 등 보존자원을 50만점까지 늘릴 계획이다 ... ...
보다 편한 잠을 위한 안내 침구속의 기상을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그러나 3개월된 유아는 렘기에 손의 온도가 올라간다. 그것은 혼수상태의 성인(
식물
인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대뇌의 발육과 관계가 있다.교감신경계를 억제하면 잠을 자게 되는 것일까. 이점을 고양이 실험으로 증명한 케이스가 있다. 뇌 시상하부(視床下部)의 복내측핵(腹內側核)에 교감신경 ... ...
로스 알라모스에서 열린 최초의 회의보고 인·공·생·명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싹이 트는 것을 조정하는 데에 사용하는 화학적 신호와 같은 것이었다. 그 결과는
식물
성장의 생생한 모습이었다. 그런 모델들은 진화의 가능성은 전혀 없는 채로 풍부한 발달을 보여 주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옥스퍼드의 동물학자이며 '눈 먼 시계공'이란 저서의 저자인 더킨스 박사는 놀라운 ... ...
경이의 자연사박물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대학연구팀과 공동으로 다루고 있는 것이 좋은 예. 이런 연구작업 중에서 '특정지역의 동
식물
보존방법'같은 테마가 박물관팀이 우수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얘기다. 자료의 대여·교환도 중요한 기능 전시와 연구기능 이외에 자연사박물관이 맡고 있는 큰 역할이 '자문기능'이다. 학구적인 ... ...
초능력의 세계를 본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지배적이다. 그러나 이런 관점에서는 소련의 과학자 '빅터 아마멘코'가 한 실험, 즉
식물
잎의 일부를 잘라내고 키를리안 사진을 찍었더니 잘려나간 부분에서도 '오라'가 나타난다는 현상을 설명하지 못한다. 아뭏든 키를리안 사진을 계기로 해서 미국에서는 60년대부터 초자연 현상에 대한 연구를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