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말썽많던 KAIST 연구부·학사부로 갈라진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홍원희교수는 "과학원교수들의 인사규정 중 독특한 것은 국제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수를 참조하는 것인데, 과기대교수들도 대부분은 이 조건을 적용한다 해도 크게 무리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87년 경주에서 과기대교수들의 세미나 중 90% 이상이 '진급이 늦어도 좋으니 통합이 급선무 ... ...
에너지혁명인가 「해프닝」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스티븐 존스'교수의
논문
에도 이의를 제기하는 연구자들이 늘고 있다. '존스'교수의
논문
은 유타대의 실험결과와 상당한 차이가 있다. 열량측정도 하지 못했고 γ선도 검출하지 못했지만, 수년간에 걸쳐 개발한 중성자계측기로 측정한 결과, 폰즈팀의 결과보다 적은양의 중성자를 검출했다고 적고 ... ...
이상희 과학기술처 장관 "10만 양병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있어요. 따라서 장관이 바뀌었다고 해도 큰 정책변화는 없습니다."항암제 연구개발관련
논문
으로 서울대에서 약학박사학위를 받은 이장관은 전직이 국회의원이다."의정활동을 할 때 여러 과학기술 관련법안을 만든 게 큰 보람으로 남습니다. 유전공학육성법 산업기술연구조합육성법 ... ...
컴퓨터가 블랙홀의 정체 밝혀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사실을 알게 된 것은 이 방면의 선구자라 할 수 있는 미국의 '윌슨'(wilson)이 1971년 최초로
논문
을 발표하면서 부터였다. 즉 수치상대론(numerical relativity)라는 새로운 학문의 분야가 태어나게 된 것이었다.(그림5)에는 '3+1' 시공간으로 기술되는 4차원 시공간이 주어져 있다. 그림에서 S는 어떠한 시간 ... ...
정보과학회 학술발표회 개최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한국정보과학회(회장 이철희)는 89년도 춘계학술발표회를 4월 14,15일 양일간 부산대학교에서 개최했다.컴퓨터과학을 중심으로 한 모든 응용분야의 학문발전을 선도하는 정 ... 소프트웨어 공학 데이타베이스 인공지능 자연어처리 정보통신 분야등에서 1백여편의
논문
이 새로 발표되었다 ... ...
한국인의 얼굴 모습 달라져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거의 없었다. 이미 반세기 전인 1934년 경성제대의 일본인 교수가 측정해 발표했던
논문
이 전부였던 것이다. 그런데 최근 한국인 얼굴에 대한 생체계측학적 연구가 일부 완성돼 우리 얼굴모습에 관한 요모조모를 보여준다.작년 6개월 동안 오인성형외과 함기선박사와 서울교대 조용진교수는 대학 ... ...
「꿈의 재료」아모르포스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수천명의 과학자들이 아모르포스금속에 관한 연구에 참여, 현재까지 약 5천편의 연구
논문
이 나오고, 수만 가지의 아모르포스금속들이 발견되고 있다.1초에 1조℃ 냉각시키면지금까지 알려지고 있는 아모르포스재료의 제조방법은 수십가지나 된다. 제조방법에 따라 재료의 모양도 달라진다. 긴 ... ...
기술사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서론 본론 결론의 답안지 작성에 미숙함을 알고 이에 대한 대비를 서둘렀다. 신문사설과
논문
형의 기술해설을 부담없이 읽어 나갔고 머리속에 요약해보곤 했다. 그때 기술사에 대한 나의 집착은 무척 집요한 것이어서 꿈에도 현장기술이 머리를 맴돌곤 했다.한번 실패로 초지일관 정진해 온 것을 ... ...
AIDS보다 무서운 질병 유행성출혈열과의 한판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것은 아니오"라고 하면서 두손을 꽉 쥐었다.1976년 4월 유행성출혈열 병원체 발견에 관한
논문
은 대한미생물학회 학술대회에서 보고되었다. 동시에 각 언론은 이를 크게 보도하였다. 보도기관의 관심과 반응은 상상외로 컸으며 1976년 4월29일자 동아일보는 제1면의 톱으로 이 기사를 다뤘다. 당시의 ... ...
전자제품의 정밀화 소형화에 기여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두께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며, 세째 전기전도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1974년 대학원
논문
연구테마로 관심을 두었다가 국내 최초개발의 주역이 된 김윤근박사는 PCB의 장래를 이렇게 진단한다."전자제품이 소형화 정밀화되고 회로망의 간격이 좁아져 더욱 얇은 동박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에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