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CSI의 추억 혈의 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혈흔을 찾기 위해 화학물질을 활용할 줄 알았다. 증수무원록언해에서 명시한 고농도의
초
가 바로 그것이다. 이윤성 교수는 이 방법에 대해 “다른 단백질을 제외하고 사람의 피만 분별하는 방법으로는 부적절하다”고 말하면서도 “혈액의 단백질 성분이 산에 노출되면 응고하는 성질을 이용했을 ... ...
북한 핵실험 어떻게 이뤄질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수평갱도가 결합된 구조일 것으로 추측했다.폭발 순간을 촬영하기 위해 100만분의 1
초
까지 찍을 수 있는 X선 고속촬영기도 설치된다. 고속촬영기는 방호유리 뒤에 45。 각도로 설치한 반사경을 통해 핵폭발 직후의 아주 짧은 순간을 찍고 바로 파괴된다. 폭발 영상은 수백~수천m 떨어진 무인관측소를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교수는 “앞으로 MP3플레이어 화면에도 황의 법칙이 성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직은
초
기 단계지만 차츰 MP3플레이어에도 휴대전화처럼 화면이 생길 것이고 이 때 화면의 크기는 분명 한계가 있겠지만 화소수 만큼은 황의 법칙을 따른다는 것이다. 디지털 발전 속도 빨라져디지털 세계는 관성의 ... ...
한반도 기후의 숨은 실세 극진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관련된 것으로 추측된다. 북극 진동과 맞물려 일어나는 한파 발생의 변화는 특히 늦겨울~
초
봄에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꽃샘추위로 알려진 봄철 한파의 상당수가 북극 진동의 영향으로 생긴 것이다.우리가 살고 있는 동아시아 지역은 대륙과 해양의 경계며, 열대와 고위도의 기상 현상이 겹쳐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10억분의 1m)의 벽을 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지난해 9월 삼성전자는 세계 최
초
로 60nm 플래시메모리를 선보였다.용량도 8Gb로 세계 최대였다. 인텔은 올해 65nm 공정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며, 다른 경쟁사들은 아직 90nm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는 삼성전자가 수년간 시장을 지배해온 노어(NOR) ... ...
06. 디지털 우주의 빅뱅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대폭발을 일으켜 계속 팽창한다는 빅뱅 이론의 기
초
가 됐다.우주를 ‘미터’(m)와 ‘
초
’(sec)라는 공간과 시간의 기본단위로 잴 수 있다면, 디지털 우주는 ‘비트’(bit)와 ‘헤르츠’(Hz)라는 사이버 시공간의 기본단위로 측정할 수 있다. 그러면 디지털 우주의 팽창을 규명하는 디지털 허블의 법칙은 ... ...
마침내 부활한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그의 죽음과 관련해 온갖 억측이 난무한 것은 사인이 베일에 쌓여있기 때문이다.올해
초
공동 연구팀은 이 어린 비운의 왕의 얼굴 복원에 나섰다. 과학자들은 먼저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고화질로 된 그의 미라 이미지 1700여컷을 촬영했다.촬영된 이미지는 복원 자료로 활용된다. 복원작업에는 지난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항생제 역할을 하는 것.3. 폐수 정화하는 나노벌집 : 미세한 구멍이 많이 뚫린 벌집 모양
초
분자. 오염된 물에 나노벌집을 넣으면 구멍 크기에 맞는 오염물질이 구멍 안으로 들어간다. 오염물질을 제거해 물을 깨끗하게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에 응용 가능.4. 만능 의약품제조기 나노공 : 막대 모양 ... ...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값이다. 전기 스위치를 15조번 켜고 끄려면 2만5000년 정도 걸리지만 요즘 트랜지스터는 1
초
에 같은 수만큼 켜고 끌 수 있다. 무어의 신화는 계속되는가? 불투명하다. 2010년이 되면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줄이는 기술이 한계에 부딪힐 수 있다. 무어와 함께 디지털 혁명도 끝나는가.제2의 디지털 혁명이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대화가능 로봇 개발 201884 쓰레기자원화 빌딩시스템 설계 기술 개발 201385 정찰·통신용
초
소형위성군 실용화 201886 원자로 안전성 극대화 기술 보급 201187 휘어지는 유기발광 대형디스플레이 실용화 201188 줄기세포 조직 및 장기분화유도 기술 개발 201789 인수공통전염병 관리와 치료법 개발 201590 재활 ... ...
이전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