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받고 있다. 지난 9월 4째주에 표 박사는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관련 학회에 주요 연사로
초
청을 받았다. 2002년 그는 황소자리 원시별에서 방출되는 새로운 가스덩어리를 발견했는데, 이 천체현상의 이름에 그의 성(姓)이 붙는 영광을 누리기도 했다. 이 천체현상에는 그의 성 영문인 ‘Pyo’의 ... ...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신경세포 사이의 미세한 공간인 시냅스 안에서 화학신호를 주고받는 과정은 몇 밀리
초
(1/1000
초
) 동안에 일어난다.과학 일러스트레이터인 존슨은 뇌조직을 얇게 잘라 현미경으로 찍었다. 이를 참고로 복잡하게 말려 있는 신경세포의 미로와 내부 구조물을 연필로 스케치했다. 원본 현미경 사진에서 ... ...
비정상 입자를 명품으로 키운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김도연 교수189cm의 훤칠한 키가 인상적이다. 다소 마른 편이라 키가 더 커 보인다. 그런데
초
등학교 때만 해도 통통한 편이었단다. 친구들은 ‘피그’ ‘짱구’라는 별명을 붙였다. 그 때도 키는 컸다. 그런데 농구해볼 생각 없냐는 선생님의 권유 한번 받아 본 적이 없다. 1960년대 국민소득 20 ... ...
외계행성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추진하고 있는 SIM은 두 대의 지름 30cm 우주망원경으로 구성돼 100만분의 1
초
에 이르는 정밀 위치측정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SIM을 이용하면 지구형 외계행성을 찾아낼 수 있다. 세 번째로 NASA가 추진하고 있는 케플러 프로젝트가 있다. 케플러는 2007년 발사를 목표로 건설되고 있는 1m급 ... ...
순간이 세상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0.01
초
먼저 발을 내딛는 순간이 승패를 좌우한다. 디지털기기는 현실의 순간을 실시간으로 생중계한다. 소립자에게 찰나의 삶은 운명이다. 모든 생명체는 살아남기 위해 생체시계를 찰나로 맞췄다. 우주는 10-43
초
뒤에 빅뱅으로 탄생했다. 순간의 쳇바퀴가 돌아가며 세상이 움직이고 있다. 지금 ... ...
당신의 순간은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다가가고 있다. 순간이 점점 짧아지고 있는 것이다. 지금 당신의 순간은 1
초
인가, 0.1
초
인가.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순간이 세상을 지배한다 당신의 순간은 안녕하십니까 1. 1비트도 놓치지 마라 2. 번개처럼 사라지는 입자 3. 생명은 빛보다 빠르다 4. 우주는 뻥튀기한 ... ...
무한 에너지 꿈꾸는 빛의 마술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조형기술이다.“우리나라에서 유일한 정통 레이저 연구실”이라고 자부하는 연구팀은
초
고출력 레이저를 개발해 핵융합 기술을 완성하는 날도 그리 멀지 않다고 본다.수많은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공 교수는 ‘남들 다 하는’ 벤처기업은 차릴 생각이 없단다.“송충이가 나방이 되려면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얼마 되지 않아 비상 신호를 보내는데 사용한다 그리고 이 신호를 수신한 잠수함은
초
장파 통신이 가능한 물 높이로 부상해 작전 내용을 전달받는다잠수함은 수중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위치 파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스스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관성항법장치(INS)를 이용해 항해한다 그리고 수면 ... ...
3. 생명은 빛보다 빠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간격으로 발사하면 펨토
초
동안에 벌어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펨토
초
는 1000조분의 1
초
다.맵다 | 맵다는 감각은 사실 맛이 아니라 통증이다. 즉 고추를 먹으면 통증을 느끼고 이것을 뇌는 매운 맛으로 인식한다. 이 글에서는 일상 용어인 ‘매운 맛’이라는 말을 썼다.중간체 | 효소, 항체 등이 ... ...
레일리의 아르곤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레일리는 아르곤을 발견하고 그 성질을 규명한 공로를 인정받아 1904년 영국인으로서는 최
초
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레일리는레일리는 1842년 영국 에식스주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존 윌리엄 스트럿인데 1873년 아버지가 죽자 조부 때부터 이어온 귀족의 작위를 받아 레일리 남작 3세가 됐다. ... ...
이전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