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 노트] ‘Big Science’의 고충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창출’ 또는 경제 발전의 수단에 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과학, 특히 기초과학은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비밀의 끄트머리를 더듬어 찾아가는 길이다. 표를 얻기 위한 수단은 더욱 아니다.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이 사업 구상 10년 만에 얼마 전 본격적으로 구축에 들어갔다. 땅을 파고, ... ...
- [Origin]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인공광합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자세로 다시 자연에게 배우고 있습니다. 가장 위대한 과학기술은 자연으로부터 나오며 우리가 할 일은 그것을 잃지 않고 보존하는 것입니다. 김영혜서울대 생체분자나노재료 연구실에서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있다. 식물 광합성을 모델로 이산화탄소를 전기화학적으로 전환하고 고부가가치의 ... ...
- [이투스교육] 국제 분업과 무역 & 자산 관리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한 지역 또는 국가의 경제문제가 다른 나라로 확대돼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원자재 수입 의존도가 높은 편이어서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시 생산비 증가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주요 선진국의 금융 위기 발생 시 수출 감소로 국내 경제에 타격을 ... ...
- Part 1. 가자, 러시아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팀만 16강에 진출할 수 있으니 32강에서는 조당 최소 6경기, 팀당 3번씩 경기하는 셈이야. 우리 대표팀과 함께 F조에 속한 멕시코, 스웨덴, 독일과 겨뤄 승점 2위 안에 드는 건 쉽지 않아. 내일부터 열심히 훈련해야겠는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 코치의 특별한 동행Part 1. ... ...
- 어느 수학자의 하루 - 커피, 맥주, 거품, 소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좁다. 이 컵의 디자인이 재밌는 광경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가운데 부분에서는 우리 생각대로 거품이 위로 올라가는데, 경계면에서는 밀도가 높아진 윗쪽 맥주가 아래로 가라앉는다. 이때 맥주는 거품을 함께 끌어내린다. 만약 이 흑맥주를 역원뿔 모양의 칵테일 잔에 따른다면 경사가 훨씬 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범인이 남긴 단서,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찾는 단서 중 하나가 지문이에요. 지문은 손가락 끝에 있는 곡선 무늬를 말해요. 우리가 엄마 뱃속에 있을 때부터 만들어져서 평생 그 모양이 바뀌지 않지요. 사람마다 지문의 모양은 다 달라요. 유전자가 같은 일란성 쌍둥이도 서로 다른 지문을 갖고 있답니다. 이 사실을 처음 알아낸 사람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체험도 하고 글쓰기 실력도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스케이트와 스키를 자주 타러 간답니다. 지난 2월,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를 맞이하여 우리 가족은 직접 경기장에 다녀 왔어요. 동계올림픽 정식 종목 중 하나인 노르딕 복합을 관람했지요. 노르딕 복합은 크로스컨트리 스키와 스키점프를 함께 치르는 경기랍니다. 이번 기회에 가장 보고싶었던 ... ...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요즘 제일 잘 나가는 과일은 자타공인 딸기다. 국산 품종 ‘설향’이 85%차지 지금 우리가 먹는 딸기는 칠레 야생 딸기가 북아메리카 딸기와 만나 탄생한 품종이다. 유전적으로는 염색체가 8쌍인 8배체 식물로, 2010년 스페인 연구진이 유전체를 해독한 결과 유전자가 총 7096개인 것으로 밝혀졌다.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번 발사에서는 거센 풍랑으로 벌룬과 페이로드 회수에 실패했다. 동서로 폭이 좁은 우리나라의 특성상 기구 회수는 바다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현재 바다를 통한 임무장비 회수 기술을 보유한 나라는 한국과 일본뿐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수를 제외한 벌룬의 발사와 추적까지는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2] 나라의 동맥과 정맥 교통 인프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위해 파이프라인을 통해 원유나 천연가스를 수입하는 방안을 검토해왔다. 특히 러시아와 우리나라를 이어 천연가스를 공급받는 ‘PNG(Pipeline Natural Gas)’ 사업을 추진하고자 했다. 천연가스를 액화시킨 뒤(LNG) 배로 실어와 다시 기화시켜 사용하는 방식보다 경제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러시아와 ... ...
이전346347348349350351352353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