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6,439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초의 외계 행성 이미지 포착?
과학동아
l
200410
최초 이미지일 확률이 매우 높은 사진이 지난 9월 10일 공개됐다.유럽남천천문대(ESO)는
지구
에서 약2백30광년 떨어진 곳에서 희미하게 빛나고 있는 갈색 왜성(사진 가운데) 옆에서 행성으로 추정되는 붉은 빛의 천체(사진 왼쪽아래)를 포착했다. 칠레 북쪽 체로 파라날에 위치한 직경 8.2m인 ... ...
태양탐사선 캡슐, 추락 불구 상태 양호
과학동아
l
200410
9월 8일 3년간의 임무를 마치고
지구
로 돌아오던 도중 태양탐사선 제네시스호의 캡슐이 낙하산 고장으로 추락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태양계 기원을 밝히기 위한 이 프로젝트에 무려 2억6천만달러(약 3천억원)을 투입한 미항공우주국(NASA)으로서는 큰 낭패가 아닐 수 없었다.이 캡슐에는 제네시스호가 ... ...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과학동아
l
200410
50년의 요구량을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우주태양광으로 얻은 전기에너지를
지구
에서 받는 시설이 차지하는 면적은 지상의 태양광 발전시설에 비해 고작 5%로 남한 정도다.게다가 이 시설은 전세계 어디에나 설치가 가능하다. 우주에서 발전한 전기에너지는 마이크로 전자기파로 변환해 ... ...
과학기술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대장균도 구르는 재주가 있다!
과학동아
l
200410
우리 몸의 세포 수가 60조개이니, 전자를 다 꺼내서 붙이면 약 1천억km가 된다. 인간은
지구
둘레를 무려 2백50만번이나 돌아야 하는 엄청난 길이의 DNA를 갖고있는 것이다.이처럼 놀라운 생명체를 연구해 인류에게 유익하게 이용하려는 생명공학기술은 이 시간에도 새로운 미래를 계속 개척해 나가고 ... ...
행성 탄생 장면 포착
과학동아
l
200409
생긴 것이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지점들은 별로부터 25-40천문단위(AU, 1AU=태양과
지구
의 평균거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거리는 태양계에서 해왕성과 명왕성의 궤도에 해당한다.리우 박사는 “AU 마이크로스코피는 나이가 1천2백만년인 아주 젊은 별”이라며 “이번 관측은 행성이 ... ...
① 천재선수, 유전자부터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09
결과 거의 II형인 것으로 밝혀졌다”고 덧붙였다. DD형 유전자를 갖고 태어난 사람이
지구
력이 필요한 종목을 택할 경우 똑같이 훈련을 받아도 뒤에 처질 확률이 높은 것이다.남녀차이 좁혀지지 않아 스포츠에서 남녀가 ‘자웅’ 을 겨루는 장면은 좀처럼 보기 어렵다. 탁구나 배드민턴의 ... ...
전신수영복의 원리
과학동아
l
200409
태양면의 일부가 갑자기 밝게 빛나면서 폭발하는 현상인 플레어가 발생하면 그 직후에
지구
에서는 일조반구의 전리권을 전파하는 단파대 전파의 강도가 급격히 약해지고 심할 때는 전파 수신이 불가능해지는 현상 발견자 J H 델린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강자성체의 탄성률이 자기일그러짐을 ... ...
호킹은 왜 자신의 블랙홀 이론을 수정했나
과학동아
l
200409
블랙홀로 빨려 들어간
지구
에 대한 정보는 어디로 간 것일까.만일 블랙홀로 빨려 들어간
지구
의 정보가 호킹 복사로 빠져 나올 수 있다고 가정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블랙홀 내부에서는 빛이 빠져 나올 수 없으므로 이 경우 정보는 빛의 속도보다 빠르게 전달돼야 한다. 즉 우리가 알고 있는, ... ...
최첨단 연대측정법 OLS
과학동아
l
200409
연대 측정은 끝났지만 학생들의 체험은 여기서 끝이 아니다. 이들의 연구 결과를
지구
과학 전문학술지에 실을 계획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최 박사와 함께 공동 연구자로 명기된다.김요한군은 “우리나라 첨단 과학의 최전선에서 연구가 무엇인지 조금이나마 알게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 ...
지름 35광년짜리 '슈퍼 알'
과학동아
l
200409
F인 이 천체는 남반구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인 황새치자리의 대마젤란은하에 속해 있다.
지구
에서 N44F까지의 거리는 대략 16만광년이다.이렇게 먼 우주에 ‘슈퍼 알’ 이 태어난 사연은 무엇일까.공교롭게 신라의 건국신화에도 커다란 알이 등장한다. 옛날 진한 땅에는 여섯 마을이 있었는데, 어느 ... ...
이전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