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뉴스
"
학과
"(으)로 총 4,670건 검색되었습니다.
불어가 좋았던 문과생이 음성인식 기술 전문가 된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24.07.13
마음에서 시작한 공부가 나를 과학기술자의 길로 이끌었다"며 4차 산업혁명시대에 언어
학과
과학기술이 어떤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했다. 학창시절부터 조 대표는 '말소리'에 큰 관심을 가졌다. 지역별로 말소리가 다르다는 점이 재밌어 사투리를 따라하는 것이 취미였다. ... ...
기후위기가 가져온 나비효과…홍수·가뭄이 지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24.07.13
줄어드는 바람에 지진이 일어난 겁니다. 2014년 콜린 아모스 미국 웨스턴워싱턴대 지질
학과
교수팀은 캘리포니아주 샌 호아킨 계곡의 지하수 고갈이 지반의 융기와 침강 반복을 일으켜 지진 활동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습니다. doi: 10.1038/nature13275) 샌 ... ...
中 100km 입자가속기 구축계획, 현실적으로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초대형 입자가속기가 건설되길 바란다는 의견도 있었다. 제이슨 리 서울시립대 물리
학과
교수는 “중국이 실제로 빠른 시일 내에 CEPC를 만들 수 있다면 물리학자들 입장에서는 환영할 일”이라며 “은퇴 전에 100TeV 출력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으니 욕심이 날 수 있다. 중국은 한국과 거리가 가까워 ... ...
물리학은 돈 안된다?…CERN 연구자들 "첨단테크의 시발점"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해결을 위해 매일 연구를 붙들고 있다“고 덧붙였다. 제이슨 리 서울시립대 물리
학과
교수도 ”전기를 처음 발견했을 땐 이를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앞으로 어떻게 쓰이게 될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며 ”전기가 이렇게 우리 일상에서 중요하게 쓰이게 될지 몰랐던 것처럼 지금 CERN에서 하는 ... ...
"우주 비밀, 모르는 게 더 많다"...힉스 이후 차세대가속기 개발 앞둔 CERN
2024.07.12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김태정 한양대 물리
학과
교수는 “일반 유저인 한국은 의사 결정 과정에서 한국에 유리할만한 결정이 일어나게 할 수도,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없고 발언할 기회도 없다”며 ""준회원국이 되면 연구자들의 발언 및 연구 ... ...
[육아하는 아빠 과학자]⑨ "네덜란드에선 육아휴직 없어도 육아·연구 병행 어렵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계약 기간 연장 신청을 하고 학위를 따겠다'고 연장 신청을 학교에 했다. 그날 바로 학교
학과
장으로부터 '8개월이 부족하지 않냐'면서 연장을 더 해줄테니 편안하게 연구해라라는 전화를 받았다. 안정적으로 연구를 할 수 있다는 믿음이 크게 생겼다는 게 이 연구원의 생각이다. 김 교수의 ... ...
日 거대 중성미자 검출기, 우주 비밀 담은 실마리 발견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20일 이탈리아에서 열린 '중성미자 2024' 컨퍼런스에서 마사유키 하라다 도쿄대 물리
학과
교수팀은 슈퍼 카미오칸데(Super-Kamiokande) 검출기로 초신성 중성미자의 힌트를 찾고 있다고 발표했다. 별은 초신성 폭발로 붕괴하면서 약 10의 58승개로 추정되는 수많은 중성미자를 방출한다. 지금까지 ... ...
자폐증 어린이, 장내 미생물 다르다…"조기 진단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치료 전략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치 수 홍콩중문대 의학·치료
학과
교수 연구팀은 장내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의 독특한 흔적이 자폐증 진단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마이크로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1~13세 어린이들의 대변 ... ...
'썩은 달걀 냄새' 나는 외계 행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광웨이 푸 미국 존스홉킨스대 물리학 및 천문
학과
연구원팀은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으로 외계 가스 행성인 'HD 189733b'의 대기 성분을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8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2005년 처음 발견된 HD 189733b는 태양계의 목성만큼 ... ...
새 중력파 찾으러 중성자별·우주배경복사 이용하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미세하게 바뀌는 순간을 포착해 중력파를 검출하는 원리다. 김정리 이화여대 물리
학과
교수는 "펄사를 이용하면 nHz(나노헤르츠) 단위의 중력파를 검출할 수 있다"면서 "과학자들이 지난 20년 동안 펄사 관측 데이터를 쌓고 있고 앞으로 이를 분석해 10년 내에 우주에 있는 대다수 초거대질량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