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뉴스
"
천문학
"(으)로 총 900건 검색되었습니다.
미 북서부 나타난 때아닌 유성우…정체는 재진입 실패한 스페이스X 로켓
동아사이언스
l
2021.03.29
모든 물질이 대기에서 타는 만큼 지역 내 지상에 예상되는 영향은 없다”고 밝혔다.
천문학
자들은 잔해가 재진입을 한다는 사실을 진입 전날인 25일 확인했으나 정확한 위치까지는 파악하지 못했다. 잔해가 약 60km 고도에서 흩어져 복잡한 지구 상층 대기의 영향을 받는데다 이동 속도도 시속 2만 7 ... ...
NASA "소행성 '아포피스' 100년간 충돌 가능성 없다"…문 대통령 탐사계획 밝힌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3.28
“그 결과 확실하게 위험 목록에서 아포피스를 제거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천문학
자들은 소행성의 궤도 외에도 레이더 자료에서 소행성의 모양과 회전 속도, 축 등을 분석하고 있다. 아포피스는 땅콩처럼 두 개의 천체가 붙은 형태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NASA에 따르면 길이가 200m가 넘는 ... ...
주변 물질 삼키고 에너지 내뿜는 블랙홀 자기장 모습 첫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천문학
자들이 지구에서 5500만광년 떨어진 M87 은하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블랙홀의 편광을 처음으로 관측하고 영상을 공개했다. 이 영상은 M87 은하 중심 블랙홀 가장자리 영역이 어떻게 편광돼 있는지 보여준다. 편광은 빛이 모든 방향으로 진행되는 게 아니라 한쪽으로만 진행되는 현상으로 블랙홀 ... ...
지구 두 차례 위협한 소행성 자전 속도 빨라지고 있다…충돌 위험 커질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체코 카렐대와 공동으로 이 같은 내용을 확인해 미국
천문학
회가 발행하는 ‘
천문학
저널(Astronomical Journal)’ 2월 11일자 온라인판에 게재했다고 18일 밝혔다. 2012 TC4는 2012년 지구에서 약 9만5000km 떨어진 지점을 통과했다. 2017년에는 이보다 더 가까운 달 궤도 안으로 진입해 정지궤도위성이 몰려 있는 ... ...
노화 불가피 ‘허블’ 대신할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지상 테스트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3.15
사실상 ‘퇴역’을 암시하는 징후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는 셈이다. 우주론과
천문학
연구자들의 시선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을 향하고 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허블 우주망원경의 뒤를 잇기 위해 2007년 발사될 예정이었지만 기술적인 문제로 수차례 개발이 지연되면서 당초 계획보다 1 ... ...
집 앞에 떨어진 돌조각, 알고보니 '생명 비밀' 간직한 운석
연합뉴스
l
2021.03.10
자연사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영국의 한 작은 마을에 떨어진 운석 조각들이
천문학
자들을 흥분시키고 있다. 운석이 태양계 생성기인 약 46억년 전의 화학 성질을 그대로 유지한 희귀 물질로 이뤄졌기 때문이다. 어쩌면 생명의 기원에 관한 단서가 담겼을 수도 있다고 학자들은 기대한다 ... ...
서른 살 된 허블망원경 너무 힘들었나…"안전모드 진입"
연합뉴스
l
2021.03.09
1993년 우주왕복선을 이용한 정비로 교정된 뒤 가장 우수한 성능의 우주망원경으로서
천문학
적 발견과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해왔다. 당초 설계 수명은 15년이었으나 모두 5차례에 걸친 우주 수리를 받고 30년째 활동하고 있으며, 당분간 더 '현역'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허블 ... ...
약 130억 광년 밖 초기 우주서 제트 내뿜는 퀘이사 관측
연합뉴스
l
2021.03.09
있다. 미국 국립전파천문대(NRAO)와 유럽남방천문대(ESO) 등에 따르면 독일 막스 플랑크
천문학
연구소의 에두아르도 바냐도스 박사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가장 멀리서 관측된 "전파가 밝은"(radio-loud) 퀘이사에 관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에 발표했다. ... ...
우주 보는 가장 큰 눈 ‘거대마젤란망원경’ 6번째 반사경 제작 착수…2029년 관측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및 건설 참여를 통해 차세대 천문우주과학 연구를 선도할 수 있는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천문학
연구에 발전을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다. 거대마젤란망원경기구(GMTO)는 글로벌 파트너 기관을 대표해 GMT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기구다. 한국천문연구원을 비롯해 호주의 호주천문재단과 ... ...
'용암의 강' 흐르는 슈퍼지구로 암석형 행성 대기 분석 길 연다
연합뉴스
l
2021.03.05
행성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UNSW
천문학
자 벤 몬테트 박사는 "글리제 486 b는 우리가 수십 년간 꿈꿔오던 행성"이라면서 "이 행성은 행성의 대기에 관한 이해를 바꿔놓을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 저널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