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뉴스
"
천문학
"(으)로 총 900건 검색되었습니다.
위성이 날아오는 순간 천체 관측 카메라는 눈을 감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3
저구저궤도를 도는 스타링크 위성의 움직이는 궤적이 반짝이는 천체들 사이에서 사선 형태로 촬영됐다. 국제천문연맹 제공. 지난해 6월 22일 박 ... 동선을 파악해 위성이 지나가는 영역과 시간을 피해 관측 스케줄을 조정하는 방안이
천문학
계에서 거론되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밝혔다. ... ...
수성보다 더 가까운 태양의 '이웃' 2천만㎞ 접근 소행성 관측
연합뉴스
l
2021.08.24
한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은 113일로 수성(88일)보다 길다. 미국 국립 광학·적외선
천문학
연구실(NOIRLab)에 따르면 '2021 PH27'로 명명된 이 소행성은 카네기과학연구소의 스콧 셰퍼드 교수가 칠레 '세로 토롤로 범미주 천문대'(CTIO)의 직경 4m 빅터 M. 블랑코 망원경에 장착된 암흑에너지카메라(DECam)로 ... ...
[잠깐 과학] 명왕성, 행성에서 탈락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8.21
행성의 기준을 만족합니다. 그렇다면 태양계 행성은 12개로 늘어납니다. 결국 국제
천문학
연합(IAU)은 2006년 8월 24일 체코 프라하에서 열린 총회에서 투표를 진행, 명왕성을 왜성으로 강등시켰습니다. 행성보다 작고 소행성보다 큰 천체를 ‘왜소행성’으로 새롭게 분류하기로 했습니다. 그 결과, ... ...
아틀라스 혜성, 5천년 전 태양 방문한 혜성서 쪼개진 일부
연합뉴스
l
2021.08.20
일부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메릴랜드대학교 행성
천문학
자 예콴지(葉泉志) 박사는 장주기 혜성인 아틀라스가 5천 년 전 태양에 3천700만㎞ 이내로 들어선 이름 모를 모(母) 혜성에서 쪼개져 나온 것이라는 가설을 '
천문학
저널'(The Astronomical Journal)에 발표했다. ... ...
'붉은행성' 화성 국지적 먼지폭풍도 고대 물 증발에 한몫
연합뉴스
l
2021.08.18
부는 작은 먼지폭풍이 물 증발에 기여했음을 증명하는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
천문학
'(Nature Astronomy)에 발표했다. 화성의 먼지폭풍은 차가운 대기 상층부를 가열해 수증기가 동결되지 않고 더 높은 곳으로 올라가게 한다. 이곳에서는 물 분자(H₂O)가 자외선 복사에 그대로 노출돼 수소(H)와 ... ...
극대기 이틀 넘겨 시간당 200개 넘게 쏟아진 페르세우스 유성우…
천문학
자들 "이례적 현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유성우의 극대기를 12일 밤과 13일 새벽 사이로 예상했다. 그러나 14일 밤과 15일 새벽 사이
천문학
자들의 관측에 따르면 유성우가 가장 정점일 때 한 시간에 볼 수 있는 유성의 수를 나타내는 정점 시율(ZHR)이 200 이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 3개 이상의 별똥별이 생겨났다는 의미다. 이는 ... ...
태양 부위별 회전 속도 달라...태양 자기장 미스터리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9
플라즈마가 어떻게 느린 속도의 파동을 보이는지를 알아내고
천문학
분야 국제학술지 ‘
천문학
및천체물리학’ 7월 20일자(현지시간)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태양 표면 플라즈마 파동의 기원을 찾기 위해 SDO의 10년치 데이터를 토대로 컴퓨터 모델링 기법을 고안했다. 모델링에는 2013년 관측된 큰 ... ...
과학자 UFO 찾아 나선다…미 하버드대 교수 ‘갈릴레오 프로젝트’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7.27
훨씬 낫다”며 프로젝트에 크게 기대하지 않았다. 아담 프랭크 미국 로체스터대 물리
천문학
부 교수는 “인류도 가까운 외계에서 생명체의 흔적을 찾는다면 탐사선을 보낼 것”이라며 “(UAP를 찾겠다는) 갈릴레오 프로젝트는 합리적 접근”이라고 말했다. 갈릴레오 프로젝트 홈페이지 ... ...
[표지로 읽는 과학]경이로운 기하학적 형태를 띠는 꽃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1.07.11
규명했다. 섭동이란 외부로부터의 상호작용으로 작은 변화가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천문학
에서는 행성의 궤도가 다른 천체의 힘에 의해 정상적인 타원을 벗어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콜리플라워는 달리아나 데이지와 함께 식물의 잎이 줄기에 달리는 형태가 나선 형태로 생겨나는 대표적인 ... ...
반짝반짝 작은 별? 사실은 쌍둥이 초거대 별!
과학동아
l
2021.07.08
이 별이 미지의 초대형 천체와 쌍성계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혀 국제학술지 ‘왕립
천문학
회 월간보고’ 6월 11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93/mnras/stab1211 쌍성은 두 항성이 공통의 질량중심 주위로 공전하는 항성계를 뜻한다. 연구팀은 이 별이 은하수의 밀집 지역에 있다는 사실을 토대로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