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균
병원균
균류
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병원체
뉴스
"
세균
"(으)로 총 1,01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ATCG가 아니라 ZTCG로 이뤄진 바이러스
2021.05.04
뒤 A에 밀려 사라졌고 오늘날 그 흔적이 몇몇 바이러스의 게놈으로 남아있다는 얘기다. 고
세균
의 조상인 초기 세포 생명체 가운데 게놈이 dZ-DNA로 이뤄진 종류도 있었을지 모른다. 흥미롭게도 이 시나리오를 뒷받침하는 발견을 담은 논문이 지난 2011년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에 실렸다. ... ...
유아는 중이염, 50대 고혈압·당뇨, 70대 이상 치매 '주의'
연합뉴스
l
2021.05.03
집계됐다. 중이염은 감기, 알레르기 등으로 인해 인두와 귀를 연결하는 관이 막혀
세균
이 증식해 생기는 병으로 11~2월에 발병 사례가 많았다. 초등학생(6~11세)의 경우 굴절 및 조절 장애 등 시력 관련 질환의 발병 빈도가 가장 높았다. 이 연령대 인구의 19.5%에 달하는 54만763명이 내원했다. 특히 ... ...
'자가검사키트·신속항원검사·신속PCR' 헷갈리는 코로나19 진단용어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3
검사라고도 불린다. 경기 여주시가 지난해 말 여주 시민 약 40%에 적용하고 이를 정
세균
전 국무총리가 적극적으로 질병관리청에 사용을 제안하면서 ‘신속PCR’이 유명해졌다. 신속PCR 방식 중 ‘역전사고리매개등온증폭법(RT-LAMP)’은 대표적인 기술로 손꼽히는데, RT-PCR과 동일하게 유전자를 ... ...
식약처, 에스디바이오센서·휴마시스 개인 자가검사키트 조건부 허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4.23
사용되고 있다. 두 제품 모두 ‘항원’을 이용한 진단 방식을 사용한다.
세균
이나 바이러스 같은 병원체가 몸속에 들어오면 면역세포들은 이를 인지하고 공격하는데 이 과정에서 항체가 생성된다. 항체는 병원체가 가진 특이 단백질(항원)에 달라붙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한다. 진단키트에 ... ...
코로나19 거리두기 장기화로 항생제 남용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9
억제하거나 죽여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필수 의약품이다. 그러나 남용되는 문제로
세균
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면서 보건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한국은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항생제 과다 처방 국가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한국의 하루 1000명당 항생제 처방이 2018년 29.8명으로 (OECD) 25개국 ... ...
유전자 교정 기술로 모기 말라리아 전파 능력 없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4
10명을 선정하며 인도네시아에서 뎅기열로 인한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 모기에 윌바키아
세균
을 집어넣은 생명공학 연구자를 선정하기도 했다. 실제 이 모기 덕분에 인도네시아에서는 뎅기열 환자 발생률이 77% 감소했다 ... ...
방역당국 "자가검사키트, 일반업소 출입조건으로 사용할 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1.04.13
중인 자가검사키트는 신속항원진단법을 사용한다. 이 진단법은 항원과 항체를 이용한다.
세균
이나 바이러스 같은 병원체가 몸속에 들어오면 면역세포들은 이를 인지하고 공격하는데 이 과정에서 항체가 생성된다. 항체는 병원체가 가진 특이 단백질(항원)에 달라붙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한다. ... ...
문 대통령 주문에 오 시장 변수 겹친 신속진단 논란…고민 깊어지는 방역당국
2021.04.13
시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신속항원진단법은 항원과 항체를 이용한 검사법이다.
세균
이나 바이러스 같은 병원체가 몸속에 들어오면 면역세포들은 이를 인지하고 공격하는데 이 과정에서 항체가 생성된다. 항체는 병원체가 가진 특이 단백질(항원)에 달라붙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한다. ... ...
서울시, 대학·학교·종교시설에 신속항원검사 도입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1.04.13
바꾸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신속항원 검사법은 항원과 항체를 이용한 검사법이다.
세균
이나 바이러스 같은 병원체가 몸속에 들어오면 면역세포들은 이를 인지하고 공격하는데 이 과정에서 항체가 생성된다. 항체는 병원체가 가진 특이 단백질(항원)에 달라붙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한다. ... ...
해조류 먹은 소는 메탄 방귀 덜 뀐다
과학동아
l
2021.04.06
방법이 개발됐다. 프리 그레이트 픽쳐스 제공 소가 풀을 먹으면 위 속에서 박테리아(
세균
)가 이를 발효시키며 분해하는데, 이 과정에서 메탄이 생성된다. 생성된 메탄은 트림이나 방귀의 형태로 배출된다. 소 한 마리가 하루 동안 배출하는 메탄가스의 양은 약 500L에 달한다. 인간 활동에 의해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