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나중"(으)로 총 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당신이 일을 상습적으로 미루는 이유2019.10.12
- 해야 하는 일을 내일의 나에게 '토스'하는 현상을 미루기(procrastination)라고 한다. 뻔히 나중에 가서 더 크게 고생할 걸 알면서도 왜 우리는 미루고 또 미루는 걸까? 미루기를 하게 되는 원인은 다양하다. 쉽게 예상할 수 있듯 성격적으로 게으르거나 주의 집중력이 낮고 다른 유혹(예, 친구들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액상 전자담배, 제2의 가습기살균제 되나2019.10.01
- 원인 아닐까. 필자는 구글 창에 ‘electronic tobacco & surfactant’를 넣고 검색해봤다(나중에 보니 전자담배는 electronic cigarette이다). 아무튼 결과가 나오는 데는 문제가 안 됐고 윗줄에서 필자의 추측과 비슷한 맥락인 최근 논문을 발견했다. ‘임상연구저널’ 9월 9일자에 발표된 미국 베일러의대 ... ...
- "어릴 적 만화잡지 보며 꿈 키워...뇌과학 접목한 만화 그리고파"어린이과학동아 l2019.09.28
- 떠오를 때마다 적어두는 습관을 기르면 많은 도움이 된다. 이 쌓아둔 아이디어들이 나중에 튼실한 나무를 키우는 질 좋은 토양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독자들에게 "내 만화를 좋아해줘서 진심으로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사실 예전엔 이런 마음이 없었는데 15년동안 연재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흉악범은 미디어의 관심을 즐긴다 2019.09.21
- 극악무도한 범죄를 선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한 총기난사범은 자신의 범죄가 나중에 영화화 될 것이라며 그 때 감독이 스티븐 스필버그인게 좋을지 아니면 쿠엔틴 타란티노가 더 좋을지 고민했다고 한다. 또한 이들의 다수가 유명한 연쇄살인범이나 총기난사범들과 자신을 비교하며 ... ...
- 가깝고도 먼 친척인류 얼굴 잇따라 복원 2019.09.20
- 미궁에 빠져 있던 고인류 데니소바인의 얼굴을 게놈 데이터를 이용해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현생인류 및 네안데르탈인보다 넓고 튼튼한 얼굴이 ... 연구팀은 아파렌시스가 아나멘시스에서 분리돼 나왔으며, 일정 기간 공존하는 과정에서 나중에 아나멘시스가 사라진 것으로 결론 내렸다 ... ...
- AI "쓰레기 무단투기 딱 걸렸어"동아사이언스 l2019.09.16
- 기술을 개발했다. 처음에는 서버 7대가 동원돼야 하는 엄청난 계산이 필요했지만, 나중에는 그래픽처리장치(GPU) 한두 장으로 계산할 수 있도록 크기와 속도가 개선됐다. 시각지능연구실은 이 외에도 다양한 응용기술을 연구 중이다. 강력하고 실용적인 원천기술을 확보해 두니 기업과 응용 기술을 ... ...
- 개구리 피부로 5000만명 살렸다…인류 구한 황당한 과학연구들동아사이언스 l2019.09.09
- 보이는 모든 연구가 쓸모없는 것은 아니다’고 반발하며 처음에는 허황돼 보일지라도 나중에 인류에게 큰 기여를 한 연구에 상을 주기 시작했다. 이번 수상자 5명의 연구를 소개한다. 개구리 피부 연구로 5000만 명을 살리다: 데이비드 새처 콜레라는 연평균 10만 명의 사망자를 내는 ... ...
- [인류와 질병]바이킹과 유산2019.09.08
- 많던 사르데냐섬에 대대적인 방역이 진행되었다. 카르타고와 로마는 처음에는 무기로, 나중에는 말라리아모기로 사르데냐섬을 공격했다. 아마 사르데냐 인은 지난 수천 년간 말라리아모기와 일종의 타협점에 도달했는지도 모른다. 건강과 질병 간의 아슬아슬한 타협이다. 사실 모기 입장에서는 ... ...
- 많이 풀고, 답 안보고, 즐기면서…수학 잘 하는 비결은 제각각수학동아 l2019.09.07
- 수학에 관심이 많아졌어요. 송승호 저도 어렸을 때 소마큐브나 칠교놀이를 좋아했는데, 나중에 커서 그런 퍼즐이 도형과 관련이 있다는 걸 알고 더 좋아하게 됐어요. Q. 수학의 어떤 점이 좋나요? 송승호 수학에 추상성과 논리성이 결합돼 있다는 게 좋아요. 과학은 새로운 사실을 실험으로 ... ...
- [사이언스N사피엔스]학자의 잉크는 순교자의 피보다 신성하다2019.09.05
- 그의 이름을 딴 게버(Geber)가 13세기 유럽에서 연금술사로 크게 활동하기도 했었다. 나중에 보게 되겠지만 자비르의 황-수은설은 유럽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었는데 예를 들면 16세기의 대표적인 연금술사였던 파라켈수스는 황의 원리, 수은의 원리, 염의 원리라는 3원리설을 주창하기도 했었다. 지금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