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경우"(으)로 총 3,025건 검색되었습니다.
- 폭로글포스팅 l20230727
- 잘못된 일은 바로잡아야 하기 때문에 마음을 먹게 되었습니다. 어떤 분들은 저의 이런 모습에 실망 하셨을 수도 있고 굿나잇님 같은 경우에는 저를 싫어하게 될 지 모르지만 다 인정하고 이해하겠습니다. 이제 일이 어떻게 흘러갈 진 모르지만 일단 제 딴에선 무단 트레로 간주하고 폭로하겠습니다 ... ...
- 훈민정음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30726
- 천한 글이라는 뜻의"언문"이라고 불렀어요.)양반들은 한자를 자주 썼지만 한자를 모르는 백성들은 문구를 잘못 읽어 벌을 받는 경우가 많았어요.그래서 훈민정음을 만들려고 하자,대신들이 "왜 좋은 글을 놔두고 새로운 글을 만드십니까?그건 오랑캐의 말을 배우는 것과 같습니다!"라며 반대했어요.그래도 세종대왕님은 포기하지 않았어요.밤낮 가릴 것 없이 ...
- 대한민국 역사 강사 설민석의 사건사고 & 역사 왜곡/오류기사 l20230724
- 페이지 이상을 그대로 베낀 것으로 나타났죠. 논문에서의 초록과 결론 작성은 굉장히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 중에 하나로, 특히 초록의 경우 예전에는 초록만 보고 좋은 논문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교수도 있었을 정도죠. 다른 곳이라면 인용처리가 부실하거나, 논문 도입부의 선행 연구나 이미 다 알려진 사실을 정리하는 부분에서 작성자가 부주의했다는 등으로 ...
- (챌린지) 인공위성을 우주로? 최순달 박사님기사 l20230724
- 내용 저희 연구단 연구원 일동은 최첨단 기술인 시분할전자교환기(TDX) 개발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며, 만약 개발에 실패할 경우 어떤 처벌이라도 달게 받을 것을 서약합니다. 최순달 박사님께서는 각서를 전달하신 뒤, 3년 만에 TDX 개발에 성공하셨으며, 대한민국의 통신 강국이 되는 것에 일조하셨습니다. 그리고 박사님의 다음 목표는 바 ...
- 멧밭쥐 현장탐사기사 l20230723
- 지으나 현재 알려진 바로는 갈대, 억새와 같은 외떡잎식물을 선호한다고 합니다. 암컷의 양육둥지는 세개 정도가 붙어서 발견되는 경우가 자주 있는데 이는 한 마리의 암컷이 예비용으로 미리 만드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양육둥지는 내시경 카메라로 안을 보았는데 아기가 돼게 핑크빛이었고 여러 마리였던것도 있었습니다. 멧밭쥐는 한 둥지에 아기를 ...
- [챌린지]세계 반도체 기술을 근본적으로 바꾼 연구자 강대원 박사님기사 l20230720
- 작게 만들 수 있는 집적회로용 모스펫을 개발했습니다. 이것은 대량 생산이 가능합니다. 그동안 개발된 반도체는 전원이 꺼질 경우 데이터가 사라졌습니다. 하지만 메모리용 플롵팅 게이트 기술을 개발하면서 저장능력을 지닌 반도체가 생긴 것입니다. 지금의 반도체가 만들어 지기까지 정말 많은 여정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1963년에 획득한 모스펫 특허 ...
- 리더팀과 함께한 제주 심화탐사 아카데미기사 l20230720
- 보기 위해 기업간에 경쟁으로 인해 더욱 더 돌고래에게 더 접근해서 돌고래는 밥을 먹어야 하지만 보트가 있어서 밥을 못먹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하정주 매니저님이 만약 돌고래를 보고 싶다면 보트를 타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보트가 아닌 해안가에서 쌍안경이나 카메라로 보는 것이 더더욱 돌고래에게도 우리에게도 편하다고 합니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 돌 ...
- (챌린지) 간호학의 김수지 박사님기사 l20230719
- 생기셨습니다. 1960년대, 당시 사람들은 심하게 아파야 병원에 왔습니다. 그래서 병원에 왔을 때는 이미 손 쓸 수 없는 상황인 경우가 많았죠. 당시 의료문화는 환자에게 병명을 알려주지 않았습니다. 환자는 자신이 어디가 아픈지 묻지만 다들 알려주지 않았지요. 때문에 환자들이 불안을 느낄 때 어떻게 간호해야 할지 지침이 없었습니 ...
- 로봇 ROBOT! 너는 누구니? - 보행로봇8 로키기사 l20230717
- 멋진 보행로봇8 로키 가 완성됩니다 그러나 로봇이라 그런지 모터부분이나 톱니바퀴 조립 부분에서 잘못하여 제대로 움직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가 만들어보니 이런 이유로 실패 한 것 같더군요.. 처음 당첨된 섭섭박사 만들기 키트인 보행로봇8 로키! 비록 제가 만드는 과정에서 실패하여 보행로봇이 아니라 정지로봇이 되었지만 당첨됨으로써 로봇에 ...
- 개가 냄새를 잘 맡는 이유는?기사 l20230716
- 냄새를 느끼게 되요.개는 사람보다 후각 세포가 더 많아서 개의 후각이 뛰어난 거에요.사람의 후각 세포는 약 500만 개 정도이고, 개의 경우에는 2억~10억 개 정도이죠. 그리고 개가 혀 끝을 햝는 모습을 봤을건데, 이러한 행동은 냄새를 더잘 맡기 위한 행동이에요.코끝이 축축해야 냄새 분자를 잘 포착하여 민감하게 냄새를 맡을 수 있기 때문이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