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톤"(으)로 총 84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모래, 어디에 쓰이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아스팔트의 재료로 사용된답니다. 2012년 전세계에서 사용한 콘크리트의 양은 300억 톤 정도로, 그중 60% 정도를 모래가 차지해요. 적도를 따라 지구 한 바퀴를 4층 아파트로 채울 수 있는 엄청난 양이지요. 우리 생활 곳곳에서도 모래를 발견할 수 있어요. 우선 모래를 이루고 있는 석영은 녹인 후 ... ...
- Part 3. 모래, 사라지면 모두 위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부족해진 구역이 전체 면적의 절반이 넘었어요. 이 지역은 30년 동안 매년 5억 6000만 톤의 모래가 채취된 곳이지요. 이후 일본 정부는 모래 채취로 만들어진 대형 웅덩이를 메우기로 결정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다가 들썩들썩~, 사라진 모래를 찾아라!Part 1. 모래, 세계 ... ...
- Part 5. 소행성에서 광물을 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특히 금속 자원이 많은 ‘1986DA’에는 철 100억 톤, 니켈 10억 톤, 금 1만 톤, 백금 10만 톤 정도가 있다고 추정되고 있어요. 지구에서 1년 동안 채굴되는 금의 양이 2700톤, 백금의 양이 450톤 정도인 것을 생각하면 상당히 많은 양이랍니다. 소행성 채굴 프로젝트 ...
- Part 4. 나무를 지켜라! 바다에서 온 종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30년 된 나무 한 그루로 60kg 정도의 종이를 만들 수 있어요. 반면 우리나라는 매년 1000만 톤이 넘는 종이를 만들고 있지요. 다행히 종이는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이를 만들 때마다 나무를 베지는 않지만, 나무는 자라는 속도가 느려서 대체할 원료가 필요하답니다. 이에 과학자들은 바다로 눈을 ... ...
- Part 1. [파도의 비밀] 노란선은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물로 파도를 만드는 ‘유압식’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요.파도풀 안쪽에는 물 수십 톤을 담을 수 있는 수조 여러 개가 있어요. 가득 찬 수조의 문이 열리면 300t이 넘는 물이 한꺼번에 아래로 빠져나오면서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바뀌지요. 그럼 이 힘에 의해 높이 2.4m, 속도는 5m/s가 넘는 거대한 ... ...
- [과학뉴스] 산호도 씹어 먹는 돔의 비밀 밝혔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경도가 높을수록 마모 스트레스를 잘 견딘다. 실제로 파랑비늘돔의 치아는 1cm2 당 82t(톤)의 마모 압력을 견딜 수 있다. 길버트 교수는 “바이오 미네랄 성분이 어떻게 생성되고 기능하는지 알 수 있었다”며 “치아의 구조를 모방해 새로운 재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평양 강남군에 설립된 평양생물기술연구소는 농약 생산에 특화된 곳으로, 수천 t(톤)의 비료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고 있다. 노동신문에 공개된 사진에서는 최신식 장비들이 눈에 띈다. 문제는 이 장비가 농약만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데 있다. 살충제를 만드는 데 쓰이는 장비 중 ... ...
- [Photo] ‘만인의 광물’ 방해석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뤄진 대표적인 광물이다. 석회암은 방해석 입자가 퇴적되거나, 방해석 성분인 플랑크톤과 조개류 등의 사체가 쌓여 다져진 뒤 약간의 불순물이 들어간 퇴적암이다. 대리암은 이 석회암이 지층 속에서 높은 온도와 압력을 받아 결정이 치밀하게 재배열된 변성암이다. 피라미드에서 지구온난화 ... ...
- Part 2. 금부터 희소금속까지, 폐전자제품에는 자원이 가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해요. 그런데 금광석 1톤에는 약 4~5g의 금이 들어 있지요. 한편, 버려진 폐휴대전화 1톤을 모으면 400g의 금을 얻을 수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휴대전화에서 금을 찾아라! 도시광산Part 1. 수명이 다한 물건들은 어디로 갔을까?Part 2. 금부터 희소금속까지, 폐전자제품에는 자원이 ... ...
- [Issue] 고래사냥꾼 추적하는 ‘오션 워리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포경(捕鯨·고래잡이)선의 활동을 저지하기 위해 지난해 8월 건조했다. 길이 54m, 무게 439t(톤), 최대 속도 25노트(시속 약 46km)로 바다를 누빈다. 길이 약 130m, 무게 약 8000t, 최대 속도 약 16노트(시속 약 30km)인 일본 포경선 ‘닛신마루’에 비해 크기는 작아도 속도는 훨씬 빠르다. 시 셰퍼드 등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