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소리
목청
음성
목청소리
thon
tone
색상
d라이브러리
"
톤
"(으)로 총 841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2016년 조사에 따르면 북한은 총 면적 320km²에서 연간 43만6000
톤
(t)의 고구마를 생산한다. 고구마는 위도가 높을수록 생산량이 증가해 북한이 남한보다 재배에 유리하다. 1990년대의 남한이 1만m²의 토양에서 22t의 고구마를 수확했지만, 북한은 현재도 1만m²에서 13.6t의 ... ...
[DJ CHO의 롤링수
톤
] 가상현실로 듣는 동요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위한 날입니다. 5월 1일부터 5월 7일까지는 어린이주간이고요. 그렇다면 롤링수
톤
은 어린이를 위한 동요를 소개할게요! ♬두껍아 두껍아 헌 집 줄게 새 집 다오두껍아 두껍아 물 길어오너라 너희 집 지어줄게두껍아 두껍아 너희 집에 불났다솥이랑 가지고 뚤래뚤래 오너라 ♬ 손등에 모래를 잔뜩 ... ...
[DJ CHO의 롤링수
톤
] 마이클 잭슨의 ‘배드’ 눈으로 보는 음악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음악을 듣는 걸로만 생각했던 사람들에게 텔레비전의 발명은 충격 그 자체였습니다. 음악을 보게 된 것이지요. 그리고 보는 음악의 즐거움을 극한으로 끌어올린 가수가 있습니다. 마이클 잭슨입니다.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전례 없던 일이 일어났습니다. 미국 최초로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 ...
[DJ CHO의 롤링수
톤
] 모리스 라벨의 ‘볼레로’ 음색의 마술사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주 : 가장 유명한 미국 음악 잡지 ‘롤링스
톤
’을 표방하는 롤링수(數)
톤
. 롤링수
톤
에서는 음악 이야기뿐 아니라 음악 속에 숨겨진 수학 이야기까지 들을 수 있습니다. QR코드를 찍어 음악을 들으며 읽으면 더 재밌을지도~! 지금 보고 있는 이 두 마디 악보를 기억해 주세요. 단 두 마디만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새로운 로켓 시대의 시작이었다. 보잉747 18대 맞먹는 추력높이 70m, 폭 12.2m, 무게 1420t(
톤
)인 초대형 로켓 팰컨헤비는 미국의 민간우주업체인 스페이스X가 개발한 것으로 현재 인류가 운용 중인 로켓 중 가장 크다. 국제우주정거장(ISS)까지 화물선 ‘드래곤’을 실어 나르던 ‘팰컨9’ 3기를 일렬로 ... ...
[DJ CHO의 롤링수
톤
] 지미 헨드릭스의 ‘퍼플 헤이즈’ 기타의 신과 27클럽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주 - 가장 유명한 미국 음악 잡지 ‘롤링스
톤
’을 표방하는 롤링수(數)
톤
. 롤링수
톤
에서는 음악 이야기뿐 아니라 음악 속에 숨겨진 수학 이야기까지 들을 수 있습니다. QR코드를 찍어 음악을 들으며 읽으면 더 재밌을지도~! “왼손으로 악수합시다. 그쪽이 내 심장과 더 가까우니까.” 미국 ... ...
[Career] 이것이 ‘신의 한 수’ 절연체 뺀 초전도 자석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대폭 줄었다. 4m에 이르던 초전도 코일의 지름은 1.2m로 3배 이상 작아졌고, 무게도 130t(
톤
)에서 6t으로 20배 이상 가벼워졌다. 韓 중이온가속기에 활용국내에서는 기초과학연구원(IBS)이 중이온가속기에 무절연 초전도 자석을 도입했다. 중이온가속기는 전자 같은 입자를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시키는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친숙하지 않다. 고약한 꼴과 냄새 때문일까. 인간을 포함한 동물이 하루에 수백 만t(
톤
)의 배설물을 쏟아내지만, 대변의 인생에 대해서 생각해본적은 없다. ‘버려진 것들은 어디로 가는가’는 그간 주목받지 못했던 대변의 순환 그리고 재순환 과정에 대해 써내려 간 책이다. 저자인 리처드 존스 ... ...
Part 1. 모래, 세계 곳곳에서 사라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0호
전체의 3분의 1이상을 차지하고 있지요. 그런데 중국은 2030년까지 도로를 짓는 데만 8억
톤
의 모래를 추가로 사용할 예정이에요. 또 선진국인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물론, 인도와 베트남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도 모래 사용량이 점점 늘어나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다가 ... ...
Part 5. 모래, 지켜야 할 소중한 자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0호
순수한 금속만 뽑아내고 남은 찌꺼기를 말해요. 우리나라에서는 한 해 평균 2000만
톤
정도의 슬래그가 발생하는데, 이중 반 정도가 건설재료로 쓰이고 있답니다. 하지만 슬래그는 모래보다 무거워서 높은 건물을 지을 때는 사용하지 못해요. 건물의 무게가 증가하면 그만큼 땅을 누르는 힘도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