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로"(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멍냥과학] 강아지는 모국어와 외국어를 구분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쿠아야 박사는 “몇 년 전 강아지 쿤쿤과 함께 멕시코에서 헝가리로 이사하며 쿤쿤이 주로 듣는 언어가 스페인어에서 헝가리어로 바뀌었다”고 말했어요. 이어 “이사 후 쿤쿤이 사람들이 다른 언어(헝가리어)를 쓰는 것을 알아챘을지 궁금했다”고 밝혔죠.이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팀은 총 18마리의 ... ...
- 쓰레기, 대체 얼마나 많은 거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1년 동안 사용하는 일회용 플라스틱 컵의 개수는 5100만×65=33억 1500만 개예요. 카페에서 주로 사용하는 11.55cm 길이의 일회용 플라스틱 컵 33억 1500만 개를 눕혀서 늘어놓으면 그 길이는 11.55cm×3,315,000,000=38,288,250,000cm가 돼요.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 약 38만 3000km(=38,300 ...
- [똥손 수학체험실] 나랑 ‘물물교환’할래? 나는 말랑이 거래 왕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아주 오래전부터 서로 필요한 물건을 주고받았어요. 이를 ‘물물교환’이라고 해요. 주로 곡식과 양, 소 등의 가축을 맞바꿨지요. 바로 이때 수의 역사도 시작됐어요. 내가 가진 물건이 몇 개인지 헤아리려면 하나, 둘, 셋…하고 수를 세야 했거든요. 이처럼 수는 무엇인가를 세기 위해 생겨났어요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유투버 과학드림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쓴다는 점에서 기자의 글쓰기와 비슷했습니다. 과학지식을 콘텐츠로 삼다 보니 연구소를 주로 취재한다는 점에서도 공통점이 있었어요.”그가 처음 유튜브를 시작하겠다고 결심한 이유도 과학기자 경력을 넓히기 위해서다. 그는 “이직용 포트폴리오가 필요했다”는 현실적인 대답을 들려줬다. ... ...
- [가상 인터뷰] 1mm 높이 차에도 시간 차이가?! 가장 정밀한 원자시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차이는 약 90조 년 동안 1초였어요. 콜코위츠 교수는 “우리의 원자시계는 실험실에서 주로 사용하는 레이저를 썼기 때문에 더 잘 활용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어서 “정밀한 원자시계로 암흑물질 발견과 상대성이론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도 했답니다 ... ...
- [논문탐독] 식중독 세균 vs. 장내 공생 세균 장 속에서 벌어지는 전쟁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일으킵니다. 매년 50명 안팎의 비브리오 패혈증 환자가 발생합니다. 비브리오 패혈증균은 주로 5월부터 9월까지 수온이 높아지는 시기에 활발하게 증식해 바닷물과 어패류를 오염시킵니다. 이렇게 오염된 어패류를 덜 익혀 먹거나 상처에 바닷물이 들어가면 감염됩니다. 비브리오 패혈증균은 우리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흘러요. 또, 많은 전자가 빠르게 흐를수록 전류도 커지죠. 우리가 가정에서 쓰는 전기는 주로 원자력 발전소에서 만들어지지만, 과일로도 적은 양의 전기를 화학 반응을 통해 만들 수 있어요. 그렇다면 샤인머스캣은 스마트폰을 충전하기에 충분한 전기를 만들 수 있을까요? 그러려면 샤인머스캣은 ... ...
- [그래프 뉴스] 한국에서 겨울 나기! 2691km 날아온 흑고니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6호
- 도착했어요. 혹고니는 흰색 털과 주황색 부리를 가진 새로, 몸길이는 1.5m 정도예요. 주로 몽골, 유럽, 러시아 등에서 번식하고 우리나라와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등에서 겨울을 나지요. 혹고니의 이동 경로는 우리나라와 몽골의 공동 연구팀이 조사해서 알아냈어요. 국립생물자원관 ... ...
-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사진을 찍는 데까지 성공했다. 지금은 태양계의 끝자락인 태양권계면을 넘어 더 먼 우주로 나아가고 있다. 천왕성을 방문한 것은 보이저 2호가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우리가 교과서에서 본 천왕성 근접 사진은 모두 보이저 2호의 작품이다.얼핏 보면 아무런 무늬도 없는 듯하지만, 천왕성의 대기는 ... ...
- [청소년 연구활동 보고서] ‘논문 한 편 쓰고 끝’ 67% 영재들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되는 식의 연구 부정이 잊을 만하면 한 번씩 드러나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주로 대학교수나 고위공직자의 자녀가 부모의 인맥을 이용해 연구의 참여도가 낮거나 없음에도 논문에 공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경우입니다. 저자로 등재된 논문을 대학 입시에 ‘스펙’으로 활용하기 위해서죠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