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후
뒤쪽
후방
뒷면
뒷전
등뒤
배면
d라이브러리
"
이면
"(으)로 총 44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의 나이 의외로 젊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해도 허블 상수 값은 50에서 1백 사이로 허블상수 값이 50
이면
우주의 나이는 2백억년, 1백
이면
1백억년이 돼 대체로 양자의 중간 값인 1백50억년으로 우주의 나이를 생각하고 있었다. 허블상수 값이 작다는 것은 지구와 관측 대상 은하의 거리가 멀고 따라서 수축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분 후에 HIV-1바이러스 항체의 유무가 판별된다. 즉 AIDS 양성
이면
푸른 색으로 변하고, 음성
이면
흰색으로 남아있게 된다. 무렉스가 내놓은 이 AIDS 진단시약은 검사시간이 단축될 뿐 아니라 (종전에는 수시간이 걸렸다) 특별한 검사장치를 요구하지 않아 매우 간편하다. 그러나 AIDS양성 판정에 있어서 ... ...
맞춤법교정 다양한 편집기능 돋보여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아래에서 소개하겠지만 엄청난 변화가 이루어진 것이 사실이다. 또 한글 2.0 발표의
이면
을 본다면 외국 워드프로세서들과 한판 승부를 겨룰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는 점도 중요한 사실이다.한글 2.0이 외국의 우수한 워드프로세서들과의 경쟁에서 승리하기에는 무리가 있겠지만 개발자적인 ... ...
국내반도체산업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세트산업(부품들을 조립해 완제품을 만드는 산업)과 마찬가지로 화려한 외형적인 성장의
이면
에 소재 부품 및 장비의 높은 대외의존도, 그리고 특정부문만의 편중발전이라는 취약점들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먼저 반도체제품 자체만을 보면 국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이 대부분 D램 등 표준제품이라 할 ... ...
컴퓨터의 땀을 닦아라!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연삭기계에 알맞다. 또 정밀도가 10~1백nm에 이르면 렌즈연마와 초정밀연삭,1~10nm
이면
IC용 마스크, 1nm 이하는 초정밀 전자빔(beam)장치가 요구하는 수준이다.물론 물리 화학의 영역에서는 피코(${10}^{-12}$)단위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공학에서 나노(${10}^{-9}$)를 이룬다는 것은 참으로 엄청난 진보라고 할 수 ... ...
4. 한국체육과학 연구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그랬던 것처럼 한달후 벌어질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도 선수들의 치열한 기록경쟁
이면
에는 스포츠과학자들의 '눈에 보이지 않는' 또다른 경쟁의 불을 뿜을 것이다 ... ...
키 땅딸이가 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판별기능하다. 팔목의 완관절 수가 나이와 같아야 정상이라는데 근거해서. 예를 들어 12세
이면
12개의 완관절이 X선사진 위에 나타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 완관절의 수가 9개만 보인다면 성장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았음을 암시하게 된다.키가 작으면 병에 잘 걸리지 않고, 수명도 ... ...
(4) 남녀 성결정의 마지막 열쇠 XY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후 세포에서 염색체를 분리하는데 이때 검사결과가 46 XY
이면
남성, 46XX
이면
여성, 46XX/46XY
이면
중성으로 판별한다.여기서 뭔가 미심쩍으면 호르몬검사를 통해 여성호르몬과 남성호르몬을 정량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또 외부생식의 형태가 남성에 가까운지 여성에 가까운지를 세밀히 관찰해야 한다. ... ...
1992를 해부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컴퓨터를 사용해 증명하는데 성공했다. 이를 기념해 1978년 일리노이대학의 우체국은 '4색
이면
충분하다'(foru colors Suffice)라고 쓰여진 스탬프를 사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컴퓨터를 사용한 증명은 전통적인 증명방법과는 사뭇달라서 아직도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3. ① 시작부터 틀렸다. ${e}^{x}$은 ... ...
생활주변에서 소재 찾으면 누구나 발명가 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발명하겠느냐고 포기해버리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 과학문명이 고도로 발달한 만큼 그
이면
에는 실로 사소한 문제가 해결되고 있지 않으며, 그것을 해결해야 할 사람은 과학자가 아닌 보통사람들이란 것을 깨달아야 한다. 사람이 살아가는 데는 수만가지의 크고 작은 물건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