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명"(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결정했는데, 실제 서비스현장에서 컴퓨터 비전의 이런 약점을 공격할 해커들이 분명 등장할 것이다.뛰어봤자 인간의 손바닥 안컴퓨터 비전 외에 일반적인 분야에서 딥러닝의 단점은 인간의 도움 없이는 학습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는 이미지 분류를 위해 컴퓨터가 학습하는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세돌 9단의 신의 한수라고 불리는 4국 78수 이후, 허둥지둥하는 알파고의 모습은 분명 바둑의 신과는 거리가 멀었다. 전문가들은 알파고가 학습하지 않은 데이터, 즉 78수를 마주했기 때문에 당황한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딥마인드의 대표인 데미스 하사비스는 자신의 SNS에 “알파고는 이세돌이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변화하는 양은 곧 시간이다. 페이스북이라는 사이버 세상에 세슘 원자 시계는 없지만, 분명 시간이 흐른다.시간은 ‘환상’일 뿐일까?창발하는 시간은, 우리가 잘 아는 물리량과도 비교할 수 있다. 열과 압력은 근원적인 물리적 실체가 아니다. 풍선 속에는 수없이 많은 기체 분자들이 들어 있고,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현대 과학의 내용을 알거나, 갑자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낼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분명 작은 씨앗 같은 생각의 단초는 얻을 수 있을 거라고 본다. ‘교토대 과학수업’을 쓴 우에스기 모토나리 교수가 말했다. 강의는 추리소설의 복선을 쓰는 것과 같다고. 오늘 읽은 이 두 권의 책이, 언젠가 ...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적당한 선으로 규칙을 수정했다. 만약 최첨단 그래픽카드 등 하드웨어를 보완한다면 분명 이전보다 더 나은 모습을 보일 것이다.한 구글 딥마인드의 데미스 하사비스나 데이빗 실버 같은 세계 최고의 개발자들이 무턱대고 이세돌에게 덤비지는 않을 것이다. 뭔가 숨기고 있는 게 있을 것 같다.김 ...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실험실 쥐들이 운동하는 시간과 비슷했다. 동물들에게 물어볼 수는 없지만, 연구팀은 “분명 쳇바퀴 굴리기를 즐기는 것 같았다”고 밝혔다. 어떤 동물은 마치 사람처럼 운동하는 걸 그저 좋아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사냥꾼이 설쳐 대면, 호숫가 오리는 살을 뺀다어떤 동물은 식사량을 조절해 살을 ... ...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홀의 결혼정리수학동아 l2016년 03호
- 한 직선 위에 있습니다. 즉 어떻게 해도 일반적인 위치가 될 수 없습니다. 참 이상하지요? 분명 집합 A6이 없을 때는 일반적인 위치에 있는 점 5개를 뽑을 수 있었는데 말입니다. 더욱이 집합 A6는 일반적인 위치에 있는 점들만을 모아 만든 것인데 말이죠.집합 A1, A2, A3, A4, A5, A6에서 뽑은 집합 k개의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생기는 모습을 관찰했습니다. 그리고 지팡이의 그림자가 지팡이의 길이와 같아지는 때에 분명 피라미드의 그림자도 피라미드의 높이와 같을 것이라고 추측했습니다. 그는 피라미드의 중심에서 그림자의 끝에 이르는 길이를 재 피라미드의 높이를 구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대나무의 키도 같은 ... ...
- [특별인터뷰]“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열혈 탐사팀 프로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2016년에 지구사랑탐사대가 되려는 어과동 친구들에게 한 마디 부탁드려요.고민욱 : 분명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될 거예요! 생명을 사랑하고, 호기심 많은 친구들이라면 망설이지 말고 신청하세요. 아 참, 올해엔 새롭게 제비 탐사도 추가된답니다.엄재윤 : 지사탐 대원이 되면 자연과 접할 수 있는 ... ...
- [Editor’s Note] 고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쓸 수 있었다. 한 해 넘게 추적하며 축적한 취재 결과를 멋지게 담아 낸 이번 특집은, 분명 두고두고 볼 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최영준 기자는 몇 년에 걸쳐 시도해 온 탈모 극복기를 한 편의 체험형 과학기사로 승화시켰다. 드러내기 쉽지 않은 일이었을 텐데, 이를 용감하게 공개하고 과학과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