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믿었던 킬러 T 세포가 고장 나면 어떻게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과도하게 일어날까요? 한 번 활성화된 킬러 T 세포는 어떤 면에선 ‘기억 세포’라고 볼 수 있어요. 자신이 어떤 바이러스를 무찔렀는지 기억해야 다음에 같은 바이러스를 만나도 더 빠르게 나설 수 있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어린이는 상대적으로 여러 질병에 노출된 횟수가 어른보다 적어요. 따라서 ... ...
- [통합과학 교과서] 거울 나라의 우유는 마실 수 없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있는 거울상 이성질체는? 우리 주변에서 거울상 이성질체 관계의 물질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스피어민트와 캐러웨이라는 식물에서는 ‘카르본’이라는 물질이 발견돼요. 그런데 스피어민트에서 발견되는 R형 카르본 분자는 우리가 스피어민트 껌을 씹을 때처럼 시원한 박하 향이 ... ...
- 챗GPT 과연 수학자를 위협할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수학은 논리와 통찰력이 중요한데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는 이 부분이 약하다고 볼 수 있어 아직은 연구를 보조하는 수단 정도로만 사용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자연어 처리 및 AI가 빠르게 발전하는 만큼 미래에는 이러한 기술의 도움으로 수학자의 역할이 약간 변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필즈상 ... ...
- [Reth?king] 2000년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에서 새로운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비유클리드 기하학으로 넘어가는 과정은 인류 지성사의 발전을 볼 수 있었던 한 단면이 아닐까 하고 생각합니다. 인문학자 : 비유클리드 기하학으로 수학이 어떻게 지적인 도약을 했는가를 잘 요약해주신 것 같아요. 그런데 비유클리드 기하학은 수학의 발전뿐 아니라 과학의 ... ...
- [가상인터뷰] 로마제국이 사랑한 납작한 얼굴의 강아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사람들이 엄청 좋아해줘요. 사실 로마제국에서는 저보다 주둥이가 긴 개들을 더 흔히 볼 수 있긴 해요. 주둥이가 길고 비강이 넓은 개들은 냄새를 잘 맡고, 두개골이 길고 코가 가는 개는 시력이 좋죠. 걔네들은 대부분 농장을 지키거나, 양을 몰거나, 사냥을 하느라 바빠요. 그에 반해 저는 그저 집 ... ...
- 프로야구 순위 경쟁, 게임 체인저는 여름?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등 1만 8907개 데이터를 수집한 뒤 실제 투구 결과와 비교했다. 투구가 스트라이크인지 볼인지는 메이저리그의 투구 추적 기술을 통해 확인했다. 그리고 판정 정확도에 심판의 나이, 경력, 기온 등 어떤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지는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봤다. 그 결과 판정 정확도에 가장 큰 영향을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진화의 땅에 발령된 호기심 전염주의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호기심 전염이 음식점 영업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볼 수 있듯, 이런 연구 결과는 경영학, 경제학, 진화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중이다. 앞으로도 무궁무진한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순도 100%’ 호기심은 측정하기 어렵다 그렇다면 비인간 ... ...
- [과학 뉴스] 스스로 땅속을 파고드는 씨앗 운반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땅속을 파고들어 꽃을 피우는 식물이 있습니다. 바로, 유럽과 아시아 등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국화쥐손이지요. 2월 15일,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 연구팀은 국화쥐손이 씨앗 구조를 모방해 씨앗 운반 로봇을 만들었다고 발표했어요. 국화쥐손이의 씨앗은 한쪽 끝에 꼬리가 달린 채 나선형으로 감긴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던지는 중요한 질문들에 더 집중한 이야기를 들려드릴 예정입니다. ‘빛을 내지 않아서 볼 수도 없는 암흑물질의 존재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왜 초고성능 슈퍼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도 실제 우주를 완벽하게 재현할 수 없을까?’ 이처럼 천문학자들이 아직 풀지 못한 다양한 미스터리를 ... ...
- ‘접시뇌’에게 컴퓨터 게임을 시켰더니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뇌세포의 연결을 컴퓨터의 회로처럼 활용했다는 점에서 뇌세포를 이용한 컴퓨팅이라 볼 수 있다”며, “‘바이오컴퓨터’의 가능성을 열어젖혔다”고 평했다. 이번 케이건 박사팀의 연구는 정보 처리를 위해 뇌세포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지금까지의 바이오컴퓨터 연구와 맥락을 달리한다.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