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늪
연못
굳은살
징
호수
핀
머리핀
d라이브러리
"
못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보물을 품은 거인? 고대 유적의 비밀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투덜거리며 용용에게 말했습니다. “용용, 네가 한번 해 봐.”“난 손이 없어서
못
그려. 알아서들 하시라고.”딱지는 곰곰이 궁리해 봤습니다. 손을 떼지 않고 한 번에 기호를 그리려면….“아, 이거다! 여기서 시작해서 여기서 끝나면 돼요!”자신 있게 나선 딱지가 마침내 손을 떼지 않은 채로 ... ...
기계학습 AI에 입력된 데이터로 결과를 예측해보자!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따뜻해지면서 점점 들리기 시작했거든요. 특히 무더운 열대야가 극심한 요즘에는 잠을
못
잘 정도라니까요? 기온과 귀뚜라미 울음소리 빈도의 관계가 궁금해진 아이폴리는 날마다 귀뚜라미 울음소리 빈도를 조사했습니다. 그리고 조사한 자료를 정리하고 데이터로 입력했죠! 2단계 : 입력된 ... ...
[특집] 더 자고 싶었는데! 겨울잠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이번 겨울엔 뭔가 겨울잠을 제대로 잔 것 같지가 않아! 바깥이 소란스러워서 잠을 제대로
못
잤더니 온몸이 찌뿌드드하다고. 누가 내 겨울잠을 방해한 거야?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특집] 더 자고 싶었는데! 겨울잠Part1. [특집] 동물들의 겨울잠이 방해받고 있다!Part2. [특집] 겨울잠, 왜 ... ...
작은 인류의 미스터리, 쌓여가는 인류의 다양성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Homo naledi)라는 새로운 종명이 붙여졌다.호모 날레디의 몸집은 작은 편이다. 150cm에 살짝
못
미치는 키는 현생 인류에서도 충분히 볼 수 있는 몸집이다. 그러나 500cm³ 남짓한 호모 날레디의 두뇌 용량은 현생 인류에서 보기 어렵다. 특히나 이 정도의 몸집과 두뇌 용량이 조합을 이루는 경우는 없다. ... ...
확률형 아이템 논란, 득템이 어려운 진짜 이유는?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자의 경우 독립사건이기 때문에 4번을 도전해도 빨간 공을 뽑지
못
하는 경우도 있죠. 물론 시행횟수를 무한히 늘리면 전자의 경우가 수학적 확률에 수렴합니다. 이를 ‘큰 수의 법칙’이라 하죠. 하지만 확률형 아이템의 경우 시행하기 위한 비용도 내야 하니, 도박사의 ... ...
[SF 소설] 생명의 노래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작은 입으로 여기저기를 물어뜯었다. 퓨라가 크게 몸부림을 칠 때마다 어미가 와서 꼼짝
못
하게 눌렀다. 그러면서 퓨라의 노래는 한층 더 열기를 띠었다. 이새는 차마 볼 수가 없어서 눈을 감았다. 하지만 눈을 감으니 들려오는 노래는 너무 고상하고 감미로웠다. 그러자 머리에서 또 죽어가는 ... ...
[특집] 동물들의 겨울잠이 방해받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곰이 한 달 늦게 겨울잠에 들었고, 러시아에서도 동물원의 곰들이 겨울잠을 이루지
못
하는 일이 발생했죠.동물원의 사육사들은 이 일이 역대급으로 따뜻했던 겨울 때문이라고 밝혔어요. 날이 추워지면 곰은 겨울을 버티기 위해 체중을 늘리고 겨울잠에 드는데, 기후변화로 곰의 겨울잠이 방해받은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사람과의 삶을 택한 맹금류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때문이다. 동물의 크기가 작을수록 골든타임은 더 짧아진다. 참새는 반나절도 버티지
못
한다.다행히 골든타임 전에 도착한 개체는 일단 끈끈이를 제거한다. 깃 일부가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2~3일에 걸쳐 조금씩 제거한다. 개체가 스스로 깃을 손질해 제거할 수 있는 양은 ... ...
[통합과학 교과서] 맛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그중에서도 후각은 맛을 느끼는 데 큰 영향을 미쳐요. 감기에 걸려서 냄새를 잘
못
맡을 때 음식이 맛없다고 느끼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랍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전자혀로 맛보는 로봇 셰프! 지난해 11월 영국 리즈대학교 에프렌 안다블로 레이즈 ... ...
[핫이슈] 뮤온의 ʻ흔들림 값’ 예측보다 커 새로운 기본입자 가능성?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위한 기준인 5 시그마(결과가 통계적 오차로부터 기인했을 확률 350만분의 1)에는
못
미치지만 상당히 높은 신뢰도다.이번 연구에 참여한 김온 기초과학연구원(IBS)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 연구원은 “(뮤온 자기모멘트의 실험값과 이론값이 다른) 결과가 맞다면 표준모형 너머의 이론이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