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늪
연못
굳은살
징
호수
핀
머리핀
d라이브러리
"
못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해롱 선장과 페가수스 선장이 라이벌?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9호
하긴 뭘 열심히 해! 그리고 라일락? 푸하하, 해롱 선장은 감히 라일락 국장에게 말도
못
걸었을걸. 해롱 선장이 페가수스 선장을 싫어하는 진짜 이유를 내가 알려주지 ... ...
[매스미디어] 정글크루즈 치유의 꽃잎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일당은 ‘달의 눈물’의 전설에 가장 가까이 다가갔다. 그러나 인간의 욕망을 숨기지
못
해 끝내 저주에 갇히고 말았다. 그 뒤로 400여년이 지난 1916년, 그들을 조력자로 삼으려는 또 다른 세력에 의해 다시 눈을 떴다. 아귀레 일당은 늘 두 생물과 같이 다닌다. 뱀과 벌이다. 특히 영화에서 인상 깊은 ... ...
우정도 계산할 수 있나요? 친구 고민 상담소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9호
알고 보니 학교생활의 최대 고민인 친구 관계 때문이래. 코로나19 때문에 친구들을 자주
못
만나서 고민이 더 커졌나봐. 세 친구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수학으로 싹 해결해 주자!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우정도 계산할 수 있나요? 친구 고민 상담소Part1. 친구 관계 테스트 │우정을 ... ...
[기획] 최장거리 비행 기록을 갈아치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새의 이름은 ‘큰뒷부리도요’입니다. 그런데 큰뒷부리도요는 지구 위의 누구도 하지
못
하는 일을 할 수 있답니다. 바로 ‘쉬지 않고 멀리 날기’예요. 작년 10월 27일, 뉴질랜드의 조류 보호 단체인 푸코로코로 미란다 도요물떼새 센터는 발목에 매단 가락지의 색을 따라 이름 붙인 ‘4BBRW’라는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바람에 흩날리는 벚꽃 잎을 보며 봄을 만끽 중이야! 그런데 코로나19로 꽃구경을
못
가서 아쉬웠다고? 그렇다면 내가 소개하는 영상을 한번 봐!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 ‘어과동 TV’에도 매일 재밌는 과학 영상이 업데이트 되고 있으니 많이 놀러와 줘! 면봉으로 콕콕, 벛꽃이 활짝! ... ...
우리는 더 이상 기다리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없다면 빛을 보기 힘들 수도 있지. 우리도 소셜미디어 같은 환경이 없었다면 여기까지
못
왔을 거야.” 방탄소년단 멤버 뷔는 자신들의 경험에 빗대어 관련 기술, 인프라가 마련되면 수소도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수소차를 도로에서 심심찮게 발견하기까지 아직 돌파해야 할 장애물이 ... ...
보행의 영역이 모빌리티의 영역으로│이진복 올룰로 공동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있기 때문에 동네마다 교통 편의성이 다르다. 라스트 마일은 대중교통이 도달하지
못
하는 구간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특히 서울은 라스트 마일 이동 수단에 적합한 도시로 꼽힌다. 서울에서 자동차 이동의 절반가량은 5km 이내의 단거리고 평균속도는 시속 24km에 불과하다. 교통체증은 ... ...
[다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일라! 외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변장한 큰낙엽사마귀 는 바람에 흔들리는 낙엽의 움직임까지 따라 한답 니다. 나는
못
찾겠다 꾀꼬리~! ● 금손 모여라! 3D펜으로 호랑이 만들기 조회수 : 499만 회채널명 : Hoo’s mini world (구독자 수 : 20.5만 명)어흥! 3D펜의 펜촉에서 맹렬한 호랑이 한 마리가 탄 생했어요! 한올 한올 섬세한 털을 ... ...
[연중기획] 인공지능 교과서 훑어보기 1탄
수학동아
l
2021년 07호
발전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스피커의 경우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사람의 말을 잘
못
알아 듣거나, 대답하는 목소리도 단순한 기계음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요즘엔 주인의 목소리만 쏙 골라 인식하기도 하고, 사람과 비슷한 목소리로 다양한 화법을 사용해 대답합니다. 고도로 발전한 ... ...
몸집 키워 돌아온 종이접기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조 교수는 “처음 종이접기 연구를 시작한 2009년에는 이렇게 많은 관심을 받지
못
했다”며 “오히려 2011년 들어서 외국의 저명한 학자들부터 종이접기 연구의 가치를 알아주기 시작했다”고 했습니다. 조 교수는 “아이디어에 믿음을 갖고 가시적 성과가 바로 나오지 않더라도 꾸준히 시도했다”며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