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쓸 줄 모르면 손해! 생성AI 똑똑한 사용법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놀자’라는 교육 프로그램은 AI 교육의 기회에서 소외되는 지역이 없도록 전국의 청소
년
에게 제공된다. 김 교수는 “대국민적인 AI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전국민이 AI와 친숙해져야, 앞으로 더욱 발전할 생성 AI 시대 속에서 격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당신의 생각보다 더 많은 것을 담고있다 'DNA와 체액'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대상자가 사망했다고 추정할 수 있다. DNA의 메틸화 패턴을 통해 조직 주인의 나이도
년
의 오차로 맞출 수 있다. 미생물이 알려주는 체액의 역사 앞치마에 묻어있던 아주 작은 조직에서 DNA를 추출하는 데 성공했다. DNA의 메틸화 패턴을 분석한 결과, 이 조직이 임 씨의 심장 부근에서 왔다는 사실이 ... ...
[시사기획] 카이스트에서 의전원을? 의사공학자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약 25
년
이 지난 지금, 한국은 아직 경쟁력을 다투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2024
년
1월, 2025학
년
도 의대 정원 수를 확정할 예정이다(기사 작성일 12월 13일 기준). 국내 의사과학자 양성에도 그에 따른 변화가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 ...
[과학사 극장]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에게 노벨상을 도둑맞았다?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기관의 성차별적이고 위계적인 문화에서 찾아야 한다. 프랭클린이 근무하던 1950
년
대 초 그곳은 여성 과학자가 남성 동료들과 협력하기 어려운 문화를 갖고 있었다. 가장 큰 식당은 남성만 출입가능했고, 심지어 직원들이 커피를 마시는 휴게실조차 성별에 따라 분리돼 있었다. 동료 연구자들과 ... ...
[독자기고] 동그란 무지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밝았습니다.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을 기준으로 1
년
을 세고, 그 1
년
을 ‘한 해’라고 부르는 게 무척 재미있죠. 새삼 인간들이 해를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지 느껴지는 지점입니다. 물론 기자는 1월 1일 일출을 본 적이 단 한 번도 없습니다. 대신 전국에 퍼진 수많은 ‘새해 ... ...
[이달의 책] 재난에 맞서는 과학: 오늘의 과학 탐구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중심엔 과학이 맞서지 못했던 ‘가습기살균제 참사’가 있다. 가습기살균제 참사는 십수
년
동안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한 전국 수만 가정에서 폐질환 환자가 발생한 화학물질 사고다. 저자는 이 엄청난 참사가 사회적 재난이라는 사실부터 설명해야하는 현실을 문제의식에 아우른다. 저자는 ... ...
문제 풀다 눈 맞아 결혼! 해피엔딩 문제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다만 1935
년
세케레시와 에르되시는 해피엔딩 문제에 항상 답이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1961
년
에는 n이 3보다 크거나 같을 때 볼록 n각형이 그려지려면 최소 점의 개수가 1 + 2n - 2보다 작거나 같다고 추측했다. 이를 ‘에르되시-세케레시 추측’이라고 부르며 이 역시 아직 미해결이다 ... ...
참가자 모두 짝이 된다! 게일-섀플리 알고리듬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줘서 모두가 커플이 되는 미팅 방식을 연구했다. 이를 ‘안정적인 결혼문제’라 한다. 1962
년
미국의 수학자 데이비드 게일과 로이드 섀플리는 이 문제의 해법을 제시했다. 일명 게일-섀플리 알고리듬! 이 알고리듬은 서로에 대해 선호를 가진 같은 크기의 두 집단을 ‘안정적’으로 짝짓는 방법이다. ... ...
푸딩 쏙 빼닮은 블랑망제 함수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불가능한 함수의 한 종류다. 1904
년
일본 수학자인 타카기 테이지가 발견했다. 이후 1980
년
대에 영국 수학자 데이비드 톨이 자신의 논문에서 블랑망제 함수라고 부르면서 별칭으로 굳어졌다. 블랑망제라는 이름을 생각해낸 건 톨의 동료인 존 밀스였다. 그는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의 요리책인 ...
수학자의 레시피, 그 맛은?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은은한 차의 향이 조화를 이뤄 달콤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맛이 나는 크림티 스콘. 2013
년
영국 수학자 유지니아 쳉은 완벽한 스콘을 만들기 위한 ‘크림티 스콘 방정식’을 발표했다. 그는 스콘의 지름과 재료의 중량 비율에 따라 수많은 크림티 스콘을 만들며 실험했다. 그 결과 수학적으로 가장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