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속았지? 콜라인 듯 콜라 아닌 비밀 간식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확인했지만, 윤리적인 문제로 최근에는 전 세계에서 동물실험을 지양하고 있지요. 2023년 11월 부산대학교 의생명융합공학부 김병수 교수팀은 젤라틴과 3D 프린팅을 활용한 국내외 공동연구를 통해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인공 피부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요. 피부는 가장 안쪽부터 ... ...
- [포토뉴스] 불가사리는 사실 팔이 없다 머리만 있을 뿐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유전자 분석을 통해 불가사리는 사실 대부분 머리로만 이뤄져 있다는 연구 결과가 2023년 11월 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됐다. doi: 10.1038/s41586-023-06669-2 미국 스탠퍼드대와 영국 사우스햄프턴대 등 국제 공동연구팀이 박쥐 불가사리(Patiria miniata)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 결과다. 불가사리의 .. ...
- [과학뉴스] 초은하 평면에는 왜 주로 타원은하만 있을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생긴 모양 탓에 ‘초은하 평면’이라고도 불린다. 초은하 평면의 지름은 약 10억 광년에 달한다. 그런데 초은하 평면에서 이상한 경향성이 발견됐다. 모든 종류의 은하가 균일하게 분포할 것만 같던 초은하 평면에서 유독 타원은하만 눈에 띄고 원반은하는 거의 없다는 사실이었다. 틸 사왈라 핀란드 ... ...
- 미술관에 떠오른 태양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속에 들어앉은 과학을 연재를 통해 소개합니다.)덴마크의 예술가 올라퍼 엘리아슨이 2003년 영국 테이트 모던 미술관에 설치한 작품 ‘The weather project(날씨 프로젝트)’의 전경이다. 예술가는 건물 안에 거대한 태양을 들여놓기 위해 착시현상을 이용했다. 벽에 걸려있는 태양은 사실 원 모양이 ... ...
- [특집] 생성AI 2024 리포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024년은 생성 인공지능(AI) 상용화의 원년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언어모델(LLM)을 탑재해 인간처럼 똑똑하게 말하고 행동하는 생성 AI가 산업 전반의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한 해가 예상된다. 생성 AI는 AI 개발의 최종 목표인 인공일반지능(AGI)과는 다르다. AGI는 인간처럼 감정을 느끼고 독립적으로 ... ...
- 생성 AI 왜 강력할까? 핵심은 트랜스포머 모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이유는 기계가 인간의 ‘자연어’를 이해하고 생성하기 때문이다. 그 기술의 시작은 2017년 구글 브레인의 아시시 바스와니 연구원팀이 발표한, ‘Attention Is AII You Need’ 논문의 ‘트랜스포머 모델’이다. 트랜스포머 모델은 입력된 값들 사이의 연관성을 스스로 학습하는 ‘셀프 어텐션’ 기법으로 ... ...
- 생성AI 2024 트렌드3 - 멀티모달・초거대・맞춤형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엔비디아가 독점하고 있다. 가격을 보면 엔비디아의 최고사양 GPU인 H100의 가격은 2022년까지만 해도 약 4700만 원이었으나 2023년 4월엔 6000만 원까지 올랐다. 몇 개월 사이에 1300만 원 가량 오른 것이다. 새로운 GPT-5를 훈련하기 위해 H100 3만~5만 개가 필요하다고 추정한 일론 머스크의 계산에 따르면,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의 향방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덜 미친다는 것이 드러났다. 단, 컵 하나를 1년간 40회 이상 사용하고, 컵의 수명은 3년이라는 전제조건이 붙는다. 다회용컵은 주로 사용이나 세척 단계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반면, 일회용 플라스틱 컵이나 일회용 재생 플라스틱 컵, 일회용 종이컵은 생산 단계에서 환경에 ... ...
- [커리어] 과학과 의학 그리고 꿈이 만나는 현장, IBS 나노의학 연구단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공부에 대한 열정이 다시 생겼어요.” 랩투어를 마치며 이효령 독자(아산 신창중 1학년)는 “이곳에 (연구원으로) 다시 오기 위해 열심히 공부할 것”이라고 각오를 다졌다. 나노의학에 대한 지식과 함께 꿈이 자라는 시간이었다 ... ...
- 세상에서 가장 섹시한 수, 섹시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소수쌍이 무한히 많음을 증명해 권위 있는 수학 학술지인 에 실었다. 이후 1년간 연구의 속도가 붙어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 특히 수학자들의 난제 공동 연구 프로젝트인 ‘폴리매스’에서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면서 두 소수의 간격을 246까지 좁혔다. 즉 두 소수 간격이 246 이하인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