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d라이브러리
"
지형
"(으)로 총 924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탐사의 최전선 JPL을 가다
과학동아
l
200811
비티 박사는 “극지에 가까이 착륙할수록 물을 발견할 확률이 높지만 착륙하기에 좋은
지형
이 아닐 뿐만 아니라 전기를 만들 햇빛도 충분하지 않다”며 “피닉스의 착륙 지점은 물을 발견할 가능성과 피닉스가 오랫동안 정상적으로 작동할 가능성 사이에서 타협한 결과”라고 밝혔다.스피릿이나 ... ...
[수학]
지형
정보를 얻는 방법
과학동아
l
200810
얻을 수 있다. 단 지도 영역은 모두 -4000m에서 6000m 사이의 고도로 표시되며 고도에 따른
지형
을 제외한 표식은 4가지 색상 이외의 잉크를 사용한다. 1) 지도에 표시된 육지와 수면의 면적 비율을 구하려면 어떤 색상의 잉크 사용량을 알아야 하는지 설명하고 여러 색상의 잉크 사용량으로 평균수심을 ... ...
과학으로 지키는 독도
과학동아
l
200809
뒤 지난 5월 말에 열린 한국해양학회에서 발표했다. 이 박사는 “섬 주위에 물이 흐르면
지형
마찰로 난류가 생겨 상하층의 물이 잘 섞이는 것”이라며 “독도 효과 덕분에 하층에서부터 플랑크톤의 먹이인 영양염(무기질)이 풍부한 찬물이 올라와 독도 주변에 수온이 떨어지고 물고기가 살기 좋은 ... ...
지구과학올림피아드 완전정복
과학동아
l
200809
해와 달리 천문단원 문제가 어렵지 않게 나왔다. 2차 시험은 1박 2일 동안 화석과 습곡
지형
을 조사하고 천문대에서 별자리를 관찰한 뒤 수행 평가로 11개 문항의 주관식 문제를 푸는 형식이었다. 1차 시험에 비해 쉬운 편이었으며 어려운 문제의 배점도 상대적으로 작았다. 지구과학올림피아드를 ... ...
INTRO 지구온난화, '북극 전쟁'의 방아쇠를 당기다
과학동아
l
200808
탐사대를 꾸려 북극 해저 탐사를 보냈고, 미국은 알래스카 인근에 쇄빙선을 보내 해저
지형
탐사에 나섰다. 캐나다도 총리가 직접 북극지역을 사흘 간 방문하기도 했다. 급기야 지난 5월 28일 북극해에 영토를 갖고 있는 5개국(미국, 러시아, 캐나다, 노르웨이, 덴마크)의 장관들이 모여 회의를 열고 ... ...
하늘이 내려준 돈줄기 빗물
과학동아
l
200808
위해서는 여름에 집중되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저장해야 한다. 우리나라 국토는 70%가 산악
지형
이라서 땅에 내린 빗물이 흡수되지 않고 곧바로 강이나 바다로 흘러든다. 이를 저장하면 빗물을 헛되이 흘려보내지 않을 수 있을텐데 말이다.서울 광진구에 위치한 주상복합아파트단지인 스타시티는 ... ...
sos! 고래는 지금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8
음파를 크게 키워 주는 역할을 한단다.이 음파가 물체에 부딪쳐 돌아오는 반사파로
지형
, 먹이, 적, 동료의 위치와 움직임을 모두 알아내지. 나무인지 금속인지까지 구별할 수 있다니 정말 대단하지? 후루루룩~ 먹이 걸러 먹기엄청난 몸집을 유지하려면 잘 먹어야 해! 대왕고래는 한입에 50㎏이나 ... ...
캄캄한 '그곳'에서 '오래된 시간'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07
측량도동굴
지형
이 자세히 기록된 지도. 미개척 동굴을 탐험한 뒤에는 직접 그려 자료로 남긴다.B. 와이어 래더높이가 낮은 수직 동굴을 탐사할 때 사용하는 사다리.C. 동굴자일동굴탐사용 자일은 일반 자일보다 뻣뻣해 잘 늘어나지 않고 쉽게 꼬이지 않는다.D. 지역지도동굴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 ... ...
충남 보령 바닷물 범람 사고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806
5월 8일 각계 전문가들의 토론을 거쳐 이번 보령 앞 바다 범람사고를 ‘해일성 너울과
지형
적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결론 내렸다.하지만 일정 주기를 두고 여러 차례 계속되는 너울과 달리 죽도를 덮친 파도는 한 차례만 발생했다는 점은 해결되지 않은 의문으로 남는다. 게다가 이번 ... ...
공포의 신 '포보스' 얼굴을 드러내다
과학동아
l
200805
충돌하며 구덩이를 만들었을 것”이라며 “앞쪽에 보이는 푸르스름한 부분은 다른
지형
에 비해 최근에 생긴 영역”이라고 설명했다. 또 “스티크니 구덩이 안쪽에 보이는 선들은 산사태가 일어난 흔적”이라고 덧붙였다.화성탐사선 MRO는 현재 화성 상공 250~316km를 시속 1만 2500km의 속도로 돌며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