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d라이브러리
"
지형
"(으)로 총 924건 검색되었습니다.
멀티모델앙상블로 날씨 변덕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08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악(惡)기상을 예측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중편파레이더는
지형
때문에 생기는 메아리, 이상전파와 같은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도 지난 7월 1일부터 차량에 설치한 이동식 이중편파레이더를 도입 해 시험운영을 시작했다. ... ...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08
훑는다. 이렇게 하면 해저
지형
을 영상으로 볼 수 있다. 추를 내려 수심을 측정하고 해저
지형
을 가늠하는 구식 방법보다 훨씬 정확하고 빠른 측정이 가능하다.앞으로 아라온 호는 어떤 연구에 쓰일까.“2010년부터 극지 주변지역에 분포한 중앙 해령의 열수분출구를 탐사하는 데 활용될 예정입니다. ... ...
달 정착촌 후보지 찾아 나서다
과학동아
l
200907
거의 수직하기 때문에 달의 극지역에 있는 크레이터(운석 충돌 구덩이)와 같은 분지
지형
에는 태양빛을 한 번도 받지 않는 영구 그림자 영역이 있다. 영구 그림자 영역에서는 1998년 미국이 발사한 탐사선 ‘루나 프로스펙터’가 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보여줬기 때문에 달의 극지역은 기지 건설의 ... ...
북한 2차 핵실험의 쟁점4
과학동아
l
200907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사실 인공위성 촬영법은 핵실험을 한 뒤 지반이 함몰돼 나타나는
지형
변화를 탐지할 때 더 많이 쓰인다.현재 핵실험을 탐지하는 기술은 대부분 사후 탐지기술이다. 가장 먼저 지진파 탐지법이 쓰인다. 지하에서 핵실험을 할 경우 폭발 때 생긴 충격으로 지진파가 생기는데, ... ...
‘신의 눈’에서 ‘우주 물음표’까지
과학동아
l
200906
찍은 프록터 크레이터(운석충돌구덩이) 내부. 바람으로 만들어진 잔물결
지형
과 거대한 모래언덕이 동시에 잡혔다.4 지구 밖에서 처음 발견된 주상절리. 화성에서 과거에 용암이 홍수를 만나 재빠르게 식다가 수축하고 부서져 생겨난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결과는 ‘지올로지’ 2월호에 실렸고, ... ...
별빛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
과학동아
l
200906
높은 대기압을 가지고 있었고, 촬영 장비를 녹일 정도로 뜨거운 열 지옥(약 470℃)이었다.
지형
이라고는 거의 없는 거대한 가스행성인 토성에는 시속 수천 km에 이르는 거센 폭풍이 불고 있었고, 숨이 막힐 듯 우아한 곡선으로 휘어진 토성의 고리는 아주 작은 얼음조각들이었다. 지구와 비슷한 대기를 ... ...
[기계공학]‘아픈 차량’ 진단하는 지능형 과속 방지턱
과학동아
l
200905
있다”고 밝혔다.연구팀은 이 장비를 미국 육군과 협력해 개발했다. 군용 차량은 험준한
지형
을 쉬지 않고 달리는 일이 많아 타이어와 그 주변 부품에서 고장이 자주 발생한다. 만약 전장을 달리던 차가 갑자기 멈춰 선다면 차량에 탑승한 아군은 임무를 달성할 수 없거나 적의 위협에 노출되게 ... ...
초고도근시의 희망 렌즈삽입술
과학동아
l
200905
위치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각막과 홍채사이 물로 찬 공간에 삽입하는 홍채지
지형
렌즈(알티산/알티플렉스)삽입술은 각막 위쪽을 3~6mm 절개해 렌즈를 넣는 방식이다. 특수 집게로 렌즈의 양쪽 고리 같은 부분을 홍채에 밀어 넣는 이 수술은 절개 부위가 커서 별도로 봉합하는 과정이 ... ...
[지구과학]해수의 이동과 엘니뇨현상
과학동아
l
200904
잘 일어나지 않는다. 3-3) 무역풍이 원활하게 불면 무역풍을 따라 서쪽으로 진행하는
지형
류의 영향으로 적도 주변의 더운 물은 서태평양으로 이동한다. 따뜻한 물은 증발해 상승 기류를 만들어내고, 그 중심에 저기압을 형성한다. 반면 동태평양 주변은 심해수의 용승과 고위도 지방의 찬 해수 ... ...
그래프 분석해 패턴 찾아내기
과학동아
l
200904
구덩이의 분포 (가) 달의 표면에는 약 1만 개의 분화구가 있다. 대부분이 ‘달의 고지’
지형
에 풍화되지 않은 채 남아있지만 ‘달의 바다’에도 지름 1km가 넘는 큰 분화구가 1000개 쯤 있다. 이곳에 있는 분화구들은 화산활동 때 흘러내린 용암으로 덮여 메워져 있다. 여기서 간단한 계산을 해보자.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