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그게 바로 외로운 조지였다.2014년까지 공식적으로 보고된 파충류의 종류는 1만 38종. 이중
약
30%가 우리 인류 때문에 멸종할 위기에 있다. 비록 핀타섬육지거북은 지키지 못했지만 아직 우리의 도움이 필요한 수백 종의 파충류들이 남아 있다. 3억1000만 년 된 이들의 이야기가 지금 끝나기에는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코스는 과학기술의 학연산 협력 방법을 연구하거나 과학벤처 창업을 준비한다. 올해만
약
30여 개의 팀이 UGRP를 진행하고 있다.현정 씨가 택한 지구 온난화 논쟁 되돌아보기는 과학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맞춘 과제다. 서양사가 전공인 역사학자 김대륜 기초학부 교수가 제안한 주제다. 김 교수는 ... ...
[Career] 질병 연구의 ‘내비게이션’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찾아내는 것. 그런데 문제가 있다. 단백질의 수가 아직 알지 못하는 종류까지 포함해
약
8만 개에 달한다는 사실이다. 그중 무엇부터 연구해야 하는지 결정하기도 힘들다.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생명의료HPC연구센터는 빅데이터와 네트워크 분석 기술을 이용해 의과학분야 연구자들의 ... ...
Infographic. 물과 얼음을 싹 걷어낸 극지의 본모습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만들어진다. 남극대륙 주변에는 실제로 대규모 화산활동 증거들이 남아있다.호주 대륙
약
2000만 년 전 남극대륙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분리됐다.해류극지의 환경을 만들다극지를 순환하는 해류는 오늘날 극지의 환경을 만든 장본인이다. 북극은 따뜻한 대서양 바닷물이 상승하면서 공기 중에 수분을 ... ...
Part 2. 남극, 가장 뜨거운 바다에서 얼음 대륙이 꽃피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된 데는 중앙해령의 역할이 컸다. 중앙해령은 야구공 실밥처럼 지구를 휘감고 있는
약
6만km 길이의 해저 활화산 산맥으로, 이곳에서 올라오는 용암이 굳어 해양지각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해령은 바다가 열리고 대륙이 이동하는 다양한 지구현상의 기준점이 된다. 남극대륙은 이런 중앙해령으로 빙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고려해야합니다. 선수들의 정상적인 몸 상태를 유지하려면 하루에 500kcal, 한 달에
약
2kg을 감량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캐 선수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없나요?해 강도가 높고 운동시간이 짧을수록 포도당(탄수화물)이 에너지로 더 많이 사용되고, 운동 강도가 낮고 시간이 늘어날수록 지방이 더 ... ...
[쇼킹 사이언스] 레트바 호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이때 베타 카로틴은 활성 산소의 짝이 없는 전자를 붙잡아 활성 산소의 산화력을
약
하게 만든답니다. 자기 몸을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전략인 셈이죠.결국 우린 작은 생물이 자신을 지키기 위해 마련한 똑똑한 전략 덕분에 예쁜 분홍빛의 레트바 호수를 볼 수 있게 된 거예요. 레트바 ... ...
Part 2. 인공지능 키워드 1. 빅데이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어요. 또 바둑판에 놓인 돌의 위치를 좌표로 정확하게 파악하고,
약
30초라는 짧은 시간 내에 이길 확률이 높은 다음 수를 계산할 수 있답니다.알파고 이전에도 인공지능이 빅데이터를 이용해 인간과의 싸움에서 승리한 예가 있어요. 2011년 TV 퀴즈쇼에 출연해 우승을 차지한 ... ...
[지식] 지구를 향한 발칙한 상상, 지구가 둥글지 않다면?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가능성이 매우 낮다. 하지만 혹시라도 존재한다면 실제 지구와는 전혀 다를 것이다. 만
약
지구가 구나 도넛이 아닌 또 다른 모양이라면 어떤 환경이 펼쳐질까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가시광선이 동시에 강하게 측정된다는 사실도 미스터리다. 별 질량 블랙홀은 가시광선이
약
해지면서 전파가 나온다. 가시광선을 내는 강착 원반의 활동이 줄어들면서 전파를 주로 내뿜는 제트의 활동이 세지는 진화를 겪기 때문이다. 전파와 가시광선이 동시에 강한 AGN은 기존의 별 질량 블랙홀의 ... ...
이전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