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뛰지 못하는 작은 원숭이의 생존법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있다. 우리와 유사한 DNA서열을 가졌으면서도 저런 놀라운 구조와 능력을 가졌다니!
약
간의 유전공학적 도움을 받으면, 우리 인간도 혹시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발칙한 농담을 해본다 ... ...
[info] 알파고와 중력파가 던지는 미래 질문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프로그램에는 본 강연 못지않게 많은 참가자가 몰렸다.이날 행사에는 불볕 더위에도
약
550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참석자 황기태 학생(서울 하나고 1학년)은 “하루 종일 강연이 이어졌지만 주제와 강연 방식이 달라 지루하지 않았다”며 “뇌공학자의 꿈을 이루는 데 유익한 강의가 많았다”고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비슷하다면 다행이지만, 82km에 달하는 파나마 운하의 경우 바다와 호수 간의 높낮이 차가
약
25m 정도다. 이 높이 차이를 극복할 비밀 병기는 ‘갑문’이다. 배가 지나갈 때마다 갑문을 열어 수위를 높이기도 하고, 낮추기도 한다.파나마 운하의 경우 대서양에서 가툰호, 미라플로레스호를 지나 ... ...
[Tech & Fun] 다음 체중계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체중계로 잰 무게와 밖에서 잰 체중 사이의 미세한 차이 같은 것들이.기록을 시작했다.
약
두 달이 지났을 때 은경은 비로소 패턴을 발견했다. 매일 재지 않은 탓에 오래 걸리긴 했지만 눈이 있다면 누구나 알 수 있는 패턴이었다. 외할머니의 체중계에서 몸무게가 아주 조금 늘어난 것으로 나온 날, ... ...
[과학뉴스] 툴리 몬스터의 정체를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몬스터(Tully monster)’라는 별명을 가진 ‘툴리몬스트룸 그레가리움’은
약
3억 년 전에 존재했던 동물이에요. 특이하게 생긴 외모가 괴물처럼 보인다고 해서 ‘몬스터’라는 별명이 붙었지요. 미국의 아마추어 수집가인 프란시스 툴리가 1955년 미국 일리노이 주에서 처음으로 발견해 그의 성을 따 ... ...
[소프트웨어] π를 부탁해!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알려지게 됐어요.7월 22일은 ‘π 근삿값의 날’이에요. π와 가장 가까운 분수가 22/7=
약
3.1428571429이거든요. 이처럼 수학자들은 π를 기념하는 날을 만들어 다채로운 행사를 하고 있어요. 그 중에서 오늘 소개할 몬테카를로 방법은 π 기념일에 빼놓을 수 없는 단골손님이에요. 우선 밑면의 모양이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주인공이다. 그는 여러 품종의 밀을 교배육종한 ‘앉은뱅이 밀’을 개발해, 1960년
약
60%에 달하던 기아를 17%까지 감소시켰다. 지금은 교배육종이 아무 문제 없이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당시만 해도 환경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우려가 매우 많았다.수상자들과의 인터뷰 내용은 여기까지다.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5억 년 동안 지구의 주인이었으니 말이다. 동물과 식물이 원시적인 형태로 지구에 나타난
약
4억 년전부터 미생물은 쭉 우리의 모든 역사를 지켜봐왔다.미생물과 숙주의 끈끈한 우정미생물은 동식물의 등장을 단순히 보고만 있지는 않았다. 어떤 미생물은 덩치 큰 다른 생물체를 먹이 삼아 새로운 ...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위로 갈수록 기둥의 높이가 줄어들기 때문에 높이의 한계도 명확하다. 이 교수는 “만
약
그림 속 바벨탑을 같은 방식으로 계속 쌓는다면 11~12층 정도에서 건설을 멈출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한 층의 높이를 넉넉하게 15~20m로 잡는다고 하더라도 현대의 기준으로 아주 높은 건물로는 볼 수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파쇄하면 콘크리트 잔재가 수중에 가라앉아 수거하기가 쉽지 않다. 콘크리트 구조물과 화
약
성분들은 그 자체로 강이나 바다를 오염시킬 수 있고, 강이나 조류의 흐름을 바꿔 여러 환경문제를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절단 뒤 인양이 어려운 상황이 아니라면 절단공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 ...
이전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