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뉴스
"
동물
"(으)로 총 6,042건 검색되었습니다.
美 NIH 과학자들 "'인간화 쥐' 태아조직 사용 불가피, 대안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이라고 밝혔다.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연구만 해도 치료약물 후보를 실험할
동물
은 HIV에 감염된 적이 없을뿐 아니라 인간에 면역 시스템과 같은 환경을 가져야 한다. 약물을 넣은 쥐와 그렇지 않은 쥐를 이용해 약물의 효능이나 부작용을 쉽게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상 한 명분의 ... ...
33만명의 '동심'에 과학을 심었다…개관 1년 맞은 국립어린이과학관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원리를 익힐 수 있도록 설계됐다. ‘쥬스야 변해라 얍!’ ‘도와줘요 자석맨’ ‘나는야
동물
박사’ 등 다양한 주제로 과학실험을 하는 그룹 체험 프로그램인 ‘사이언스 랩’ 역시 많은 어린이들의 사랑을 받았다. 어린이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한 다채로운 과학문화행사도 눈에 띈다. 4월과 ... ...
개미떼처럼 스스로 무리를 이루는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튜링은 ‘형태소’라는 세포 속 요소가 서로 확산하고 반응해 세포가 군집을 이뤄
동물
피부의 줄무늬나 얼룩무늬를 만든다고 설명하고 이를 미분방정식으로 풀었다. 연구진은 군집 로봇이 오로지 방정식에 따라 움직이게 했다. 로봇 각각에 형태소를 수치를 부여하고 10㎝ 이내 주변 로봇과 ... ...
배아 발생 과정 동영상처럼 보는 기술, 올해 최고 과학 성과
2018.12.21
기술이다. 대니얼 왜그너 미국 하버드대 의대 연구원팀은 인간과 유전자가 70% 같은 모델
동물
인 제브라피시를 이용해 1개의 배아 세포가 24시간 동안 다양한 유형의 세포로 발생하는 과정을 관찰했다. 연구팀은 DNA로부터 단백질을 만들 때 중간에 정보를 복사해 전해주는 ‘전사’ 과정에서 ... ...
동물
사회도 지위 낮으면 건강이 좋지 않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우위를 정한다”고 말했다. 텅 교수는 “사회적 지위와 건강은 서로 연관되어 있다”며
동물
의 경우에도 사회적 지위에 따라 건강 상태가 달랐다”고 밝혔다 ... ...
메뚜기 점프원리 규명·아이언맨 소재 발굴…美육군 과학자들이 뽑은 연구 10選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온 힘을 쏟아넣어 힘을 최대한 증폭시키는 방식으로 뛰어오른다. ARL은 메뚜기와 같은
동물
을 비롯해 식물, 곰팡이 등 생명체로부터 적은 힘으로 빠르게 뛰어넘는 기술을 찾고 있다. 머지 않은 장래에 전장을 돌아다니며 정보를 수집하는 로봇이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 ARL 과학자들은 올해 ... ...
현대판 노예들?
팝뉴스
l
2018.12.19
커뮤니티 리딧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실제로 노예 같은 남자들이 있고 주인은 노예를
동물
다루듯이 하는 것일까. 그렇다면 무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한편 예술적 공연의 한 장면 같다는 추리도 나온다. 타인을 노예 같이 부리는 사람들을 고발하는 퍼포먼스라는 것이다. ※ 편집자주 ... ...
음식 조금만 먹어도 포만감 주는 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다시 평소대로 먹기 시작하며 몸무게가 정상 체중으로 돌아왔다. 연구진은 쥐보다 큰
동물
에도 실험을 해보고 임상까지 적용할 계획이다. 왕 교수는 “배터리 없는 장치는 다른 기술보다 비만을 잡는 데 훨씬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 ...
알츠하이머성 치매, 전염 가능성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교수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는 알츠하이머병의 유발단백질이 전염될 수 있는지를
동물
실험을 통해 알아봤다. 연구진은 우선 베타 아밀로이드가 들어있는 단백질을 생쥐의 뇌에 주입했다. 그 결과 생쥐의 뇌에 베타 아밀로이드 덩어리가 생겼고, 쥐들은 대뇌 아밀로이드 혈관병을 앓았다. ... ...
자가면역질환 루푸스 근본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발현된 Ets1 단백질의 양이 더욱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 교수는 “Ets1 단백질이
동물
에서와 마찬가지로 환자의 증상 악화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 교수는 “향후 Tfh2 세포의 생성과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면 제한적인 효능을 가졌던 기존 약물의 한계를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