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뉴스
"
동물
"(으)로 총 5,88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사랑탐사대 어벤져스 '앤트맨'과 함께 숲속 개미 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0.05
떠오르네요. 사냥할 때 비늘개미는 턱을 180°로 벌리고 있어요. 흙속에 사는 작은 절지
동물
인 톡토기처럼 작은 크기의 먹잇감이 턱을 건드리면 비늘개미가 순간적으로 턱을 닫으면서 먹이를 가두지요. ‘덫개미’도 이런 방식으로 사냥을 한답니다. Q 개미를 연구하면서 힘든 순간들이 있었나요? ... ...
천연약물 백과사전 ‘본초강목’ 우리말로 완역
동아사이언스
l
2018.10.05
서적 ‘본초강목(本草綱目)’. - 베이징관광국 제공 동아시아에서 사용했던 식물과
동물
, 광물 등 천연약물 1892종의 정보를 총망라한 ‘본초강목(本草綱目)’ 전권이 우리말로 번역돼 공개됐다. 5일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오준호 한의학연 미래의학부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본초강목 52권 전체 ... ...
[이강운의 곤충記]소리로 짝을 찾고, 소리 때문에 죽는다. 땅강아지!
2018.10.05
메뚜기무리를 분류하는 가장 중요한 열쇠는 ‘어떻게 소리를 내느냐’이다. 모든
동물
의 세계에서 필생의 과업은 짝짓기이고, 소리로 짝을 찾는 메뚜기 무리에게 소리는 번식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메뚜기아목은 앞날개와 뒷다리를 비벼서 소리를 만드는 종류이고, 여치아목은 양 쪽 날개를 ... ...
치매 치료 가능한 새로운 원리 찾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및 신경조직의 손상을 유발하여 기억력이 감퇴됐다. 그러나 ASM 생성이 억제된 노화
동물
모델은 이와 반대로 뇌혈관장벽의 투과성이 낮아져 기억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이 실험결과가 ASM의 억제를 통한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나 예방법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생명진화의 힘을 유용한 도구로…美英과학자 3인 노벨화학상 수상(종합)
2018.10.03
나눠갖게 된다. 아놀드 교수는 ‘효소의 유도진화’를 연구한 업적을 인정받았다.
동물
은 효소를 통해 생리작용을 조절하는데, 장기간의 돌연변이를 통해 자신에게 필요한 효소를 생산해 왔다. 아놀드 교수는 이 과정의 화학적 원리를 규명하고, DNA 편집을 통해 원하는 생리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사람이 제압당하기 십상일 것이다. 반면 소형 유인원인 긴팔원숭이는 과거 애완
동물
로 키웠다는 역사도 있지만 여기에 50세대 선별까지 거치면 정말 환상적인
동물
(키우는 사람의 입장에서)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물론 이런 초(ultra)장기 프로젝트가 진행될 일은 없겠지만. ※ ... ...
“뒤뚱뒤뚱 펭귄? 물속선 200m까지 나는 새”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하고, 머리 뒤에 카메라를 설치해 크릴 등 먹이를 먹는 모습을 관찰하기도 한다.
동물
에게 직접 ‘기록’을 시키는 이 기술은 ‘바이오로깅’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펭귄들이 내는 특유의 “왁! 왁!” 소리를 통해 의사소통도 연구하기 시작했다. 남극 연구의 최적기는 남극이 여름을 맞는 11월부터 ... ...
머리 둘 독사 발견돼
팝뉴스
l
2018.10.01
제공 머리가 둘 달린 독사가 미국 가정집에서 발견되었다. 위는 미국 버지니아의 야생
동물
관리국이 최근 페이스북에 공개한 이미지다. 코퍼헤드 copperhead라 불리는 독사의 모습이다. 왼쪽 머리가 여러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등 지배적이라는 게 언론의 보도다. 이 뱀은 두 개의 머리와 두 ... ...
뇌신경세포 모방해 더 똑똑한 AI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개발 중인데 근시일 내에 관련 연구 성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도
동물
의 뇌파를 분석해 효율적으로 뇌신경모사칩 회로를 구성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김재욱 KIST 선임연구원은 “뇌과학 연구가 발전하면서 차세대 인공지능 개발도 점차 수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변덕쟁이 청색변광성 폭발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신화 속 거대
동물
의 푸른색 눈동자를 보는 듯한 장면이 실렸다. 이는 태양보다 80배 큰 불안정한 상태의 극초거성인 밝은 청색변광성(LBV)과 그 주변을 3차원(3D)으로 시각화한 것이다. 폭발이 일어나는 순간을 포착한 ‘스냅샷’인 셈이다. 표지 그림의 가운데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