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168건 검색되었습니다.
QLED 디스플레이 난제 '청색광 퀀텀닷' 왜 만들기 어렵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QLED 상용화 가능성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고 평가한다. 양지웅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
공학전공 교수는 “청색광 QLED의 빛 효율은 이전 최고기록이 8~9%였는데 이번에 이론 효율에 도달한 것”이라며 “안정성도 안정한 시간을 제시하는 연구 자체가 없을 정도였는데 시간을 제시한 ... ...
"지구 절반만 돕는 혁신으론 위기 벗어날 수 없어...'하나의 지구' 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만큼 한 국가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며 여러 국가의 공동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에너지
와 재료 효율성을 높이고 재사용과 재활용을 준수하는 기술 개발이 급선무라고 그는 말했다. 테리 회장은 “이들을 개발할 때 혁신을 위해서는 경쟁이 필요할 수도 있다”면서도 “하지만 경쟁을 ... ...
[표지로 읽는 과학]100년 만에 구현한 상온 초전도
동아사이언스
l
2020.10.17
연구할 예정이다. 만약 압력도 대기압 수준까지 끌어올린다면 그동안 상상해왔던
에너지
를 손실 없는 전력망이나 자기부상열차가 만들어져 새로운 세상이 펼쳐질지도 모른다 ... ...
[고쳐 쓰자, 과학용어](3)'과학자의 언어'를 '대중의 언어'로 바꾸려면
2020.10.16
전자와 정공(전자가 차 있지 않은 구멍)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원자 안의
에너지
가 높은 상태에서만 전자가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고, 이를 들뜬(excited) 상태라고 부르면서 엑시톤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스핀(spin)은 영어의 ‘회전한다’는 뜻 그대로 회전할 때 생기는 각운동량을 말한다. ... ...
ITER 7개국에 도전장 낸 작은거인 '스파크' 2035년 핵융합발전 불꽃 타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6
1000MW다. 연구진은 2025년 스파크를 본격 가동하고 스파크에서 생산한 열
에너지
를 전기
에너지
로 바꾸는 발전소를 2035년까지 구축할 계획을 세웠다. 그린월드 교수는 “핵융합 발전소는 화석 연료 발전소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1회 충전 1000km 달리는 리튬공기전지 수명 10배 늘리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서동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화학공학과 교수는 삼성전자 종합기술원과 공동으로 리튬공기 수명 문제를 개선한 기술을 개발했다. UNIST 제 ... 슈퍼컴퓨터의 지원으로 이뤄진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 표지 논문으로 이달 13일 발표됐다. UNIST 제공 ... ...
11월 독립법인 승격 재료연·핵융합
에너지
연 초대 원장에 이정환·유석재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유 원장은 국가핵융합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한국재료연구원과 한국핵융합
에너지
연구원은 ‘과학기술분야 정부 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이 개정되며 독립법인으로 승격했다. 신임 원장들의 임기는 연구원 설립일인 11월 20일부터 3년간이다. 이 원장은 1980년 ... ...
영화 아바타 속 '신비의 자원' 상온 초전도 사상 첫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애슈칸 살라마트 미국 네바다대 교수는 “이번 연구로 향후 2억메가와트시(MWh)의
에너지
를 손실 없이 전송하는 전력망이나 자기부상열차, 더 빠르고 효율 좋은 디지털 전자기기가 저장기술이 개발될 것”이라며 “현재의 반도체 세상에서 배터리 등이 필요없어지는 초전도 세상으로 들어가게 될 ... ...
대전 대덕산단 폐수처리장 악취, 인공지능으로 해결한다
연합뉴스
l
2020.10.15
이들 기업·기관은 인공지능(AI) 기반의 탈취제 살포시스템과 탈취탑 성능 예측 기술,
에너지
최적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실시간 수질모니터링 계측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2023년 6월까지 국·시비 19억원과 민자 5억원이 투입된다. 문창용 대전시 과학산업국장은 ... ...
QLED도 친환경 필요...카드뮴 없는 퀀텀닷 왜 개발하나
2020.10.15
속도를 개선하는 동시에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도입했다. 정소희 성균관대
에너지
학과 교수는 “모든 산업이 친환경을 추구하고 있는 만큼 퀀텀닷 역시 기술적으로 어렵더라도 친환경 소재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 ...
이전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