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빛 속의 환상적인 토성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투명하게 비춰 보이는 고리와 황금색 토성이 아름다운 사진이지요. 게다가 고리 뒤에 지구, 달, 화성, 금성의 모습까지 보이는 보기 드문 장면이에요. 토성 고리의 전체 모습을 담은 이 사진은 태양이 토성 너머로 살짝 숨었을 때 찍을 수 있었다고 해요.카시니는 유럽우주국이 만든 소형 탐사선 ... ...
- 똑똑한 게임 즐거운 공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학생 총 200명이 모여 본선 대결을 펼쳤답니다.온라인과학게임대회에는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의 과학 분야를 퍼즐이나 레이싱, 문답 등 다양한 방법으로 풀 수 있는 게임이 마련돼 있어요. 게임은 물질의 성질, 별자리, 식물과 동물의 한살이 등 초등교과과정에 딱 맞게 만들었지요. 게임을 ... ...
- 애기장대가 알려 준 장수의 비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아니니? 장수 연구에 쓰이면서 오래 살지도 못한다니….오래 살아도 닥터 그랜마의 지구 정복은 못 볼 것 같은데요…. 으악! 뽑지 말고 식물 말 좀 들어요! 평균 수명보다 오래 사는 돌연변이종도 있다고요~! 노화 연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지요. 참고로 이 돌연변이종을 찾고 노화 연구를 한 포스텍 ... ...
- 아이손, ‘혜성’처럼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자리에 먼지를 남기는데, 이 먼지부스러기들이 별똥을 만들기 때문이지요. 2014년 1월 4일, 지구는 아이손 혜성이 지나간 길을 그대로 지나게 돼요. 이때 아이손 혜성이 뿌려놓은 부스러기들 덕분에 멋진 별똥별 쇼가 펼쳐질 거랍니다~!그런데 아이손 혜성이 가스와 먼지를 많이 만들지 않으면 혜성도, ... ...
- 괴짜 천문대장, ‘저벼리 빈나리’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알았죠? 이제 마지막 문제! 행성은 각각 중력이 다릅니다. 각 행성에서 잰 몸무게를 보고 지구에서의 몸무게를 알아 맞히는 문제입니다.”드디어 마지막 문제다. 눈에 불을 켜고 문제풀이에 나선 썰렁홈즈가 이 문제를 맞혀서 1등 상품을 탈 수 있을까?행운의 1등 당첨 선물은?“네~, 드디어 문제를 ... ...
- 전기로 대화하는 물고기를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질질 끌리는 똥배…, 아니 중력에 이끌리는 내장을 끌어안고 지구 일주 중인 닥터 그랜마예요.찐 살은 빼야 할 것 아냐! 한국 반대편에 있는 남아메리카 대륙 위를 억지로 날고 있는데 뭔가 찌릿한 느낌이 오더라고요. 어쩐지 여기서 한 번 쉬어야 할 것 같은 본능적인 느낌! 급하게 강가에 내려섰더니 ... ...
- 세계 최고의 요리사, ‘미가글 이러’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모두 비킬 수밖에 없는 쓰레기 장군이 나타났다.“내가 내는 문제를 맞히지 못하면 지구를 모두 음식물 쓰레기로 덮어버리겠다!”음식을 남기지 말자!드디어 쓰레기 장군을 물리치고 평화를 되찾았다.“정말 썰렁홈즈가 없었다면 큰일 날 뻔 했습니다. 감사의 뜻으로 제가 맛있는 요리를 해 드리죠 ...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믿어요. 어쩌면…, 이미 여러분 옆에 있을지도 모르지요. 이상, 외계생명체를 찾는 ‘지구 거주’ 외계생명체 치르치르가 전해드렸습니다. 뾰로롱~!? 아~, 빨리 나 말고 다른 외계생명체를 만나고 싶다~. 심심해 ... ...
- ‘지구 수호 벨트’의 비밀이 풀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나오는 각종 위험한 입자들이 지구 대기 속으로 바로 들어오지 못하게 막아 주는 ‘지구 수호 벨트’예요. 1만 2800㎞ 높이에 있는 약 6300㎞ 두께의 내부 벨트와 1만 9000~4만 5000㎞ 두께의 외부 벨트로 이루어져 있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김경찬 선임연구원팀과 미국항공우주국(NASA), 로스엔젤레스 ... ...
- 큐리오시티, 화성에서 물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쓸데없는 변명말고 현재 화성의 상황부터 알려 줘.간단한 자기소개부터 할게요. 화성은 지구처럼 토양과 대기층이 있고 생물체가 살았을 가능성도 높아서 행성이기 때문에 미국항공우주국(NASA)를 포함한 여러 나라의 우주연구팀에서 엄청난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요. 1976년 바이킹호를 시작으로 ... ...
이전3433443453463473483493503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