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뉴스
"
학자
"(으)로 총 3,986건 검색되었습니다.
“형아들이 결정하면 가는거야~”
2015.06.21
위엄 있는 표정에서 한눈에 무리의 우두머리라는 사실을 알아볼 수 있다. 지금까지
학자
들은 개코원숭이처럼 위계질서를 유지하는 동물 집단에서 어떤 방식으로 무리의 의사 결정이 이뤄지는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 무리에 속한 각 개체들의 행동을 개별적으로 분석하고 그것을 하나로 모아 ... ...
세균과 바이러스, 누가 더 위협적인가
2015.06.13
돼 바이러스가 약물을 인식하면서 결국 쓸모없게 됐다. 반면 세균은 1928년 영국 미생물
학자
인 알렉산더 플레밍이 항생제 ‘페니실린’을 처음 개발하면서 몰락의 길을 걸었다. ‘페니실륨(Penicillium)’이라는 푸른곰팡이가 포도상구균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한 플레밍은 이 곰팡이를 ... ...
25년에 한번꼴로 전염병 대유행… ‘독감’이 가장 위협적
2015.06.13
SIV)가 사람에게 전염된 뒤 변이를 거듭하면서 HIV로 발전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일부
학자
는 이 과정에서 문란한 매춘문화 때문에 생긴 매독 같은 성병이 HIV의 전염력을 강화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2002년 12월 발생해 8개월 동안 30개국에서 774명의 사망자를 낸 사스의 경우 ‘보신문화’가 그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2015.06.08
논문들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지금까지 다른 업적으로 두 차례 노벨 과학상을 받은 과
학자
가 둘 있다. 한 사람은 존 바딘으로 1956년 트랜지스터 개발로 물리학상을 받았고 1972년 초전도현상 이론 연구로 두 번째 물리학상을 받았다. 다른 한 사람은 프레더릭 생어로 1958년 인슐린의 아미노산 ... ...
“멀리 돌아가도 좋다. 서툴러도 괜찮다”
2015.06.07
수업’을 듣는다. 국문
학자
인 이 교수는 ‘일반인 아저씨’의 입장을 대변해 생물
학자
장 교수에게 평소 궁금한 것을 거침없이 묻는다. 술을 많이 마실수록 양이 는다는데, 정말 그럴까. 몸이 안 좋을 때는 왜 포도당 주사를 맞을까. 건강 검진 결과에서 중성지방 항목은 어떻게 읽는 걸까. ... ...
메르스 치사율, 한 자리 숫자일 듯
2015.06.01
코로나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질병에 대해 특별한 치료법이 없는 이유는 증세가 워낙 미미해 그동안 아무도 관심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 ... 사태가 무난히 지난간 뒤 언제 그런 일이 있었냐는 듯이 바로 잊어버리지 말고 우리 과
학자
들도 메르스 치료법 개발에 힘을 보탰으면 좋겠다. ... ...
나는 왜 생물학을 공부하는가
2015.05.31
경우가 종종 있는데, 과학 대중 강연을 통해 이런 인식이 조금은 깨지리라 기대한다. 생물
학자
들이 들여다보는 세포와 DNA의 세계는 엄격한 규정과 까다로운 규칙의 적용을 받는 작은 사회다. 이 사회의 법칙을 깨는 존재가 암세포다. 강연을 들으면서 이런 생각을 한 사람은 필자 뿐만이 아닐 터. ... ...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l
2015.05.29
느낄까. 분명히 실재가 아니라는 걸 아는데 말이다. 이 문제를 진화심리학적으로 해석한
학자
들이 있다. 사람들은 강력한 반증이 없는 한 오감으로 들어오는 정보를 일단 사실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이탈리아 파도바대 쥬세페 만토바니 심리학과 교수는 1995년 ‘인간관계’ 저널에 발표한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5.29
청개구리와 수원청개구리는 외모나 행동, 살아가는 모습이 아주 비슷해요. 그래서 전문가가 아니면 쉽게 구별하기 힘들지요. 특히 두 종은 같은 공간에서 살기 때문에 수원청개구리인줄 알고 잡았는데 실제론 청개구리인 경우가 많아요. 수원청개구리와 달리 청개구리는 개체수가 많아 만나기도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
과학동아
l
2015.05.28
나타난다. 아주 어린 사람은 자연을 좋아하기는커녕 매우 두려워하기도 한다. 환경교육
학자
데이비드 오어는 인공적인 환경이나 기술문명에 둘러 싸여 지내는 어린이에게서 ‘바이오포비아’, 즉 자연공포증이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확실히 도시에 사는 어린이는 자연 환경에 덜 노출되며, ... ...
이전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