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뉴스
"
학자
"(으)로 총 3,986건 검색되었습니다.
“반역자가 돼야 과학을 할 수 있다”
2015.08.02
사람을 나누는 기준인 ‘BMI(체질량지수)’는 벨기에의 통계
학자
이자 천문
학자
이며 수
학자
인 아돌프 케틀레에 의해 1870년 만들어졌다. 사람을 몸무게만 가지고는 적당한지 판단할 수 없어 키를 반영한 공식을 고안했던 것이다. 그는 개인의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누면 개인별 키 차이가 나름 ... ...
2cm 몸으로 14cm 점프 ‘소금쟁이 로봇’
2015.07.31
있었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도약 과정을 밝혀냈다”면서 “생물
학자
, 유체역
학자
, 로봇공
학자
의 노력이 합쳐져 이뤄진 융합 연구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라고 말했다. 소금쟁이 로봇처럼 곤충만 한 크기로 간단한 기능을 수행하는 생체 모방 로봇은 재해나 오염 지역, 전장에서 대량으로 흩어져 ... ...
후성유전학이 답한다
과학동아
l
2015.07.29
- 미국 록펠러대 제공 ● 진짜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1970년대에 분자생물
학자
와 발생
학자
가 겪은 고민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DNA가 아닌 DNA의 구조가 전사를 조절한다’는 것과 ‘DNA가 똑같은 세포가 왜 서로 다른 세포로 분화되는가’는 결국 DNA가 정보를 저장하는 유일한 수단이 아니라는 ... ...
스티븐 호킹 “인공지능 무기 개발 법으로 금지해야”
2015.07.29
일침을 가했다. 또 화
학자
와 생물
학자
들이 화학·생물 무기금지협약을 지지하고, 물리
학자
들이 핵무기와 레이저 무기 개발 금지를 지지하는 것처럼 AI 연구자들도 AI 무기 개발 금지에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호킹 박사와 머스크 회장은 이번 서한 발표 이전에도 수차례 AI 무기 개발과 관련해 ... ...
PART 02.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 공식 3
과학동아
l
2015.07.28
1억 원이 넘게 들었다. '함께 먹는 것’은 사람의 심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미국 심리
학자
존 드 카스트로는 사람이 타인과 함께 식사를 할 때 식욕이 어떻게 달라지는 조사해 1989년 발표했다. 조사 결과 사람은 타인과 함께 식사를 할 때 평소보다 음식을 44%나 더 먹었다. 또 재미있게도 같이 ... ...
PART 0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07.28
‘공포 조건화’라 한다. 공포 조건화는 오래 전부터 연구돼 왔다. 1920년 미국의 심리
학자
존 왓슨은 지금으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실험을 진행했다. 11개월 된아이를 대상으로 공포를 학습시키는 실험을 한 것이다. 왓슨은 아이에게 흰쥐를 보여주고, 아이가 흰쥐에 다가가려고 할 때마다 등 뒤에서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수학적 쿼크는 영원히 갇혀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지만 그런 특성을 통해서 우리가 볼 수 있는 현실적 입자들을 만들어낸다. - 머리 겔만 필자는 책의 장르 가운데 전 ... 사쿠라이상을 단독수상했다. 1985년 제정된 사쿠라이상은 이론입자물리학에 공헌한 물리
학자
에게 주어진다. ... ...
조혈모세포 이식을 기다리는 환자들에게 켜진 ‘그린라이트’
2015.07.26
가져왔는지 이번호 특집 기사로 다뤘다. 과거 생명체 화석은 이전에도 많은
학자
들이 연구해 왔다. 하지만 이전까지는 주로 외형을 통해서만 과거를 되짚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생명체의 비밀을 담은 유전물질인 DNA 추출과 분석 기술이 발달하기 전까지만 해도 말이다. 그 대표적인 성과는 ... ...
‘바이오해커’를 아십니까
2015.07.19
기술 발전과 사회 변화에 따라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상황에서 과
학자
의 윤리가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하는 내용을 추가했다. 새내기 과학도에게 일독을 권한다. ... ...
“저는 잘 살아 있답니다”…명왕성 만난 ‘뉴호라이즌’ 지상에 첫 교신
2015.07.15
미국의 리더십을 확인한 위대한 날”이라는 말을 남겼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이론물리
학자
스티븐 호킹 교수도 뉴호라이즌의 명왕성 접근 성공을 축하하면서 “수십 억 ㎞ 떨어진 우주에서 이 작은 탐사선이 보내오는 비밀들은 우리 태양계가 어떻게 형성됐는지 알려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