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국내 최고 높이, 롯데월드타워는 바람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검사할 때는 건물 주변의 건물이나 지형까지 모두 고려한다. 보통 건물 높이의 4배 정도 되는 거리 안에 있는 조형물이 대상이다. 2015년에는 주변에 나무까지 포함시켜야 좀 더 정확한 안전성 검사를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김영문 전북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풍동 실험을 하는 데 예산이 ... ...
- [Issue] 봄 산불, 해충이 막는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측정한 결과, 흔히 알려진 것과 달리 해충 피해가 큰 지역일수록 산불의 규모와 피해 정도가 작았다.연구팀은 해충이 본의 아니게 숲을 ‘솎아베기’했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해충이 많이 생길수록 산불에 취약한 살아있는 식물, 즉 화재의 연료로 쓰이게 될 식물을 줄이게 된다”며 ... ...
- [Issue] 음식과 약 사이 위험한 ‘케미’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원리가 다르다. 그래서 약물 성분마다 음식과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과 정도가 다르다. 하지만 약 성분마다 어떤 음식과 어떤 상호작용을 일으키는지 일일이 외우기란 쉽지 않다. 또 건강기능식품이나 한약도 약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한약은 한의원마다 재료가 조금씩 다르고, 또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좋아하고 있었대요. 걔도 나를 좋아하고 있었다니까요. 둑이라고 쌓은 시멘트 덩어리 정도로는 상대도 안 될 거란 말입니다.”나는 그 학생이 비가 오는 것을 최대한 분산시키기 위해 버스와 기차를 타고 가능한 한 먼 거리를 이동했다고 추측하고 있다. 그리고 그 들뜬 마음이 가라 앉을 때까지, ... ...
- [매스미디어] 히든 피겨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추세다.그럼에도 수학 관련 연구기술직에는 여전히 여성이 드물며, 교수직은 그 정도가 훨씬 심하다. OECD에 따르면 한국 여성의 과학기술 분야 연구직 비율은 30개국 중 뒤에서 2등이다. 프란시스코 아비사티 OECD 교육기술부 분석가는 “여성이 연구기술직에 드문 것은 남녀 간 임금격차를 유지하는 ... ...
- Part 2. 주사위로 즐기는 마방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만들 수도 있고, 마주보는 두 수의 합이 9가 되도록 맞출 수도 있죠. 어때요, 재밌죠?30분 정도 지났을까? 서윤이 먼저 마방진을 만들었다며 손을 번쩍 들었어요. 이것으로 서윤의 승리로 돌아갔어요. 그런데 뭔가 이상하지 않나요? 참가자 모두 받은 상금도 없지만, 잃은 재산도 없어요. 그때 버핏이 ... ...
- Part 1. 여기는 대한민국 탐사광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탐사장비와 잠수정을 실은 해양과학조사선을 타고 피지의 수바항을 출발했어요. 하루 정도 걸려 도착한 곳은 남서태평양 한 가운데였지요. 연구팀이 이곳까지 온 이유는 바다 아래에 광물 자원이 묻혀 있는 ‘해저 광구’가 있기 때문이에요.해저 광구는 바다 속 광산과 같아요. 아연과 구리, 금, 은 ... ...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이용하기 때문에 중량이 가볍다. 전기식 이온엔진의 연비는 화학연료엔진의 10배 정도다. 일반 화학엔진에 비해 단일 추진력은 매우 약하지만 연료량에 따라 수개월에서 수 년까지 가동할 수 있기 때문에 속도가 점점 누적돼 더 빨라질 수 있다.예를 들어 화학연료식 추진으로 하면 달까지 가는 데 2 ...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생물은 각자의 신경망을 동원한다. 지금까지 이 신경망이 완전히 해독된 생물은 약 1mm 정도 크기의 예쁜꼬마선충뿐이다. 그들이 가진 302개의 세포와 8000여 개의 연결망이 20여년의 연구 끝에 모두 해독됐다. 반면 인간 뇌의 신경망 수는 1000조 개에 달하는데다, 매 순간마다 변화를 거듭한다. 새로운 ... ...
- [Career] 미래 도시 농장의 초석을 놓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인 플랜트 사이언스’에 지난 2월 23일에 발표했다. 애기장대는 크기가 손가락 두 마디 정도로 작고, 2만8000여 개의 유전자가 모두 밝혀져 있다. 생애 주기도 3~4주로 짧아 식물연구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임 교수는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작은 시스템을 만들어 테스트하는 중이며, 국내 ... ...
이전3423433443453463473483493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