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벨생리의학상│ 바이러스 사냥꾼들, C형 간염의 범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간염에 걸린 사람이 전 세계 7200만 명이라고 추정했어요.또, 간염으로 사망한 사람은 1990년대 이후 60% 가량 늘어 2015년 134만 명을 기록했는데, 이는 C형 간염 사망자가 크게 늘었기 때문이었어요. A형과 B형 간염은 백신이 개발돼 예방이 가능한 것과 달리, C형 간염은 백신 개발도 매우 어려워요. ... ...
- [시사과학] 노벨 평화상의 주인공은? 유엔 세계식량 계획!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목표로 노력하고 있지요. WFP는 세계 각국과 민간단체들이 내는 자발적 기여금으로 매년 300~400만t(톤)의 식량을 구입해 전 세계 83개국 1억 명을 지원하고 있어요. 직접적인 식량 제공은 물론, 영유아와 임신부를 위한 영양 개선 사업, 황무지 개간 사업 등도 진행하지요.현재는 코로나19에 대응할 필수 ... ...
- [술기로운 동물원 생활] 턱끈펭귄 │ 동물원 수의사가 남극에 간 까닭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이때부터 저는 분주하게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근데 웬 펭귄이냐고요? 지금부터 2019년 남극 출장 진료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남극 세종과학기지에서 40분 정도 걸어가면 ‘펭귄 마을’이라고 불리는 남극특별보호구역(ASPA)이 있습니다. 남극에 여름이 찾아오면, 펭귄 마을에는 턱끈펭귄과 ... ...
- [이달의 과학사] 최초로 지구 궤도에 오른 동물 '라이카' 우주로 떠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가진 영장류를, 소련은 다루기 쉬운 개를 사용했어요. 이 우주 경쟁의 최종 승자는 1940년대 후반부터 원숭이 실험을 거듭 실패한 미국을 제친 소련이었지요.라이카는 원래 소련의 수도인 모스크바 시내에 살던 떠돌이 개였어요. 소련 과학자들은 이런 떠돌이 개들을 데려와 키우며 우주 훈련을 ... ...
- 노벨물리학상│20년간 우주 뒤져 블랙홀을 찾아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이용해 관측한 결과, 우리은하 중심의 블랙홀이 태양보다 약 400만 배 무겁다는 사실을 2008년에 알아냈어요. 이는 블랙홀의 가장 확실한 관측 증거로 꼽혀요.지금은 대부분의 은하 중심에 거대질량 블랙홀이 있다고 밝혀졌어요. 이들은 은하가 만들어지던 초기에 형성돼 점점 커지다 중력을 받아 ... ...
- 노벨화학상│생명과학에 혁명을!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유전자 가위’라고 알려진 3세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Cas9’을 만들었지요.1990년대 개발된 ‘유전자 가위’는 세포의 유전자를 자르는 도구예요. 유전자를 자르면 세포가 절단 부위를 다시 붙이다가 접합 부분에 돌연변이가 일어나기 쉬워요. 이를 이용해 특정 유전자만 망가뜨려 그 기능을 ... ...
- 내가? 아니, 뇌가 하는 생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한국뇌연구원 김구태 연구원은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마이클 C. 앤더슨 연구팀은 2009년, 원치 않는 기억이 떠오르지 않도록 노력했을 때, 실제 기억하는 정도가 줄어드는지 실험했다”며 “기억을 떠올리지 않으려고 노력할 때 인지를 통제하는 뇌 영역인 배외측 전전두피질이 활성화되는 동시에, ... ...
- [과학뉴스] 오시리스 - 렉스 탐사선, 소행성 ‘베누’와 하이파이브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1의 확률로 베누가 지구와 충돌할 수 있다고 발표했죠. 베누를 탐사하기 위해 NASA는 2016년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을 발사했어요. 이 탐사선은 2018년 베누에 도착한 뒤, 상공에 머물며 여러 임무를 수행했어요.10월 21일 오전,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이 새로운 임무를 진행했어요. 베누의 먼지와 자갈을 ... ...
- 어과동 16주년 팬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연금술사’ 속 도로시를 코스프레한 편집장님의 인사와 함께 ‘어린이과학동아 16주년 온라인 팬파티’가 시작된 거예요. 그때의 생생한 현장 이야기가 지금부터 시작됩니다! 어과동, 첫 비대면 팬파티 열다!2004년 10월 창간한 어린이과학동아가 올해 16살 생일을 맞았어요. 어과동 팬파티는 늘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해마, 우리은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3억 년 후에 생긴 거예요.우리 은하는 나선형 은하로, 지름이 약 14만 광년에 두께는 1만 광년이 넘어요. 가운데로 갈수록 많은 별들이 몰려 있는데, 태양계는 우리 은하의 중심부가 아니라 외곽 부분에 있지요. 견우와 직녀가 칠월칠석날에 만나는 다리인 은하수는 지구에서 우리 은하의 중심부를 ... ...
이전3423433443453463473483493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