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변온동물, 전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물리학자 알렉산드로 볼타예요. 금속에서 전류가 물처럼 흐른다고 설명하며 1800년 금속 전지를 개발했지요. 이 전지는 ‘볼타 전지’라고 불렸어요.이후 과학자들은 전기의 흐름을 물의 흐름과 비슷하다고 설명했어요.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것처럼, 전류도 전기적 위치에너지가 ... ...
- [과학뉴스] 플라스틱 쓰레기에 고통받는 해양동물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11월 19일, 미국 해양환경보호단체인 오세아나는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한 해양동물의 피해 규모를 조사한 보고서를 발표했어요.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 ... 디렉터는 “1분마다 트럭 두 대 분량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된다”며 “2040년에는 3배로 늘어날 것”이라고 경고했어요 ... ...
- [기획] ‘정상 체온’이 변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치마네 부족에서도 체온 감소 현상을 발견했다고 지난 10월 밝혔어요. 2002년부터 17년간 아마존 열대우림에 사는 치마네 부족 5481명의 체온 기록 1만 7955개를 추적 분석한 결과, 체온이 약 0.5℃ 떨어진 사실을 알게 됐죠. 짧은 시간에 미국에서 2세기에 걸쳐 관찰된 것과 비슷한 수준으로 체온이 급격히 ... ...
- [핫이슈] 사라진 역사를 찾아라! 디아이투 다산정보수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메모리얼을 타고 2020년으로 가서 사라진 경기도의 역사를 복원하는 거야. 너희가 사는 2020년엔 역사가 데이터가 아닌 실물로 존재한다며? 너희도 내가 역사를 되살리는 걸 도와주겠니? 나를 도와줄 친구들은 웹툰 플랫폼 ‘EBSTOON(www.ebstoon.com)’에서 를 검색해 줘 ... ...
- [통합과학교과서] 탈출하자, 무인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 그리고 로빈슨 크루소는 무사히 구조되었답니다. 기자들은 28년간 무인도에서 살아남은 로빈슨 크루소를 인터뷰하고 싶어 했어요.“완전 유명인사가 됐네요? 기분 어때요?”꿀록 탐정의 질문에 로빈슨 크루소는 이렇게 말했지요.“정말 좋아! 하나 아쉬운 건 헤어스타일이 ... ...
- [기획] 상온 초전도체, 100년을 기다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발생했어요. 초전도체가 탄생한 거죠. 하지만…, 그 이유는 알 수 없었어요. [3] 1975년 “저희가 초전도 현상의 이유를 알아냈습니다!”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어바나샴페인캠퍼스의 존 바딘 교수와 대학원생 리언 쿠퍼, 갓 박사학위를 받은 존 로버트 슈리퍼 세 명이 초전도 현상이 생기는 원인을 ... ...
- [2020 어과동 어워드] 데이터로 보는 2020 지사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살펴보고 사진 속 식물이 어떤 종인지 동정*하고 있어요.그리고 최근 중간 결과로, 4년간 탐사 대원들이 가장 많이 만난 귀화식물을 추렸습니다. 가장 많은 종은 개망초였고, 서양민들레와 토끼풀, 소리쟁이, 망초가 뒤를 이었답니다. 용어정리* 동정 : 생물의 분류학상의 소속이나 명칭을 바르게 ... ...
- [기획] 상온에서 된다고? 떳다! 초전도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된다고? 떳다! 초전도체Part1. [기획] 상온 초전도체 등장!Part2. [기획] 상온 초전도체, 100년을 기다렸다!Part3. [기획] 상온 초전도체, 어디에 쓸까? ★도움김찬중(한국원자력연구원 신소재융합기술연구부 책임연구원), 박두선(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양자물질초전도연구실 교수), 한승용(서울대학교 ... ...
- [기획] 상온 초전도체, 어디에 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너무 높은 전류가 흐르면 초전도 현상이 깨지거든요. 이를 해결할 방안을 찾는 거죠. 2011년엔 초전도체에 흘릴 수 있는 전류의 양을 10~50배 늘리는 방법을 찾아냈어요. 이 발견 덕분에 초전도체 코일의 크기를 대폭 줄여 초전도체 응용 장비의 크기를 줄일 수 있었죠. Q 개발하신 초전도체는 ... ...
- [통합과학교과서] 눈이 부셔, 팅커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스패스 애니히 교수팀이 동물의 형광을 발견한 것은 처음이 아니에요. 지금으로부터 1년 전에는 북아메리카의 날다람쥐가 형광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지요. 당시 연구팀은 야외에서 지의류를 조사하다가, 새 모이통에 든 먹이를 훔치려 내려온 날다람쥐를 우연히 자외선 손전등으로 ... ...
이전338339340341342343344345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