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뉴스
"
학과
"(으)로 총 4,833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성애는 죄악인가? 질병인가?
2017.10.02
현재 동화약품 연구개발본부에서 심신을 치유하는 좋은 약을 개발하며, 서울대학교 인류
학과
에서 신경인류학 논문을 쓰고 있다. , 를 옮겼고, , 등을 썼다 ... ...
시판 일회용 생리대 10종 재료 분석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
과학동아
l
2017.10.02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만든 부직포를 추가로 쓰는 제품도 있다. 고성혁 연세대 패키징
학과
교수는 “폴리에틸렌 필름은 식품포장용 플라스틱 가운데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할 만큼 독성이 없고 안정적”이라고 말했다. 과학동아-전문가 생리대 10종 성분 분석 | 국내 일회용 생리대 시장점유율 1~4위인 ... ...
미래 ‘스텔스 기술’ 전파는 물론 소리-빛까지 속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메타물질 기술인 빛 제어 분야에서도 일부 성과가 나오고 있다. 최원식 고려대 물리
학과
교수 팀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공동으로 의료 분야 세포검사 화면을 한층 또렷하게 볼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 메타물질은 파장을 제어해 신호를 약하게 만드는 기술인데, 파장을 제어하는 물질의 구조를 ... ...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구조론 격돌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백두산에는 이 성분들이 모두 포함돼 있다는 것이다. 윤성효 부산대 지구물리
학과
교수는 “자오 교수가 밝힌 해양지각판의 섭입 위치처럼 지구물리학적 증거는 그의 가설을 잘 뒷받침하지만 지구화학적 데이터는 일치하지 않는다”면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가설이지만 이를 수정하거나 ... ...
뜨는 수시와 학종, 과학동아로 준비
과학동아
l
2017.09.27
한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정보다. 어떤 직업이 있는지는 물론 이를 위해 어떤
학과
나 학부에 진학해야 하는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필수다. 하지만 학생은 물론 학부모들이 이런 정보를 직접 찾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과학동아 활용 대학 합격사례 공개 ... ...
수증기로 신재생에너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이 수증기를 이용해 청정에너지를 생산하는 방법이 나왔다. 미국 컬럼비아대 물리
학과
오구어 샤힌 교수팀은 수증기의 화학에너지를 변환시켜 물리적 일을 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26일 (현지시각)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 ...
26일 4차산업혁명위원회 공식 출범… 위원장에 장병규 블루홀 이사회 의장
동아사이언스
l
2017.09.26
부산대 경제학부 교수 △이희조 고려대 통신공학부 교수 △임춘성 연세대 정보산업공
학과
교수 △한재권 한양대 산학협력중점교수 △강수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 △이재용 국토연구원 ... ...
[사이언스 팩트체크] 주변에 동성애자 있으면 동성애자 늘어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9.25
영향을 미치는 않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알렉시스 딘노 미국 포틀랜드주립대 공공보건
학과
교수팀은 2013년 6월 ‘미국공공도서관회보(플로스원)’에 발표한 논문에서 “1989~2009년까지 미국 50개 주에의 결혼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동성 결혼 합법화는 이성 사이의 결혼률에 ... ...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꾼 파란 꽃
과학동아
l
2017.09.23
두께가 두꺼워져 잎의 색이 진해진다. 캐시 마틴 영국 이스트 앵글리아대 대사생물
학과
교수팀은 밝은 자주색(마젠타)의 금어초 꽃잎의 표피세포가 원뿔 모양에서 납작하게 바뀌고 이 때문에 꽃잎이 옅은 분홍색으로 변하는 사실을 확인했다(doi:10.1038/369661a0). 수박풀(Hibiscus trionum)은 표피세포를 덮고 ... ...
‘옴의 법칙’ 190년만에 한국인 과학자가 깼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2
금속에서 옴의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현상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김지훈 포스텍 물리
학과
교수팀은 김헌정 대구대 교수와 공동으로 ‘바일 금속(BiSb)’ 표면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전자의 움직임은 옴의 법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임을 규명해 ‘네이처 머티리얼스’ 8월 14일자에 발표했다.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