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썰렁 홈즈 마술사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2호
있습니다. 700보다 작다고요? 그럼 당신의 오른손에는 50원짜리가 있습니다! 어때요?
정확
하지요? 두 번째 마술 손대지 않고 합체!이 썰렁 홈즈의 마술 실력이 대단하다고요? 뭘 이 정도 가지고…. 또 다른 마술을 하나 보여 드리지요. 아니 제가 보여 드리는 것은 아니고 여러분이 직접 할 수 ... ...
도나카와 안스네가 남긴 유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1호
열쇠꾸러미에는 10개의 각각 다른 열쇠가 달려 있다는 것. 썰렁 홈즈는 10개의 열쇠 중에
정확
한 한 개의 열쇠를 찾아 열어야 한다는 것이다. 어떤 열쇠가 보물 상자의 열쇠일까? 그리고 보물 상자에 담긴 보물은 무엇일까? 썰렁 홈즈의 정답1. 정답 문에서 중요한 것은 한자와 무늬이다. 정답은 8번 ... ...
밤하늘에 새긴 화려한 색깔, 불꽃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1호
하늘 높이에서 불꽃이 터지는 것일까요? 연화를 쏘아올려 꼭대기에 다다르는 시간을
정확
하게 계산해서 그때 터질 수 있도록 도화선의 길이를 조절했기 때문이지요. 결국 연화의 모양과 도화선의 길이를 다양하게 설계해서 화려한 모양의 불꽃을 만들어 낸답니다.또 다른 불꽃 상식 한 가지. 연화 ... ...
헝가리에서 온 고집쟁이 셰퍼드 샤크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19호
태어난 양치기 개샤크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셰퍼드’라는 종의 개랍니다.
정확
하게는‘저먼셰퍼드훈트’라고 하는데요, 저먼은 독일, 셰퍼드는 양치기, 훈트는 개를 뜻해요. 결국 독일에서 태어난 양치기 개라는 뜻이지요. 그런데 왜 경찰견은 대부분 셰퍼드일까요? 우리나라의 진돗개가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있으나 입방체가 아니었다(④). 오른손을 조종하는 좌뇌는 직선을 서로 만나는 지점까지
정확
히 긋게 하지만 3차원 공간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누구나 쉽게 그릴 것 같은 간단한 그림도 뇌량을 통해 좌뇌와 우뇌가 정보를 교환하고 종합해야만 얻을 수 있는 것이다.우연히 선택된 ... ...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삼고 있다. 표준이론은 지난 40여년 동안 얻어진 거의 모든 입자물리 실험결과들을
정확
하게 예측한 매우 성공적인 이론이다. 그럼에도 물리학자들은 표준이론이 궁극의 완전한 이론이 될 수는 없을 것이라는데 대체로 동의하고 있다. 표준이론이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몇가지 문제점들이 있기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다비드상은 인류가 만들어낸 조각 중 최대 걸작품의 하나로 평가된다. 이 작품이 얼마나
정확
한가는 몸 중간의 음낭을 보면 알 수 있다. 자세히 보면 왼쪽이 약간 아래쪽으로 처져 있다. 실제 대부분 남자의 음낭 역시 왼쪽이 약간 아래 놓여 있다.음낭이 비대칭인 이유를 찾아내려고 많은 사람들이 ... ...
B형 남자는 바람둥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높고 O형은 십이지장궤양에 더 잘 걸린다. 왜 혈액형에 따라 잘 걸리는 병이 있는 걸까.
정확
하게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병을 일으키는 세균이 특정 혈액형을 가진 사람의 세포에 더 잘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A혈액형을 가진 사람은 피 속에 β항체를 갖고 있다. B형은 α항체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 ...
인간의 유전자는 멀티 플레이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암과 유전병을 정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지구 생명체의 진화과정과 인류의 진화 역사를
정확
히 알아낼 수도 있을 것이다.예상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판명된 인간 유전자 수는 ‘양보다는 질’이라는 격언을 되새기게 하며 우리나라에서도 게놈 연구에 큰 발전이 있기를 기대해 본다.진핵생물DNA를 ... ...
황우석연구소 설립, 줄기세포 논란 가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나타나는지 확인해야 하고, 신경이 정말 성체 줄기세포로부터 자라났는지를 증명하는
정확
한 메커니즘이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성체 줄기세포로 환자가 치료됐다고 확신하기는 어렵다”고 의문을 나타냈다.결국 배아나 성체 줄기세포 모두 질병을 치료하는데 쓰일 ‘가능성’은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