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여름 바다에서 피해야 할 5대 세균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에 침입해 장, 간, 신장 등에 염증을 일으킨다. 박희명 건국대 수의대 수의내과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반려견의 야외활동이 상대적으로 적고, 또 구충제를 철저히 복용하는 편이라 반려견이 개회충을 해변에 옮길 가능성은 높지 않다”며 “다만 야생동물이나 야외에서 사는 개들이 옮긴 ... ...
- [과학동아 X KRISS] 볼츠만 상수로 더 완벽해진 켈빈과학동아 l2018년 08호
- 100 ℃, 끓는점을 0 ℃로 두고 그 사이를 100등분한 섭씨온도를 제안했다(이는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기준과 반대다. 그가 사망한 뒤 수 정됐다). 섭씨온도의 기호는 셀시우스(Celsius)의 머릿글자(C)를 따서 만들어졌다. 한편 영어권에서 널리 쓰이는 화씨온도(℉)는 1724년 독일의 물리학자 다니엘 ... ...
- [Origin] 물리학의 환상이자 난제, 고온 초전도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초전도 현상은 물리학자들에게 여전히 새롭게 다가옵니다. 언젠가는 고온 초전도체가 우리 사회를 바꿔놓을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강민구POSTECH 물리학과를 졸업 한 뒤 김근수 연세대 교수 연구실 연구원을 거쳐 미국매사추세츠공대(MIT) 물리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있다. 분광학적 방법을 이용해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8] 문화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융합’으로, 기존 문화와 외래문화가 결합해 전에 없던 문화가 형성되는 양상이다.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된 뒤 칠성신을 모시는 전각인 칠성각이 절과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불교문화가 나타난 사례가 여기에 해당한다.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오랜 기간 유지되면서 한 사회의 고유한 가치로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나무 판자가 모두 바뀌어도 여전히 같은 배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수 있는 건 바로 DNA의 복제 때문이지요. 따라서 만약 기준이 되는 유전물질이 달라지면, 우리는 다른 사람이 됐다고 할 수 있어요. 사람을 구성하고 구별하는 기준이 달라진 셈이니까요. ▶이 질문이 왜 중요할까? 이 질문은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더욱 중요해졌어요. 만약 사고로 다친 사람이 ... ...
- [국립과학관 공동특별전] 수학나라의 앨리스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안과 밖이 똑같은 뫼비우스 띠처럼 사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수학나라고, 수학나라가 곧 우리가 사는 세상이랍니다. 어서 수학나라에 방문해 보세요. 수학 기호가 빨려 들어가는 굴이 수학나라로 가는 입구랍니다 ... ...
- [팔과 다리 만들기] 팔 이식, 전자의수 무엇을 원해요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하는 수술이다.두 번째 걸림돌은 면역거부반응이다. 팔을 구성하고 있는 피부는 우리 몸에서 면역거부반응이 가장 강한 장기다. 만약 다른 사람의 팔을 이식하는 경우라면 넓은 면적의 피부 때문에라도 면역억제제를 세게 써야 하는데 이것이 환자의 면역반응을 과하게 낮춰 죽음에 이르게 할 ... ...
- [Origin] 이런, 다이아몬드 같지 않은 나노 다이아몬드과학동아 l2018년 08호
- 12%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딩 교수는 “100% 이상 늘어나는 고분자나 고무를 제외하고, 우리 생활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재료보다 탄성력이 크다는 의미”라며 “강철의 인장 변형은 1~2%, 유리와 세라믹은 1%가 채 되지 않는다”라고 설명했다. 이는 싱가포르 난양공대 연구진의 실제 실험에서도 ... ...
- [Culture] 20년 만에 다시 태어난 익산 미륵사지 석탑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맞이한 지금 탑은 제자리에 남아 앞으로도 수백 년 이상 그 고귀한 생명을 이어가고, 우리들은 사라져 갈 것이다.미륵사지 석탑과 18년을 함께한 필자는 이제 조그마한 미련도 남지 않았다. 독자들이 다시 우뚝 선 미륵사지 석탑을 마주할 기회가 있다면 ‘속도’보다는 ‘정성’에, ‘추정’보다는 ... ...
- [Issue] AI는 인간의 ‘후배’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함께 인공신경망을 구동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변화가 동반될 때에야 AI는 비로소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큰 파동을 일으킬 것이다. 후생가외를 더 정확히 해석해보면, 외(畏)는 경외심을 의미한다. 단순히 두려운 것이 아니라 존경의 뜻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뒤에 오는 후배의 뛰어남을 ... ...
이전3403413423433443453463473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