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높아질 해수면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있는 반면 성장속도가 더딘 산호는 죽게 될 것이라는 결론. 산호는 수심 2~30m의 얕은
바다
에서만 생존이 가능하다. 이유는 조직 속에 붙어 사는 조류(藻類·algae)에 햇볕을 쬐게 해주어야 하기 때문. 조류는 그대신 광합성을 해서 숙주인 산호에 영양을 공급한다.산호의 성장속도는 1년에 최저 1㎜에서 ... ...
해양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및 항만건설기술 등은 상당한 수준에 와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재 부산 남항 앞
바다
에 96년까지 2백50만평의 해상신시가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그러나 간척매립사업은 천해양식장 등 연안어장의 환경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선진국에서는 공동진화적 발전(coevolutionary development)정책을 통하여 ... ...
무공해 대체 에너지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핵융합발전은 반대로 핵융합에서 오는 에너지를 활용한다. 핵융합 원료인 중(重)수소는
바다
속에 무한정으로 존재할 뿐더러 방사성 오염물질도 전혀 발생치 않는다는 것이 특징. 그러나 핵융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초고온을 만들어줘야 하므로 아직 실용화단계는 아니다. 핵융합발전이 실용화되기 ... ...
지구가 너무 덥고 추웠을 때 When The Earth Was Too Hot and Too Cold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판게아의 중앙부는 아마 대양에서 2천마일은 떨어져 있었을 것이며 오늘날은 어떤 땅도
바다
에서 이만큼 떨어져 있지 않다.판게아의 중앙지대가 충분히 북쪽이나 남쪽에 자리 잡았다면 한 겨울에는 오늘날 지상의 어떤 곳보다 추웠을 것이고 한 여름에는 오늘날의 어떤 곳보다 더웠을 것이다. ... ...
너무나 심각한 환경오염 우리는 이런 위험 속에 살고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영향으로 부영양화의 전단계인 '육지 적조' 현상이 일고 있는 형편이다.한편 깨끗한
바다
의 대명사처럼 알려진 동해가 지난해부터 크게 오염됐음이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동해에서 오염이 가장 심한 속초연안의 작년 상반기 오염도는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이 6.5ppm으로 공업용수는 물론 선박의 ... ...
열대신 고압으로 식품가공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오래전부터 주목돼 왔다. 특히 유럽 미국의 해난구조업계에서는 널리 알려진 사실,
바다
밑에 가라앉은 배를 인양하면 드문 일이긴 하지만 염장한 고기 등 옛날의 식품이 당시 선도(鮮度) 그대로 발견된 적이 있었던 것이다.초고압이용 식품가공기술의 근거도 압력의 크기를 비할 수는 없으나 ... ...
입자물리학과 우주의 이해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중대한 의문은 90년대에 가서 보다 깊이있게 파헤쳐질 것이다. 챔프를 찾아내려고 깊은
바다
의 침전물을 끄집어내 분리하는 작업도 했으나 성공하지는 못했다. 만약 챔프가 존재한다면 가속기에서 반(反) 챔프로부터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가속기의 공헌80년대 물리학과 우주학의 진보에 크게 ... ...
생물의 명멸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중생대가 시작될 무렵에 있었던 '페름기의 대재앙'에 의해 멸종했는데, 페름기에는
바다
속에 사는 무척추생물의 95%가 일시에 사라졌다. 또 중새대 말 백악기 때에는 공룡이 자취를 감추었고 대신 포유류가 황금시대를 맞게 되었다.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루이스 알바레스'는 9년 전 놀라운 ... ...
거친 환경에 적응한 4백여종 한국의 고산식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작은 흰그늘용담, 꽃잎이 십자모양으로 되어 있는 섬바위장대 등이 나타나고 있다.동해
바다
에 우뚝 솟아 있는 울릉도의 성인봉에는 두메오리나무 황기 미역줄나무 메제비꽃 돌바늘꽃 만병초 홍만병초 백리향 섬백리향 쇠서나물 산마늘 큰두루미꽃 등 12종류가 분포하고 있다. 에델바이스와 ... ...
환경파괴, 전지구적 규모로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수 있을까 실험실은 바로 우리 인류와 모든 생명체가 사는 유일한 장소인 지구의 땅과
바다
이다. 어떤 결과가 생길지 기다리고만 있는다면 이는 완전한 바보짓인 것이다. 물론 약간의 실험은 가능하다. 오존이 감소된 상태의 온실에서의 식물생육 등을 살필 수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 ...
이전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