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d라이브러리
"
물리
"(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 청진기, 의료영상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발견한 공로로 1901년 노벨
물리
학상을 탄 빌헬름 뢴트겐은 1895년 기자회견에서 “드디어 아내가 보인다”고 소감을 밝혔다. 약지에 결혼반지를 낀 아내 안나 베르터의 손가락 뼈가 드러난 사진을 두고 한 말이다.1895년 말 뢴트겐은 아내의 손을 들여다본 것을 시작으로 사람의 몸속을 들여다보는 ... ...
어둠 속 마음 심(心)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찰칵’ 하는 순간 카메라는 추억의 한 장면을 담는다. 그런데 카메라에 ‘시간’을 담을 수는 없을까. 셔터의 속도를 조절하면 한 장의 사진에 시간의 흐름을 담을 수 있다.이 작품은 어둠 속에서 ‘마음 심’(心) 한자를 그리는 빛의 움직임을 아름답게 포착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자외선이나 X선 ... ...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표시한다 결정면은 결정축을 잘라내는 비율로 표시한다
물리
학적 방법으로 결정의
물리
적 성질 · 원자적 구조를 연구하는 학문 X선에 의한 결정구조해석의 발견 이후로 현저하게 발전했다 암장이 고체화할 때 이미 결정된 광물과 잔액이 분리 이동함으로써 암장의 화학조성에 차이가 일어나 여러 ... ...
EPISODE2 판게아 프록시마 원정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초대륙이 있었을까. 초대륙의 존재를 처음으로 주장한 사람은 1912년 독일의 지구
물리
학자인 알프레트 베게너다. 그는 2억 5000만 년 전 지구에 판게아(그리스어로 ‘모든 지구’라는 뜻)라는 거대한 대륙이 있었다가 갈라지고 붙기를 반복하며 현재 대륙의 모습이 만들어졌다는 ‘대륙이동설’을 ... ...
인간광우병 공포 누그러뜨린 프리온 발견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크게 자극한 인물은 칼턴 가이두섹 박사. 슬로바키아 이민 2세인 그는 대학에서 수학,
물리
학, 화학을 섭렵한 뒤 하버드대 의대에 진학했다. 졸업 후 20세기 최고의 화학자 라이너스 폴링의 실험실을 포함해 여러 곳을 방랑하던 그는 1954년 호주로 날아가 호주와 뉴기니 원주민의 풍토병을 연구하기 ... ...
주변 은하 공격하는 블랙홀 발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X선망원경, 스피처 우주망원경, 거대전파망원경배열(VLA)로 함께 관측한 이 결과는 ‘천체
물리
학저널’에 실릴 예정이다. 지구에서 125억 광년 떨어져 있는 3C321의 두 은하는 서로 접근하며 충돌 중인데, 더 큰 은하가 작은 은하에 가까이 접근하자 중심부에 자리한 거대블랙홀에서 거의 광속으로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커서 섭동론을 적용할 수 없다특정한 게이지 군에서 게이지 변환을 하더라도 주어진
물리
계는 변하지 않는다는 원리를 기초로 하는 이론 표준모형은 게이지 이론의 일종이다체격이 크고 네 다리로 걷는 초식 또는 잡식성 공룡두 발로 걷는 육식성 공룡기존의 2차원 평면영상과 달리 사람이 보고 ... ...
tRNA 결정에서 풀어낸 입체 구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X선 결정학으로 탄수화물의 입체구조를 밝히는 일이었다. X선 결정학은 20세기 초 영국의
물리
학자 윌리엄 브래그 박사가 확립한 분야다. 원자나 분자가 일정하게 배열된 구조인 결정에 X선을 쪼일 때 나타나는 회절 패턴을 분석하면 결정 단위나 분자의 입체구조를 알아낼 수 있다.분자가 커질수록 ... ...
'팔방미인' 독도의 속살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발견해 ‘독도혼합효과’라고 이름 붙이기도 했다. 이처럼 독도에서만 나타나는 해양
물리
현상을 이해하면 동해의 해양생태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독도엔스와 독도심층류, 독도효과처럼 국제학술지에 독도라는 이름이 들어간 과학적 성과가 많이 발표될수록 한국과 독도의 연결고리가 ... ...
신물질을 디자인합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
물리
학 지식에 논리력과 상상력이 결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현재 고체이론
물리
연구실에서는 산화알루미늄으로 나노튜브를 만들어 이를 어떻게 응용할 수 있을지 검토하고 있다. 장 교수는 “산화알루미늄나노튜브 안에 리튬(Li) 같은 금속원소를 넣으면 머리카락보다 가느다란 리튬배터리를 ... ...
이전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