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하생
제자
생도
학도
피교육자
학상
동공
d라이브러리
"
학생
"(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과 스피커, 종이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한다. 그리고 “‘왜’라는 질문을 가지고 현상을 보면 새로운 답을 찾을 수 있다”며
학생
들을 격려한다.‘전기종이’ 연구를 시작한지 올해로 정확히 10년째. 김 단장은 “지난 10년보다 앞으로 10년이 더 기대된다”며 “세계에서 최초로 ‘마법 종이’를 꼭 개발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 ...
멘토링은 나의 힘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요즘 기업에서 핵심인재를 양성하는 힘으로 주목받는 멘토링은 과학자를 꿈꾸는 여
학생
, 특히 알파걸에게 힘찬 날개를 달아주고 있다. 멘토링으로 차세대 여성과학기술인을 키우는 WISE센터와 함께 멘토링의 힘을 느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멘토링은 나의 힘1. 역사 속 '마리 퀴리'를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이공계 여성전문인과 여
학생
을 이어주기 때문에 등록된 남성 멘토는 없다. 그러나
학생
이 인턴으로 현장에 파견될 경우 책임자가 멘토 역할을 하기 때문에 남성일 경우가 있다. 한 박사를 비롯해 질병관리본부 조인호 박사와 윤기정 연구원도 남성 멘토로 활약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한강에 모인 새 박사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디지털영상학과 03학번) 군은 “새에 대한 지식이 특별히 많기보다는 새를 좋아하는
학생
들이 대부분”이라며 “동아리에 들어오면 선배로부터 새의 종류와 특징을 배운 뒤 탐조를 나가 새를 직접 본다”고 설명했다.매년 2월마다 열리는 한강 겨울철새 도래 현황 조사는 야생조류연구회의 오랜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전시하는 행사를 계획했다.이두호 선생님이 많은 작품을 그린 ‘소년중앙’을 초등
학생
시절 탐독하며 과학자(가끔은 만화가)의 꿈을 키우던 나는 이런 기회를 통해 이두호 선생님과 통화를 하는 것이 무척 영광이었다. 최근에는 ‘머털도사’ 같은 시대물을 집필하지만 1970년대 연재했던 ‘무지개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한 구절이다. 수행자조차 동요시킬 정도로 비교는 사람의 행복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일까.
학생
들이 제일 싫어하는 말이 ‘엄친아’, 즉 ‘엄마 친구 아들’이라는 우스갯소리도 있다.최근 독일의 경제학자와 신경과학자들은 비교가 뇌의 ‘보상센터’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밝혀 ... ...
불타는 나의 로봇 본능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신입부원을 모집하고 있다. 김보근(04학번) 양은 MR에 들어온 최초의 항공우주공학과
학생
이며 정다운(06학번) 군은 산업디자인을 공부하고 있다. 이들은 땅에서만 움직이던 MR의 로봇이 이제 가벼워진 몸체로 하늘을 날고, 매혹적인 디자인으로 무장할 차례라며 자신감을 보였다.특히 정 군은 2008년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교양강좌에서 ‘대중음악과 함께 하는 대
학생
활’이란 강의를 하고 있다. 한 학기 동안
학생
들과 노래방 가는 일이 수업이고, 작곡도 가르친다. 사실 마이크만 제대로 잡아도 노래 잘 한다는 소릴 들을 수 있다. 음악을 사랑하는 사람 치고 악한 사람이 없기에 노래 잘 하는 친구들을 좋아할 수밖에.2. ... ...
당신의 마음에 반창고를 붙여드려요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의대 교육과정이 이렇듯 질병 중심으로 짜여있어 환자를 처음 대하는 의대 3학년
학생
들은 자연스레 2년 동안 배웠던 질병의 관점으로 환자를 본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과정은 의사를 만드는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일 뿐이다. 아담스의 소망대로 현재 상당수 의대에서는 1학년 때부터 ‘환자 ... ...
생명은 어떻게 진화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심어주는 역할도 한다”고 강조했다.러시아 자연사박물관은 고생물학에 관심이 많은
학생
을 선발해 박물관의 다양한 소장품을 보여주고, 같이 화석을 발굴할 기회도 제공한다. 세르게이 박사도 어렸을 때 러시아 자연사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고생물학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회고했다.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