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하생
제자
생도
학도
피교육자
학상
동공
d라이브러리
"
학생
"(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10대들의 화학 축제 '화탐프'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MIT, 콜롬비아대 등 미국의 여러 명문대를 탐방하는 기회도 얻었다. 해외연수에 참여한
학생
12명은 입을 모아 “드넓은 세상을 느꼈다”고 말했다. 과학발전의 최전선에 있는 연구자들의 모습에 자극을 받은 것이다. 이치우 군은 “해외에서 열심히 과학에 매진하는 선배들을 보니 내 미래도 밝은 것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자신의 경험담을 들려주며 격려하고 친형 같은 조언을 아끼지 않는다. 공부에 지친
학생
들과 함께 한 달에 두세 번씩 볼링게임을 즐기고 아름다운 포항 바다를 찾기도 한다.그는 “포항은 서울과 멀리 떨어져있는 대신 깨끗한 산과 바다에 둘러싸여있어 그 어느 곳보다 공부하기 좋은 환경”이라고 ... ...
무한도전 과학경진대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올해로 26회째를 맞는다. 지난 대회에서는 학교예선을 포함해 총 7개 종목에 424만 명의
학생
이 참가했다.일정학교대회 : 4~5월 | 시군구대회 : 5~6월 | 시도대회 : 6~8월전국대회 : 9월 27일, 경남 진주시 경상대지역별 자세한 일정은 전국청소년과학탐구대회 홈페이지(nysc.scienceall.com) 참조종목항공과학 ... ...
적신호 켜진 허리 건강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조사결과에 따르면 여
학생
이 척추측만증일 확률은 남
학생
의 5배에 이른다. 사춘기 여
학생
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량이 급격히 증가하는데 이 호르몬이 인대와 근육을 유연하게 만들어 척추뼈가 쉽게 휜다. 특히 에스트로겐 분비가 급격히 증가하는 초경 전·후 1~2년 동안 척추가 가장 ... ...
지상을 박차고 우주로 비상하라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좋아해 중
학생
때 여러 번 물로켓대회에 나갔다는 정태근(03학번) 군은 1학년 때 전국대
학생
로켓연합회 발사대회에 참가했던 추억을 아직도 잊지 못한다. 공업용 설탕의 일종인 솔비톨과 산화제인 질산칼륨이 로켓의 엔진 속에서 잘 연소한 덕분에 로켓은 창공을 박차고 힘차게 날았다. 로켓과 ... ...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저녁 7시 58분~8시 8분과 4월 17일 저녁 6시 18분~28분 사이에 벌어지는 이 씨와 우리나라 고등
학생
사이에서 이뤄지는 무선통신도 엿들을 수 있다. 경기도 평택시 한광고등학교와 대전시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에서 각각 한 번씩 열린다. 김치와 홍삼차로 한국 알린다ISS는 세계에서 유일한 ‘사람이 ... ...
소설 경지에 오른 논문조작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저널에 논문을 실어야만 평가해주는 분위기도 문제”라며 “요즘은 대학원에 갓 들어온
학생
들도 ‘좋은 데 논문 내 졸업하기 쉬운 실험실’을 찾아다닌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실제 일자리를 잡을 때에도 박사 과정 또는 박사후 과정 때 어디에 논문을 냈느냐가 결정적인 요인인 게 ... ...
색소폰과 클라리넷 부는 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30가지 넘는 명품악기 소장“우리 연구실에서는 음악을 잘한다고
학생
을 받아주지 않아요. 다른 공학 분야처럼 수학이나 물리를 잘해야 합니다. 그래도 들어오면 제가 말을 바꾸죠. 소리를 배우는 사람이 악기 하나쯤은 익혀야 한다고.”지난 2월 말에는 연구실 출신들이 함께 ... ...
4. 여성 파워엘리트 인큐베이터 wise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거점센터와 13개 지역센터를 설치했고, 앞으로 전국 지역센터를 16개까지 늘려 여
학생
을 과학기술인으로 키우는 사회협력 기반을 넓혀 나갈 계획”이라며 “앞으로 다양한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사업과 함께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마리 퀴리를 꿈꾸는 알파걸에게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가장 큰 분류단위인 ‘계’(kingdom)에서 생물을 식물계와 동물계 둘로 나눴다. 오늘날 초등
학생
도 쉽게 배울 수 있을 정도로 명확한 출발점으로 보인다. 완벽한 것으로 여겨졌던 린네의 ‘2계 분류 체계’는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금이 가기 시작했다. 여태껏 존재 자체를 몰랐던 미생물이 발견됐기 ... ...
이전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