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교과연계수업] 오늘이 화이트데이? 운명의 짝을 만날 확률은?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 오늘은 3월 14일, 누구나 한 번쯤은 좋아하는 사람에게 마음을 고백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되는 화이트데 ... 소개한다. ▶ 기사에서 나온 을 인터넷 검색을 통해 좀 더 자세하게
알
아보고, 학생들이 스스로 설명할 수 있도록 이끈다 ... ...
숀리외 함께하는 사이언스 헬스 킹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건강한 인터뷰좋은 식습관과 꾸준한 운동으로 처저럼 건강짱이 되세요!울퉁불퉁한
알
통을 자랑하는 숀리 형은 어릴 때부터 몸짱이었을까요? 놀랍게도 숀리 형도 어렸을 적엔 마르고 허약했다고 해요. 과연 숀리형은 어떻게 몸짱이 될 수 있었을까요? 비결을 들어 볼까요?숀리 형은 언제부터 운동을 ... ...
[시사] 수학으로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가격에서 수요량과 공급량이 같지 않을 때 어떤 일이 나타나는지를 생각하면 쉽게
알
수 있다.만약 초콜릿의 수요량이 초콜릿의 공급량보다 많다고 가정하자(P₂). 이 때 초콜릿을 사고자 하는 사람들은 많지만(c), 초콜릿이 부족해(a) 모든 사람들이 초콜릿을 사지 못한다. 따라서 지금 초콜릿 ... ...
거짓말 탐지 MRI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때 나타나는 뇌 반응과 미리 저장한 반응을 비교하면 그 사람이 진실을 말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미국의 신경과학자 스티븐 레이큰 박사는 이 방법의 정확도가 97%라고 발표했다.[뇌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는지를 보면, 거짓말을 하는지 진실을 말하는지를 구분할 수 있다.]남은 3%의 오류 ... ...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사이에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것을 좋아하고 사람들에게
알
려주는 걸 좋아하는 것이 이과 리더쉽이다. 즐길 줄
알
아야 한다.“영어를 잘하거나 글을 잘 쓰거나 문학을 잘하는 것도 이과 상위권 학생들이 가져야 할 기본 덕목이야. 그리고 그냥 잘하니까 선택하는 것은 권하고 싶지 않아. 잘하는 것과 재미있는 것 중에 어떤 걸 더 ... ...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쪽으로 가지 않았다.거미들은 왜 오줌농축액을 마셔야만 했을까. 정신분열증의 원인을
알
아내기 위해서였다. 1950년 당시 메스칼린이나 LSD같은 약물을 복용하면 건강한 사람도 정신분열증 환자와 같은 증상을 보였다. 이 화학물질들은 단기간에 환각작용과 자아분열을 일으킨다. 이 때문에 의사들은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구겨진 종이만 봐서는 어디가 바깥으로 나가는 방향인지, 자신이 얼마나 이동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구겨진 종이 내부는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그래도 공통된 특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구겨진 종이는 바깥쪽이 밀도가 가장 높고 안쪽이 가장 낮았다. 또 종이는 대체로 나란하게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있어요. 개구리의 피부는 정말 민감하기 때문에 이런 유해물질에 속수무책이랍니다.
알
다시피 개구리는 피부로도 호흡을 할 수 있잖아요. 그건 피부가 산소나 물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구조란 뜻이죠. 그러다보니 유해물질도 피부를 통해 쉽게 몸 안으로 들어갈 수 있어요. 개구리의 천적 ... ...
Part3. 별 걸 다 맡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수 있다. 또 냄새의 성분을 더 구체화할 수 있다면 냄새만으로 어떤 병에 걸렸는지도
알
아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더러운 연구Part1. 이 걸 먹는다고?Part2. 세균을 찾아서Part3. 별 걸 다 맡아!Part4. 사체는 내 사랑Part5. 원초적인 더러움, 똥Part6. ... ...
우주에 또다른 내가 산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사례다. 강사의 설명이 원래의 철학 개념을 얼마나 온전히 나타내고 있는지는 지금도
알
수 없지만, 적어도 니체가 막연하고 뜬구름 잡는 소리만 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은 깨달을 수 있었다.조각우주와 다중우주비슷한 논리를 다시 만난 것은 우주를 다루는 현대물리학 책에서다. 초끈이론 입문서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