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불타는 얼음 정말 불내나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알
라스카 영구동토층에서 이 방법을 이용해 시험생산을 시작하면서 현장으로 나왔다.
알
라스카에서는 이산화탄소(CO2)와 함께 질소(N2)도 주입했다. 이 기술은 원래 KAIST 이흔 교수팀이 지난 2006년 메커니즘을 밝혀낸 것이다. 가스하이드레이트는 산소원자 사이의 수소결합으로 여러 개의 작은 방이 ... ...
아낌없이 주는 숲 맹그로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했다. 하지만 맹그로브 숲은 시나브로 사라지고 있다. 학생들과 필리핀 현지를 방문해
알
아낸 것은 맹그로브 숲의 유무에 따라 섬마을 사람들의 어획고에 큰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바나콘 섬의 맹그로브 숲 면적은 약 450ha으로 넓은 대륙붕을 따라 길게 펼쳐져 있윤여창다. 이 곳 주민들의 어획량은 ... ...
중성미자 대결, 중국과 무승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중국 연구팀은 검출기 건설 일정을 전혀 학계에 보고하지 않아 다른 나라에서는 상황을
알
수 없었다. 또한, 시설이 채 완성되기도 전인 지난해 12월부터 서둘러 실험을 시작해 결과를 얻었다. 현재는 두 연구팀의 논문이 모두 투고된 상태로 아직 학술지에서 승인을 받아 출판된 것은 아니다 ... ...
뉴로피드백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얼굴이나 역겨운 대상과 같이 부정적인 감정 자극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뇌 부위로
알
려져 있다. 실험 대상에게 섬엽의 활동 정도를 막대그래프로 보여주면서 스스로 섬엽의 활동을 높이는 훈련을 계속했더니 놀랍게도 똑같은 자극에 대해서 더 부정적인 감정을 갖게 됐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 ...
배려의 리더십으로 대학까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쓸 때 뭘 써야할지 막막할 때는 주변 사람에게 물어 보면 스스로도 몰랐던 자신의 모습을
알
수 있다. 다 쓴 다음에는 학교 선생님께 검토를 받는 것이 좋다. 어느 학교나 입학사정관은 공통적으로 ‘교사추천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평소에 학교생활을 열심히 하는 것은 여러모로 도움이 된다. ... ...
순간 포착! 동물생애 최고의 순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착각하지요. 어떤가요? 자세히 봐도 벌새로 착각할 만큼 비슷하게 생겼죠? 실제 벌새는
알
래스카와 열대지방에서 살아요.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지요. 혹시 진짜 벌새를 발견한 친구들은 ‘어린이과학동아’로 연락 주세요~! 이젠 날아야 할 시간합다리나무 잎에 달린 조그만 번데기에서 ... ...
숫자 4는 언제나 현재진행형!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숫자를 채워 보면,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아래 네 가지 경우 중 단 두 가지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첫 번째 가로줄이 결정되면 조건에 맞게 나머지 칸을 채우는 경우가 단 2가지뿐이므로, 모든 경우의 수는 (4!)²×2=1152가 된다.숫자 4는 숫자와 전혀 상관없는 한자의 죽을 사(死) 때문에 피해를 ... ...
수학이 있어 더 행복한 날, π-day!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둘레의 길이를 쟀어요. 다각형의 변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둘레의 길이가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어요.슈퍼컴퓨터를 만나다!파이파티를 마치고 김재완 교수님은 수학동아 독자기자를 슈퍼컴퓨터가 있는 연구실로 초대해 주셨다. 연구에 쓰이는 슈퍼컴퓨터를 직접 보여 주기 위해서다. 두근거리는 ... ...
음악 DNA로 히트곡 예상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음악 DNA라고 할 수 있어요. 이 음악 DNA를 분석하면 신나는 음악인지, 슬픈음악인지
알
수 있죠. 이를 이용하면 음악을 감정에 따라 분류할 수도 있어요. 음악 DNA로 히트곡도 예상하고, 좋아하는 음악도 추천하기가 훨씬 쉬워지는 거예요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해 볼 생각이 드나? 분명 훌륭한 MIB 요원이 될 거란 생각이 드네. 자네들의 눈빛만 봐도
알
수 있지. 벌써부터 드레이크 방정식으로 외계인의 존재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고, 천문학 속 수학 기법을 이용해 외계인과 외계행성을 찾을 수 있게 됐으니 말이야. 게다가 수학으로 대화도 쉽게 나눌 수 있지 ... ...
이전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