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점점 더 진화하는 이모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지금 나오는 AR 이모지는 실제 모습을 바탕으로 좀 더 매력적인 스타일로 만들었어요. 사람과 최대한 닮게 만들었더니 어색해 하는 분들이 계셨거든요. 모두가 만족하도록 나를 표현하는 이모지를 만들려 해요. (이민경)Q앞으로의 계획은 무엇인가요?AR 이모지의 활용 폭을 훨씬 넓히는 것이 ... ...
- 기생충이 사람을 고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생태계 유지뿐만 아니라 사람을 살리는 역할도 할 수 있어요. 기생충이 숙주를 이용하는 방법을 응용해 병을 치료하려는 연구자들도 있답니다. 이들의 연구는 의학 영화를 찍어도 될 만큼의 놀라움을 선사할 거예요! 1989년, 영국 런던위생열대의학대학원의 데이빗 스트라찬 교수는 ‘너무 깨끗한 ... ...
- [가상인터뷰] 사람만큼 오래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미국에 가면 사람만큼 오래 사는 민물고기를 만날 수 있다기에 미시시피강에 왔어. 수소문 끝에 가장 어르신인 빅마우스 버팔로도 만나볼 수 있었지. 과연 몇 살일까 궁금하지 않니? 먼저 자기소개를 부탁해요.잉어목에 속하는 북아메리카 고유종 ‘빅마우스 버팔로(Ictiobus cyprinellus )’라고 해. ... ...
- [Go!Go!고고학자] 알프스에서 발견된 아이스맨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몸을 촬영하자, 왼쪽 어깨에 화살을 맞은 자국이 발견되었어요. 외치의 무기에서 다른 사람들의 핏자국도 검출되었지요. 그래서 최근 고고학자들은 외치가 싸움 도중 목숨을 잃었으며, 최초의 살인사건일 수 있다는 주장을 내놓기도 했어요. 증거가 더 모이지 않는 한, 앞으로도 외치가 죽은 이유를 ... ...
- [과학뉴스] 실험동물 희생은 그만, 이제는 ‘장기 칩’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실패한 당뇨병 신약 후보물질 TAK-875를 장기 칩에 주입했다. 그 결과 동물실험보다 사람의 장기 칩이 간 독성 지표물질 생성 결과에서 임상시험과 더욱 유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논문 제1저자인 장경진 에뮬레이트 부사장은 “장기 칩 기술은 약물의 부작용을 줄이고, 동물실험도 대체할 수 있을 ... ...
- [과학뉴스] 청소년 음주, 위험한 이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생후 28일 된 쥐를 생후 41일이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알코올에 노출시켰다. 그리고 사람으로 치면 성인기에 해당하는 생후 92~98일이 지났을 때 쥐의 뇌에서 편도를 추출한 뒤,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마이크로 RNA의 일종인 miR-137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청소년기에 알코올에 노출된 쥐는 성인이 된 ... ...
- ‘알라딘’의 파란 피부 지니는 청색증 환자?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을 다룬 논문이 실렸다. doi: 10.1016/S0140-6736(07)60918-0 혈액이 무색인 척추동물 사람뿐만 아니라 개, 고양이, 소 등 대부분의 척추동물의 피도 빨갛다. 그런데 동물 중에는 다른 색의 피가 흐르는 경우가 있다. 한호재 서울대 수의대 교수는 “단백질의 구조에 따라 동물의 피 색깔은 다양하게 ... ...
- 우리 크리스마스에는 이별해...굿바이, 초록페트병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잘 버텨 왔지만, 더는 안 될 것 같아. 그래, 알아. 너는 정말 최고였어. 하지만 세상 사람들이 우리를 인정하지 않잖아. 이젠 그만 안녕…. 올해 크리스마스에는 초록색 페트병에 안녕을 고하자. 12월 25일부터 색깔이 있는 페트병 사용이 법으로 금지된다. ‘페트’는 ‘폴리에틸렌 ... ...
- [세상을 바꾼 원소] 금...세상을 이끌어온 노란빛, 인류의 영원한 보물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본격적으로 활용하게 된 건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금 나노입자를 처음으로 합성한 사람은 영국의 화학자이자 물리학자인 마이클 패러데이다. 그는 1857년 염화금 용액을 인으로 환원시키는 반응을 통해 최초로 금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여러 학자가 금 나노입자를 이용해 빛의 ... ...
- [로보트 재권V] 마침내 완성된 '로보트 재권v'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마음은 당연히 갖고 있는 것이라 굳이 더 알 필요가 없는 것일까요. 사실 많은 사람들이 마음이 무엇인지 정의를 내리기는커녕 자신의 마음조차 잘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공학자인 필자의 입장에서 마음에 대한 정의를 내리자면, 마음은 인식하고 기억하는 대뇌의 작용이 몸에서 생성되는 각종 ... ...
이전3393403413423433443453463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