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100% 복원하는 데 성공해 2013년 ‘네이처’에 발표했다. 대장균 유전체에 동영상 저장 뒤 복원처치 교수팀은 살아있는 대장균의 유전체에 사진과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고 복원하는 전과정을 성공시켰다. 말이 달리는 모습을 연속적으로 촬영한 사진을 DNA에 저장해 동영상으로 만들어 지난해 7월 1 ... ...
- [Culture] 리코타 치즈 & 두부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있습니다. 먼저 리코타 치즈를 만들어볼까요. 약 80도로 끓인 우유에 레몬즙을 넣은 뒤 살살 저어주면 잠시 후 몽글몽글한 덩어리들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덩어리 수가 늘어나면서 크기도 커집니다. 그러면 덩어리들이 가라앉기 시작하지요. 덩어리가 잘 가라앉을 때까지 뒀다가 깨끗한 ... ...
- 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우주 창조에서 신을 위한 자리를 남겨두지 않는다”고 한 것을 두고 전 세계가 발칵 뒤집혔다. 그런 그가 아이작 뉴턴의 동상과 폴 디랙의 무덤이 있는 영국 테임즈 강변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힌다는 소식은 실로 놀랍다. 신을 부정하는 과학자의 유해가 사원에 안치된 사례는 그동안 없었기 ... ...
- Part 4. ‘어른아이’의 진화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뇌가 성호르몬에 일찍 노출돼 성인기 이후 정신적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도 있다. 뒤로 늦춰진 사춘기도 문제다. 13~19세를 뜻하는 ‘틴에이저(Teenager)’라는 용어는 20세기 중반 이후에 등장했다. 10대들이 상당한 구매력을 가지게 된 시기에 등장한 용어다. 독립을 꿈꾸는 사춘기 청소년의 소망이 ... ...
- Part 6. 일반 마스크도 효과 있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넣고, 염화나트륨이나 파라핀오일을 에어로졸 형태로 마스크 안면부에 통과시킨 뒤 분진포집효율을 쟀다. 염화나트륨 입자는 지름이 평균 약 0.6μm인 사면체 결정으로 황사나 고체먼지에 해당하고, 파라핀오일 입자는 지름이 평균 0.4μm인 액체로 세균이나 액상 대기오염물질 역할을 한다. 박원희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교내 과학대회 수상을 위한 ‘꿀팁’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알려주죠. 교내 과학대회 참가를 의미 있게 만들기 위해서는 대회 일정을 미리 확인한 뒤 자신이 좋아하고 잘 할 수 있는 대회를 선택해 계획을 세워 꾸준히 체계적으로 준비하는 게 좋습니다. 대회 참가 학생을 모집하는 시기가 되면 각 대회에 대한 세부 내용이 공지됩니다. 교내 과학대회의 ... ...
- 교내 대회의 의미와 중요성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식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대회가 끝난 뒤에는 이에 대한 기록을 남겨 놓아야 한다. 대회에 참가하게 된 계기, 준비과정, 자신의 노력과 실패 경험 등은 자기소개서에 중요한 소재로 활용해 기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회 참여를 통해 자신이 했던 노력들은 ... ...
- [필즈상 미리보기] 게오르디 윌리엄슨, 치프리안 마놀레스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수학 공부를 진지하게 생각하게 됐고, 카즈단-루스즈티그 양수 추측을 알게 되고 난 뒤 이 문제에 빠져 관련 수학만 팠다고 합니다. 아주 어린 시절부터 한 주제에 대해 몇 주씩 길게 생각하는 것을 좋아했는데, 수학이야말로 그러기에 안성맞춤이었던 거지요. 사색을 좋아한다고 하니 왠지 지루한 ... ...
- [수학공작실] 보로노이 빛상자수학동아 l2018년 04호
- 햇볕이 내리쬐는 봄이 왔어요. 유난히 추웠던 겨울 뒤에 온 봄이라 그런지 더 따스하게 느껴져요. 오늘은 ‘빛’을 비추면 시시각각 형형색색으로 바뀌는 보로노이 빛상자를 소개하려 해요. 손쉽게 만들 수 있지만, 그 결과물은 정말 영롱하답니다. 함께 만들어 볼까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란 ... ...
- Part 3. 루카스 수학 석좌 교수, 스티븐 호킹수학동아 l2018년 04호
- 한 마디로 말하면 특이점이라 불리는 높은 에너지를 가진 점이 대폭발한 뒤 팽창하면서 우주가 만들어졌다는 이론이에요. 호킹이 대학원에 있던 시절은 우주가 팽창하지않고 항상 밀도가 일정했다는 ‘정상 우주론’과 빅뱅이론이 대립하던 시기예요. 그런데 1965년경, 우주배경복사가 발견되면서 ... ...
이전3393403413423433443453463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