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우주정거장이 추락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1호는 지난 2011년 중국 고비 사막에 있는 주취안 위성발사센터에서 발사되었어요. 그 뒤 유인 우주선 ‘신저우 9호’를 타고 우주로 간 중국의 우주인 3명이 13일 정도 머무르며 15개의 과학 실험을 했어요. 또, 우주인들은 우주선을 조종해서 톈궁 1호에 도킹하는 연습도 했답니다. 그러다 지난해 3월, ... ...
- [과학뉴스] 중금속 오염수를 깨끗한 식수로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웬디 엘 퀸 스위스 로잔공대 산하 화학및공학연구소 교수팀이 금속-유기 골격체(MOFs)를 이용해 수중 중금속을 제거하고, 이 결과를 ‘ACS ... 결과 1분간 전체 중금속의 약 70%가 사라졌고, 1시간이 지나자 약 90%까지 제거됐다. 24시간 뒤에는 중금속의 99.8%가 제거됐다. doi:10.1021/acscentsci.7b0060 ...
- [Culture] 매, 매, 매운맛을 주세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500여 년 전 중남미의 매운 고추가 유럽에 넘어간 뒤, 아시아에 전파돼 100년 뒤 한국 고추가 됐다는 주장이 틀린 것으로 판명됐다”며 “오히려 수천 만 년 전 야생고추가 새를 통해 여기저기 전파된 뒤, 지역의 기후와 환경에 적응해 다양하게 진화했다고 해석하는 게 맞다”고 설명했다 ...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빛의 위상을 계산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실제로 두 지문을 강하고 약하게 겹쳐 찍은 뒤 홀로그램 정보를 얻어서 각 지문의 입체 이미지를 재현하는 데까지는 성공했다. 이병효 박사과정 연구원은 “깊이의 차이가 크지 않은 지문 이미지를 재현하고 이를 분리하는 데까지 홀로그램 기술을 ... ...
- [Issue] 액면분할 이후 삼성전자 주가는 어떻게 될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그 결과 매스코의 순이익은 30%가 줄어들었고 32년간 이어지던 실적 상승은 끝이 났다. 2년 뒤 가구 사업부의 영업마진은 6%를 기록했지만, 나머지 부문의 영업마진은 무려 15%였다. 여러 해 동안 고전을 면치 못한 매스코는 마침내 가구사업을 매각할 의사를 밝혔다. 매스코는 경쟁력과 기술력도 ... ...
- Part 2. 폭풍성장 사춘기의 몸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평균 12세, 남학생은 평균 14세에 키가 가장 많이 자란다. 여학생은 키가 자란 뒤 6~9개월 뒤에 몸무게가 급속히 늘고, 남학생은 키와 몸무게가 동시에 늘어난다. 이런 급격한 성장은 호르몬의 변화로 발생한다. 여학생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남학생은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 ...
-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사춘기 청소년에게 공포, 분노, 놀람, 슬픔 등 다양한 표정이 담긴 얼굴 사진을 보여준 뒤 이들 감정을 파악하도록 했다. 그 결과, 어른들과 달리 사춘기 청소년은 분노와 놀람을 잘 구분하지 못했다. 이는 아직 뇌가 ‘공사’를 마치지 않은 탓이다. 공포가 담긴 표정을 볼 때 성인은 이성적 판단에 ... ...
- Part 7. 사십춘기도 아프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말했다. 사람의 뇌도 20대에 완전히 성숙한 뒤 40대가 되면 점차 노화한다. 성인이 된 뒤 뇌세포는 평균 1초에 하나씩 사라진다. 사십춘기까지 약 20년간 대략 6억 개의 뇌세포를 잃는 셈이다. 10년마다 뇌가 2%씩 수축한다는 연구도 있다. 이와 함께 깜빡하고 잊지 않게 도와주는 도파민과 같은 ... ...
- [인터뷰] 경기북과학고등학교 입학부장 박창서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있다. 교과 이외의 활동에서 인상 깊었던 경험 세 가지와 여기서 배우고 느낀 점, 졸업 뒤 본인이 할 수 있는 사회적 기여와 책임에 대해 기술하는 항목도 있다 박 입학부장은 “자기소개서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작성했는지 아닌지 바로 알 수 있다”며 “중학교 생활을 얼마나 열심히 했는지 ...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학문인 물리학을 좋아했기 때문에 물리와 가까운 전자공학을 택했다. 대학을 졸업한 뒤에는 “회로 설계를 배우면 잘 나갈 수 있다”는 교수님의 조언을 듣고 회로설계로 석사학위를 받았지만 박사학위를 받기 위해 유학을 가면서 본래 가졌던 흥미에 따라 광학 분야로 방향을 바꿨다. 그때도 주변 ... ...
이전336337338339340341342343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