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현"(으)로 총 4,880건 검색되었습니다.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과학동아 l2001년 10호
- Probe Microscope, SPM)이라고 부른다. 개개의 원자를 볼 수 있어 ‘원자현미경’이라는 다른 표현도 있다. 하지만 최초의 원자현미경인 STM은 탐침과 시료 사이에 전류가 흘러야 하기 때문에 부도체인 시료는 영상을 얻을 수 없다. 이같은 이유로 1987년 또다른 SPM이 개발되기에 이른다. 이때도 비니히가 큰 ... ...
- 2 활용 : ③ DNA 임무수행 동영상으로 즐긴다]과학동아 l2001년 10호
- 놀라워 몸을 앞으로 쭉 내밀고 의자의 끝자락에 앉아서 지켜보았을 정도다”라고 표현했다. 한스마 부부는 장래에 이 기술을 이용해 염기서열 판독을 보다 쉽게 하지 않을까 하는 전망을 내놓았다.한편 SPM이 생명과학 연구에 이용되는 또다른 예는 단백질 연구다. DNA의 정보에 따라 합성된 단백질은 ... ...
- 4 SPM이 보여주는 환상의 나노세계과학동아 l2001년 10호
- 아니라 SPM의 종류에 따라 자기장이나 표면 마찰력과 같은 정보도 시각적으로 함께 표현해줄 수 있다.이같은 시각화가 SPM을 이용한 나노조작기술과 함게 구동되면 과학자는 지금보다 쉽게 나노세계를 다룰 수 있을 전망이다. 또한 교육용 자료로 이용할 가치도 높아진다. 실제로 현재 미국의 몇몇 ... ...
- 심심하고 할 일 없어 털다 -주유소 습격 사건과학동아 l2001년 10호
- 다루고 있다. 속도무제한의 육탄과 질주, 좌충우돌 반전과 역전이 거듭되는 줄거리를 표현하는데 있어 ‘아드레날린 드라이브’보다 더 좋은 제목이 또 있으랴!폭력적인 사람들의 뇌는 온순한 사람의 그것과 어떻게 다를까.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장치(fMRI)를 이용해 뇌활동을 촬영해보니, 폭력적인 ... ...
- 화려한 변신 컬러 휴대폰의 미래과학동아 l2001년 10호
- 스피커폰 기능의 향상 등도 고려돼야 할 중요한 요소다.초창기 이동전화기는 조금 심한 표현을 쓰면 크기는 벽돌만 했으며, 무게는 아령을 능가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단말기는 점점 소형·경량화됐고, 급기야 컬러화면까지 나오게 됐다. 이제 2인치(물론 더 큰 것도 있지만) 남짓한 화면에서 ... ...
- 이승엽 vs 호세 홈런 경쟁 누가 이길까과학동아 l2001년 09호
- 이것. 마치 마음을 읽는 듯 투수가 다음에 무슨 공을 던질지 미리 눈치를 챈다. 야구의 표현에 따르면 ‘수읽기에 능하다’는 것. 물론 강한 파워 면에서 호세는 이승엽을 앞지른다. 뿐만 아니라 찬스에 강하다. 예를 들어 9회말 동점 상황에서 홈런을 친다면 게임은 끝나고 상황이 종료된다. 팀이 ... ...
- 단백질 구조 분석의 소총수 HP 격자 모델과학동아 l2001년 09호
- 의 두가지 종류로 단순화한다. 이렇게 하면 20가지의 아미노산은 H, P 2개의 문자로 표현될 수 있다.아미노산 서열이 PHPPHHPH인 단백질을 생각해보자. 첫번째 아미노산 P 다음에 두번째 아미노산 H를 평면상에서 연결하는 방법은 위, 아래, 오른쪽 이렇게 총 3가지가 있다. 위 단백질의 경우 아미노산 ... ...
- 휴대폰 전자파 인체에 얼마나 흡수될까과학동아 l2001년 09호
- 셈이다.인체흡수율 알아내는 두가지 방법그렇다면 SAR은 어떻게 정의할까. SAR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SAR = σㅣEㅣ2/ρ [mW/g]이다. 여기서 σ(시그마)는 인체 각 조직의 전기전도도, ρ(로)는 각 조직의 밀도, 그리고 E는 인체 내부에 형성되는 전기장 강도를 의미한다. 인체 각 조직의 전기전도도와 밀도가 ... ...
- 도대체 동서남북이 어디야과학동아 l2001년 09호
- 점에 다시 한번 유의하자. ‘동쪽에서 서쪽으로 자전하는 것처럼 보인다’ 같이 표현하면 틀리다고 할 수 없지만 말이다.참고로 어느 행성에서나 나침반의 N극이 북쪽을 가리킬 것이라고 믿어서도 안된다는 사실을 밝혀둔다. 지구의 북극에는 S극이 있어 나침반의 N극이 북쪽을 가리키지만 다른 ... ...
- ③ 생체실험 그만, 디지털 가상세포 맹활약과학동아 l2001년 09호
- 이를 위해 생물정보학의 도구를 이용한다. 즉 대사회로의 특성을 구체적인 수식으로 표현하고, 이를 컴퓨터에 모사해 최적화된 모델을 얻는다. 이렇게 하면 세포의 전체 대사네트워크를 컴퓨터에서 구현할 수 있다. 이른바 ‘가상세포’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가상세포를 이용하면 실제 실험을 ... ...
이전338339340341342343344345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