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이제껏 알려진 다른 플라스틱 분해 박테리아에 비해 아주 빠르게 PET를 분해 한다는
사실
도 확인했다. 또 박테리아에서 PET를 분해하는 효소를 분리해 페테이스(PETase)와 메테이스(MHETase)로 이름 붙였다. 이들이 발견한 효소를 PET 필름에 바르자 하루에 1cm2당 0.13mg을 분해했다(doi:10.1126/science.aad63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관계가 있다는
사실
을 발견했다. 우울증인 경우 정상인 여성보다 소금 섭취량이 적다는
사실
을 발견한 것이다(doi:10.1016/j.appet.2014.04.008). 또 미국 아이오와대 약대 저스틴 그로브 교수팀은 소금이 음식의 소화 효율을 떨어뜨려서 비만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밝혔다(doi:10.1038/srep11123)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대행성 병기를 몇 기나 불법으로 제작했는지…. 역사는 반드시 남아야 해.
사실
그대로. 역사를 삭제하려는 시도는, 불멸자를 암살하려는 시도는 오래 전부터 있었어. 우리 두뇌는 마이크로웜홀을 이용해서 은하계 내에 파편화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한 데 잇고있거든. 우리를 파괴하면 ... ...
[가상인터뷰] 오줌으로 대화하는 물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의사소통을 한다는
사실
을 밝혀냈답니다.아직 해양생물들의 오줌에 대해 밝혀지지 않은
사실
들이 많아요. 연구할 거리가 남았다는 박사님들을 도와 주러 이만 가봐야 할 것 같아요. 안녕~ ... ...
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있어요. 심지어 죄수나 정신질환자를 가둬뒀던 곳도 함께 발견됐답니다.더 놀라운
사실
은 이런 지하 도시들끼리 서로 연결돼 있다는 거예요. 지하에 지상의 도로와 같은 역할을 하는 연결 통로가 뚫려 있거든요. 이 모든 것이 변변한 측량 기구와 땅을 파는 도구도 없이 이뤄졌답니다. 도시가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폴리매스 프로젝트 10번 해바라기 추측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않은 사이에 벌어졌습니다. 1970년대만 해도 정보 공유가 제대로 되지 않아 이미 증명된
사실
을 몇 년 후에 다른 사람이 또 증명하기도 했는데, 이제는 그렇지 않습니다. 인터넷이 발전하다 보니 수학계에서 새로운 연구 도구가 눈 깜빡할 사이에 퍼지고, 오래된 난제가 불과 한두 달 사이에 풀리는 ... ...
오선지에 숨은 비밀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것이지요. 두 사람은 엘가가 생전에 ‘주제는 흘러가지만 연주되지 않는다’고 언급했던
사실
과 작품 시작 부분에 ‘그 단어’가 등장한다는 힌트에 주목했습니다.물론 엘가와 언급한 음악가들은 모두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어떤 정보를 어떻게 숨겨 놓았는지 아무도 정확히 모릅니다. 음악가가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바꿀까, 안 바꿀까 그것이 문제로다!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상자를 연다. 모든 정보를 미리 알고 있던 사라가 선택한 대로 ‘노란 상자가 비었다’는
사실
이 내게 알려졌다. 내가 파란 상자든 노란 상자든 그것이 비어 있지 않다는 정보를 얻을 가능성은 0이었다. 이런 상태에서 내가 얻은 ‘노란 상자가 비었다’라는 정보는 처음 ‘빨간 상자에 보물이 들어 ... ...
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원리로 만들어진 도블이 인기가 있는 걸 보고, 수학 보드게임을 만들기로 결심했다.
사실
김 교수가 수학자의 길을 걷게 된건 마방진 때문이다. 마방진은 가로, 세로, 대각선의 합이 같도록 1부터 n까지 숫자를 표에 적는 퍼즐이다.초등학교 6학년 때 친구가 낸 3차 마방진의 답을 찾지 못해 자존심을 ... ...
Part 3. [세 번째 실험] 가마가 생기지 않게 고양이 털 빗기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v)-모서리의 개수(e)+면의 개수( f )’랍니다. 다면체의 오일러 지표가 항상 2인건 유명한
사실
이지요.가마는 있다! ‘털 난 공의 정리’벡터장에 가마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는 수학적인 기준은 ‘지수’예요. 벡터장의 한 점을 중심으로 벡터가 퍼져나가는 모양을 보고 각 점마다 지수를 매길 수 ... ...
이전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