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실"(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움직이고 느끼는 데에 아주 중요한 중추 신경계로 발달합니다. 엄마가 미처 임신 사실을 알기도 전에, 배아가 뇌와 척수를 만들 준비를 해놓은 셈이죠.수정 후 3주째 정도가 되면 배아는 세 겹의 세포층을 형성해 우리 몸의 모든 세포를 만들 준비를 합니다. 가장 위쪽에 위치한 세포층인 외배엽은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조언이 난무하면서 막연한 건강 염려증으로 인한 부작용이 느는 추세다. 이럴 때일수록 사실을 알고 대응하는 게 중요하다. 책에 실린 간결하고 감각적인 이미지들이 귀여운 얼굴로 선사하는 ‘팩트 폭력’을 통해 내 몸과 마음이 작동하는 기본 원리를 정확히 알아보자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유전자 돌연변이의 상당수가 자체적인 세포 분열 과정에서 ‘무작위로’ 생긴다는 사실이다. 기존에는 유전 또는 환경적 이유로 주로 암이 생긴다고 알려져 있었다. 보겔스타인 박사는 지난 4월 1~5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연례학술대회 기조연설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하고, ... ...
- 얼꽝 용승이 인스타그램 스타 만들기 대작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루트비히 자이델은 잘 만든 렌즈에서도 상이 흐려지거나 왜곡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했어. 이런 현상을 ‘렌즈의 수차’라고 해. 자이델이 발견한 다섯 가지 수차 중 ‘왜곡 수차’가 얼굴을 풍선처럼 보이게 하는 범인이야. 왜곡 수차는 상의 중심과 테두리 부분의 배율이 다르기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공주의 결혼 상대 찾기! 공주가 돌아올 시간을 예측하라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이길 확률은 줄어들고, 내 선택에 대한 후회는 커질 거야.후회에 관한 원칙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니? 알란 헤이젝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 철학과 교수는 이 문제와 비슷한 ‘케이블 기사의 역설’에서 ‘두 개를 선택해야 할 때, 미래의 내가 후회할 것이 거의 확실한 선택은 하지 말라’는 ... ...
- Part 4. 전투의 비밀병기, 수학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손실은 다른 한 군대의 전투력 상승과 비례하고, 다른 조건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사실을 가정한다면, 란체스터 전투 모형에 수학은 어떻게 이용될까?X군대와 Y군대가 전쟁을 치르고 있다. 각 군대는 병력을 각각 x, y만큼 갖고 있다. X군대의 전투력 손실량은 시간에 따른 병력의 변화량이다. 이 ... ...
- [과학뉴스] 장내미생물 나이는 4억 살 이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연대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그 결과 장내구균은 5억~4억2500만 년 전 사이에 등장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페름기 대멸종과 같은 사건으로 동물의 다양성이 빠르게 증가할 때, 장내구균의 종분화가 활발하게 일어났다는 것도 알아냈다. 동물이 건조한 환경이나 배고픈 환경 등에 적응하듯 ... ...
- [과학뉴스] 화학자가 새롭게 밝힌 눈송이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주변을 다른 여섯 개의 물 분자가 감싼 편평한 육각형이며, 크기가 기존 가정보다 크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연구팀은 결정 구조에 따른 열 방출 수식도 세웠다. 슐츠 교수는 “층이 두 개인 의자 모양 얼음은 면적당 열을 가장 많이 방출해 금방 증발한다”며 “이보다 크고 편평한 육각 얼음은 ... ...
- [과학뉴스] 고인류 호모 날레디, 현생 인류와 공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전 인류로 추정했던 호모 날레디가 그보다 훨씬 최근인 23만6000~33만5000년 전에 살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방사성 물질에서 방사능이 얼마나 줄었고 치아 법랑질에 있는 결정에서 에너지가 얼마나 변했는지 등을 종합한 결과다. 이에 따라 호모 날레디가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일정 기간 ... ...
- [Future] 조산아의 희망, 인공자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사람 태아를 위해 시스템을 소형화할 계획이다.2004년 우리나라도 인공자궁 만들었다사실 인공자궁 연구는 꽤 오래전부터 시작됐다. 1997년 일본 준텐도대 연구팀은 플라스틱 통으로 만든 인공자궁에서 염소 태아를 3주 동안 성장시켰다. 2004년에는 송창훈 조선대 의대 산부인과 교수와 이국현 서울대 ... ...
이전337338339340341342343344345 다음